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질문이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487165
순편익이 양의 값이 될 때는 합리적 선택일 때만 그런거 아닌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벌써부터 우울하구나...
-
친구한테 기하런+훈 현강 주입시켯는데 나 개새끼냐?
-
국어:기출 수특 수학 :뉴런 실모 영어 :단어 기츌 화핫 :크포 실모 ㅈㅣ구 개념 기츌 할수잇겟됴
-
난 진짜 존나싫어함 쟤네땜에 물리선택함
-
수능이 개쉬워보였는데 수능 공부하니까 전공이 개쉬워보임
-
솔직히 지금 개념 돌리기 + 백건아 하이앤드 모의고사 말고는 사실상 할 수 있는게...
-
구청에 장학금60만원도 신청할수있고 지각해도 담임쌤이 눈감아줌 청소도 면제임..ㄹㅈㄷ
-
죽을까 ㅎㅎㅎㅎㅎ
-
커뮤ㅠㅠ커뮤ㅠ
-
과탐 다합쳐도 10만안되지?
-
물1 거의 노베면 현강 방인혁 현정훈 누구 들어야하나요 3
개념만 한번 하고 갈 것 같습니다
-
이자식 죽이고 자야하는데 어디간겨 하…
-
컷 왤케 갖다박았누 ㄷㄷㄷㄷ.. 세사는 어려운거 없었고 동사는 베트남 개항사랑...
-
상식적인 내용이 대부분이고 개념도 별로안어렵고 재밋게 읽을만하더라
-
물리지구인데 0
시대컨이랑 시대 강사컨보단 쉽게 나오갰지??
오류인 듯
다 틀린 거 아닌가
저도 경제 뉴비라 정확하지는 않을 수 있음
아래 댓 한 번 봐주실 수 있나요?
저 경제 선택자는 아니지만 경제학부생인데
당연히 5번 아니에요?
합리적 선택은 순편익이 가장 클 때이지 양인지 음인지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것 아닌가.
5번 선지의 경우 총지출액이 가장 클 때 (=소비량 5) 순편익은 27-26=1 이니 참 아닌가
그런듯 위에는 총지출이고 밑에는 한계편익인데 잘 안보고 한 것 같음
덧붙이자면,
다수 선택 (대안 여러개) 일 때는 순편익이 양수인 게 하나밖에 없는 게 맞아용
다만 이런 타입의 문제는 각각의 개수를 구매할 때를 서로의 대안으로 보는 다수 선택 문제가 아니라, 하나 하나의 상황에서만 바라보는 단일 선택이고, 각각의 상황이 벌어졌을 때의 편익과 지출(명시적 비용)만을 표를 통해 제공하고 있다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아요.
따라서 순편익이 편익-명시적 비용 이 되고, 따라서 양수인 상황이 여러 개 나올 수 있어요
4개 사는 게 5개 사는 거의 대안인거로 바라보면 암묵적 비용 생각했을때 5개 사는 건 순편익이 마이너스인 거 아니냐! 라고 질문하신 거 같은데,
이건 그냥 이런 문제에서 그렇게 안 다룬다 정도로 이해하시면 될 것 같아용
다만 평가원에서 저런 상황에서 순편익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게 일반적인 건지는 잘 모르겠네요 그건 저도 찾아봐야 알 듯
기회비용 따지면 그 말이 맞네요. 애초에 문제가 사설이라 문제가 있는듯..?
나 까먹고 있었는데 너 전국에 몇 없는 수능 경제 만점자였구나 진짜 개쩌네
흐흐 저희때는 18명이었서요
옹 그렇구나...
평가원은 지금껏 단일 재화에 대한 순편익 비교를 안 물어봤던 것 같긴 한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