[칼럼] 기출을 언제까지 해야할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488960
안녕하세요 만31 저자 세현입니다.
질문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기출 관련 질문에 대한 답을 해보려고 합니다.
“기출은 1회독이면 충분한가요?”
“기출을 끝낸다는 말이 무슨 말인가요”
등등 …
“기출을 끝낸다” 는 말은, 제가 생각하기엔
기출에서 등장한 아이디어 등을 암기하고, 어떤 발문이나 조건이 나왔을 때 그것을 직관적으로 해석하고 & 케이스를 분류하는 것입니다.
저는 수학이 어느 정도는 암기라고 생각합니다.(70퍼 정도)
구체적으로 문제 예시를 한 번 들어보도록 하죠
기출입니다.
문제를 풀기 전, 어떤 생각이 들어야 할까요?
a가 3루트5가 아니니, “특수한 지점”일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f(x)는 최고차항이 “음수” 인 이차함수이고,
g(x)는 “미분가능” 한 함수네요.
결국 구해야 하는 것은 a, f(x) 겠습니다.
여기까지가 조건을 눌러서 읽는 단계입니다.
문제의 조건, 특징들을 눌러서 읽고 파악합니다.
구하는 것을 좁힙니다.
다음은 풀이를 전개해 봅시다.
(가) 조건을 사용해야 하겠죠? 범위 내의 함수는 각각 미분 가능하므로
우리는 x=0에서만 조사를 하면 되겠습니다.
f(x)의 최고차항 계수를 p라고 “스스로 정의” 하면, 문제가 한껏 가벼워졌습니다.
이제 (나) 조건을 이용합시다.
g’(x)과 g’(x-4) 사이의 관계는 평행이동이겠죠?
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그래프 관점이 도움이 되겠습니다.
*수학은 계산과 그래프 관점을 고루 익혀야 합니다. (치우치면 x)
서로 다른 4개의 해를 가지려면, 각각 두 개의 겹치지 않는 해를 가지면 되겠죠? 그럼 그래프는 저렇게 생겼을 겁니다.
하지만 이를 식으로 풀어냈을 때, a= 3루트5 가 나와 모순이 생깁니다. (모순도 스스로 파악해야함)
그럼 다른 상황을 생각해봐야겠죠, 두 개의 해가 겹칠 때를 생각해 봅시다. 모순이 없죠?
그럼 이제 이 “그림을 식으로 정확히 옮겨야” 합니다. (얘도 연습 많이하셔야 합니다)
이것도 굉장히 중요합니다.
이 그림에서 얻을 수 있는 것은 두 가지입니다.
1. 이차함수의 두 근 사이의 거리가 4이다.
2. g’(x) 에서 일차함수가 만나는 지점과 이차함수의 해가 만나는 지점의 거리도 4이다.
여기서 고1 수학이 들어오네요. 근계수를 활용하고, 축의 방정식을 고려하면 a가 나옵니다.
나머지는 착착 진행되겠네요.
느끼셨나요? 기출을 익힌다는 것은 위 풀이에서 사용된 아이디어와 테크닉을 접하고, 체화하는 것입니다.
이 조건이 나오면 이렇게 이용해야 하는구나, 모든 케이스를 다 알고는 있어야 하는구나. 그림을 식으로 정확히 나타낼 때 어떤 것들을 조심해서 해야 하는구나. 등이요.
이 경험치들이 3-5개년 기출로 적립이 되셨다면, 기출을 끝내신 겁니다.
기출을 끝낸 뒤에는 새로운 문제로 적용하는 연습을 해야겠죠!
새로운 문제를 풀고 막히면 기출로 돌아오지 말고, 계속 새로운 문제를 푸시길 바랍니다. 그 과정에서 추론이 길러집니다.
다음 칼럼에선 추론을 기르는 방법으로 찾아오도록 하겠습니다.
만31 저자 세현이었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갤러리 탐구 6
-
ㅈㅈ ㅇㅈ 25
자작문제 ㅇㅈ
-
4453871 0
ㅈㄴ 쓰고싶게 생겼네
-
왜냐면 이제부터 기다림이 24시간이 넘을 때마다대가리를 존나 쎄게 쳐서 제 머릿속을...
-
님들 몇시간 잠 5
요즘 너무 앰생된거같음..
-
고1 여름에 풀었던 옛날 백호 기출문제집
-
는 부엉햄의 승리이신듯 한데 흠…과연 탈릅을 하실까
-
돌이켜 보니까 0
다른 걱정 안하고 공부만 할 수 있다는 것도 큰 행운인 듯
-
다알면개추
-
요리 ㅇㅈ 9
비주얼이 왜 이러지
-
재미업서 6
새르비 화력 다 어디가써!!
-
밥창고 3
이걸로 얼마나 먹을거 같음?
-
문자로 할까 그녀는 벌써 잘까
-
오늘 저녁 ㅇㅈ 1
냠냠굿
-
엔티켓 s2 0
어렵나요 몇일 잡고 풀까요
-
두개중에 뭐가 더 좋나요
-
음.. 4
쓸게 없다
-
근데 난 못 찾음 지거국이상이면 다 노오력 하면 됨 근디 난 못 했음 그냥 꿈이...
-
평가원 국어 0
답개수 맞추긴 하나요??
-
왜 자꾸 교수님 내연녀 됐다는 김박사넷 글들이 추천되는거임....
-
난 못 끼는데
-
나이를모르긴함근데
-
난 어차피 읽지도 않을거라 다들 못 풀었으면 좋겠음 나머진 평이하게 나오고
-
눈이 싫었던 이유가 하루종일 공부해서 눈이 부었구나... 아이고
-
거의523배퇴화했음... 지금 복구작업중
-
그래도 안검하수로 생긴 이마에 주름은 안없어지나요...
-
내 인증은 9
한 5명도 못봤을 듯
-
뭐가 있음? 씨뮬 자이 마더텅만 아는데 다른 것도 추천 좀 하나 사서 약한 거 훑으려는 데 추천 좀
-
존재하긴 하나…? 한번도 인강을 제대로 들어본 적도 없고 그렇다고 학원이라는 것도...
-
눈은 좀 그럼.. 너무 물고기눈에 작아서 그 노데카솔이? 그친구랑 비슷함.....
-
지금은 너무 삭아서 안 됨 티비
-
구라ㄴㄴㄴㄴㄴㄴㄴㄴㄴㄴ
-
희망사항 2
말 많은 여자를 만나서 내 혼을 쏙 빼놓아버리면 불안을 느낄틈 조차 없겠지?
-
9모 이후에는 1
과탐 1일 1실모 해야지
-
잘래 2
ㅂㅂ
-
국어 대성>=메가 수학 메가>대성 영어 대성>>>>메가 탐구 대성>=메가 아니냐
-
미적이고요 6모 2등급 7모 1컷입니다 1컷~2등급 중반정도 실력인거 같아요...
-
아이디는laughb라고 현우진이쌍뻐큐하고있는프사라고
-
다들 내가 괜찮은줄 아나봐
-
ㅇㅇ
-
연어회랑 교촌 흡입 완료 지금부터 살뺀다
-
댓글남기면 솔직하게 13
잘생긴지 예쁜지 옯티콘 보내드림
-
일찍 할걸 1
피뎊방 이 좋은걸
-
나춰뤄어엄!
-
개짜릿함
-
고2 수학 3등급따리 영업 성공
-
이세돌책나왔네 2
그 이세돌은 아니고 이세돌사범님 책인데 좋은내용이많네요 전자책말고 그냥책도사볼까,..
-
번화가 많이 다녀서그런지 존나 이쁘거나 진짜 잘생긴거 아니면 그냥 평범하다고 느껴짐...
모든 케이스를 다 알아야 한다는 저 문제의 케이스를 말하는 건가요? 다른 문제에 접할때 케이스를 모두 파악을 해야 한다고 말하는 건가요?
음 예를들어 저 문제에서는, (나) 조건을 해결할 때 나올 수 있는 모든 케이스는 알고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혹시 기출 풀때 너무 얻어 걸려서 케이스를 때려 맞췄다고 생각하면 나중에 기출 분석할때 케이스를 정리하는 거에만 멈추지 않고 놓친 발상,다르게 볼 수도 있는 관점을 암기하는 게 맞는 방법인가요?
옹 네 그런거 정리하면 도움 많이 될거예요.
노트패드에 생각하지 못한 부분 해서 적어놓고 복습 시기 맞춰서 보세요
예를 들어 sina:sinb=1:3이다 같은 게 문제 상황에 나오면 그거에 대한 강령을 정하는 거도 좋나요? 이건 너무 암기 같은데..
아뇨 그런것도 적으세요! 생각 허들 낮추는 것도 도움이 많이 돼요. 속도가 빨라지면 정확도도 좋아집니다.
알겠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31세라고요? 유튜브 보면 고딩 얼굴인데
엥 제 책이 [만년 3등급이 1등급 받은 수학공부법]이라 줄여서 만31 로 줄여서 부른 거에요!!
아 만31세인 줄 알앗음요…ㅋㅋㅋㅋㅋㅋㅋ
ㅜㅜ 아니에요
와 정말 제 생각과 완전히 일치하시는 것 같아 반갑습니다!
개인적으로 수능수학을 대비하는 데 있어 기출을 저자님처럼 사고를 전부 정립해놓으면 N제나 실모가 크게 필요 없다고 생각합니다. (실모 대신 교육청을 세트로 푸는 것으로 대체했을 때)
학생들이 너무 컨텐츠에 집착하는 현 시점에서 이런 칼럼은 너무 좋은 것 같습니다. ㅎㅎ
헉 .. 감사해요!! 저희 콜라보 해도 좋을 것 같아용ㅎㅎ

그림을 컴퓨터로 그리셨나봐요ㅠㅠ
기출은 3개년~5개년 회독만으로 충분하다고 보시는 편인가요? 나형기출까지 권하는 분들도 많더라고요
시간 되면 나형도 하세요 역순으로 ㄱ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