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질문이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487165
순편익이 양의 값이 될 때는 합리적 선택일 때만 그런거 아닌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오늘의 저녁 0
닭찌찌 계란 두 알 샤인머스켓 20알 버억
-
오늘 본 실모 꼬라지들도 그렇고 왤케 뭔가 다 무너지는 느낌인지 모르겠어요 오늘...
-
??
-
확통에서 하나 공통에서 세개 틀리는 거 같아요 은근 11-14 의문사도 종종 있어서...
-
푸는것도 괜찮나요? 6모도 2였는데 더프같은거 보면 개털려서 수능 쉽게 나오기를...
-
쨌든 0
이감 모고 처음으로 80 위로 올라왔다. 실수만 줄이면 80후반까지도 될 듯 ㅇㅇ...
-
중고거래에서 100원 주화 하나 팔고 100만원 벌었어요 6
(준특산 1985년 100원.....) 특산 1970 1971 1972 1981...
-
연락 좀 봐라.. 언제 보낼껀지 말이라도 해주던가
-
이태까지 사탐은 본적도 없고 정확히 뭐하는 과목 인지도 몰랐던 상태로 심심해서 작년...
-
오늘의 저녁 19
우헤헤헤 아주 조아
-
슈뢰딩거의 고양이 전에 13
동양엔 영조의 사도세자가 있었다..
-
아무 질문이나 ㄱㄱ
-
돈 외모 권력 다 가짐
-
ㅇ
-
블리츠 특 3
풀면 갑자기 사문으로 원서접수하고싶어짐...
-
둘중에 뭐가 더 어려운가요? 하나 픽해야하는데…
-
번장 빌런 0
실모 판매하려고 올렸는데 구매는 안 할 거고 답지 사진만 찍어달라길래 걍 차단함...
-
ㅈㄴ 쉬운거임?
-
일단 제 과외선생님은 의대 다니시고요 비대면 화상과외로 수학 가르쳐주십니다 근데...
-
평생우려먹을짤 7
-
23때처럼 내주면 재밌어질거같은데
-
7회 어떰? 지금 풀려는데 괜히 긴장되네
-
아 왜 비와 0
우산안가지고 나왓는데
-
3점짜리는 되는데 4점이 힘들어요
-
지금 수완 실모, 지인선모, 기출 프린트 중 고민하고 있는데 괜찮은 모의고사 있거나...
-
혹시 없나요 ㅠㅠ 아래 문제 풀려는데 너무 헷갈려요..ㅜ
-
받기가 어려움? 중간3 그냥 적당히…공부해도 될거같은데 3등급 받을려면 최소한...
-
얼마나 규모가 늘어나려나
-
387 587 357 변 길이비만 외우면 특수각 하나를 공짜로 드립니다~
-
국어! 단순히 어려운거보다 평가원이랑 흡사하다 이런느낌
-
와 씨발 사문 실모를 이렇게 틀린건 처음 보는데 30점 중반은 대체 뭐냐
-
(3회차만 풀었습니다) 문학 풀다가 너무 쉬워서 방심해버렸음...그대로 독서에서...
-
8덮 개잘봤다 0
수학 100 영어 딱 90 23 32 33 38틀 탐구 5050ㅋㅋㅋㅋㅋ 수능도...
-
오늘내일은 삼시세끼 먹고 싶은 걸로만 먹어야겠당
-
ㅇㅈ 14
필기구ㅇㅈ
-
아직 개념하고 있어서 따질 입장이 아니긴 한데 자료 양 보니까 내년에 진짜 시대 단과 다녀야할듯
-
메가스터디에서 파는 파이널 패키지 10회분이랑 오프라인에서 파는 6-1~10이랑 동일 문제지인가용?
-
안녕하세요. 실모 저자 Zola임당. 국수 틈새에서 나름 선방하고 있는 것...
-
수학 최소 3,4등급 수능에서 맞고싶습니다 지금 진짜 시간이 얼마 안남아서 이게...
-
저녁 ㅇㅈ 5
-
진짜 부자들만 할 수 있는 과목임?? 번장에서 생1 모고 찾다 눈에 들어왔는데...
-
무슨 씨발 40분째하고잇냐? 죄송합니다
-
죄송합니다. 11
https://orbi.kr/00074404397/%EB%8B%A4%EC%8B%9C%...
-
본 아사코는 여러분의 견해를 존중합니다..
-
오늘 저녁 머먹지 50
추천 받습니다
-
솔직히 어디가서 수학 잘한다는 소리는 못하지만 2등급 꼬리정도는 된다고...
-
딱히 수의사가 적성에 맞는 것 같지는 않아보이는데 성적 맞춰서 수의대 쓰는 거...
-
원래 작수까지 통통이였음 올해 미적돌리고 확통 지금까지 한번도 손 안댐 지금 한완수...
-
작년에만 해도 오르비에서 사설 올1 받고 수능때 망한 사람들을 너무 많이 봄
오류인 듯
다 틀린 거 아닌가
저도 경제 뉴비라 정확하지는 않을 수 있음
아래 댓 한 번 봐주실 수 있나요?
저 경제 선택자는 아니지만 경제학부생인데
당연히 5번 아니에요?
합리적 선택은 순편익이 가장 클 때이지 양인지 음인지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것 아닌가.
5번 선지의 경우 총지출액이 가장 클 때 (=소비량 5) 순편익은 27-26=1 이니 참 아닌가
그런듯 위에는 총지출이고 밑에는 한계편익인데 잘 안보고 한 것 같음
덧붙이자면,
다수 선택 (대안 여러개) 일 때는 순편익이 양수인 게 하나밖에 없는 게 맞아용
다만 이런 타입의 문제는 각각의 개수를 구매할 때를 서로의 대안으로 보는 다수 선택 문제가 아니라, 하나 하나의 상황에서만 바라보는 단일 선택이고, 각각의 상황이 벌어졌을 때의 편익과 지출(명시적 비용)만을 표를 통해 제공하고 있다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아요.
따라서 순편익이 편익-명시적 비용 이 되고, 따라서 양수인 상황이 여러 개 나올 수 있어요
4개 사는 게 5개 사는 거의 대안인거로 바라보면 암묵적 비용 생각했을때 5개 사는 건 순편익이 마이너스인 거 아니냐! 라고 질문하신 거 같은데,
이건 그냥 이런 문제에서 그렇게 안 다룬다 정도로 이해하시면 될 것 같아용
다만 평가원에서 저런 상황에서 순편익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게 일반적인 건지는 잘 모르겠네요 그건 저도 찾아봐야 알 듯
기회비용 따지면 그 말이 맞네요. 애초에 문제가 사설이라 문제가 있는듯..?
나 까먹고 있었는데 너 전국에 몇 없는 수능 경제 만점자였구나 진짜 개쩌네
흐흐 저희때는 18명이었서요
옹 그렇구나...
평가원은 지금껏 단일 재화에 대한 순편익 비교를 안 물어봤던 것 같긴 한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