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질문이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487165
순편익이 양의 값이 될 때는 합리적 선택일 때만 그런거 아닌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끼얏호우~
-
창평초 김창평 0
이왜진
-
쫌 짜치네 조교들 아끼는건 알겠는데 ㅅㅂ 중딩때 가오충이 내사람들~ 이러는거 같음
-
지학특 2
처음공부할땐4페이지고난도계산문제가어려움 근데 실모시즌쯤 되면 1,2페이지가 문제임
-
어차피 과탐은 필수나 가산점 대학에서만 경쟁할텐데 적을수록 좋지. 현역 인구도 많은데.
-
5번 골라서 틀렸는데 5번선지에서 철수랑 민희가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서 틀린말이 될수도 있지않나요?
-
흠..
-
플리에 들을게 없다
-
요즘 KBS OVS 농축 이게 삼대장인거임? 아니면 그냥 커리 타는 강사듣나용..?
-
번장에서 싸게들 많이 팔아서 양치기용으로 살까말까 고민중인데… 별로일까요?
-
맞는게 취향임 3
상대가 수능이면 더욱 좋음
-
매운냄새남
-
작년에 사문 쳤습니다. 6모 42점 3등급 받았습니다. 지금부터 다시 사문...
-
오늘의 저녁 1
편의점 김밥
-
궁금한거잇음 0
논술에서 내신 반영 되는 곳들 중에 석차 등급이랑 석차백분율에 따라서 석차 등급...
-
이중합격은 등록절차 끝난 다음에, 그러니까 합격증으로 뱃지는 받은 다음에 거른다던데
-
혼자공부하다가 6모부터 과외로 공부했는데 이번에 9모 끝나면 혼자 공부하려합니다...
-
마블 히어로 중에서 가장 쎈 캐릭터 누구라고 생각함 8
지구인 한정으로
-
뇌내화실(腦內花室)
-
중등수준의 단어를 모른건가
-
이게 현실이었음,,
-
에타에올렷는데핫게에갓음 오랜만에오르비계정도생각나서 와봄 물론 칼은 탈착이 됨본체의...
-
수면 패턴은 정상화됐는데 식사 패턴이 ㅈ박음. 걍 하루에 한 끼만 먹는 듯
-
저녁 뭐 먹지 16
편의점 갈까
-
깨달은 점 댓글로 적고가줘라.. 대학가면 새길게 현재 나보다 ㅈ된 사람은 없을거라 빈다..
-
왜 이러지.
-
사실이 그 사람에겐 상처가 될 수 있음 ㅇㅇ
-
ㄷㄷㄷㄷㄷㄷ
-
하아 친구가없다
-
홍콩이 중국인 줄 착각한게 우스웠냐!! 모를수도 있잖아…
-
그냥 좋은 사람 나타나도 까불지 말고 기다리기만 해야겠지..
-
리트로 단련되어서 그런가 독서지문 이해는 별로 안 어려울것 같은데
-
9평전까지 2개만 풀려하는데
-
개화 노이즈도 어려워 #~#이문제도 어려워 걍 공포소구급으로 도배됐으면좋겟다
-
어차피 수능에 안 나오니까??
-
다 같은 동네 애들이라 유대감이 더 끈끈하고 아무때나 나오라고 부를수있고 그냥 그냥너무좋았음
-
룸메 중국인이네 13
근데 홍콩사람이라 영어 개잘해서 영어로 대화함
-
일단 지금은 고등학교때로 돌아갈래 아님 삼수할래 하면 바로 삼수 고를거같음 중학교때가좋앗지
-
솔직히 고등학교 2
존나 재밌긴함 좆반고라 그런지 그런데 씨발 정시 하나밖에 안남으니 스트레스가 좆됨
-
좀 우당탕탕 푼거 같긴 해
-
국어 버리고 수탐을 파라고 괜히 이도저도 아니게 하다가 다조지는게 병신인거지...
-
고등학교보단 8
중학교가 좋았는데.. 고2,3이 젤 암흑기에여
-
졸면서 국어 푸는게 점수가 잘나오지 개씨발
-
현대 미의 기준 18
대 마 귀
-
체육시간에 친한애없어서 먼산바라보며 멀뚱멀뚱 혼자 가만히 서있어서 무안해죽겠는게 내...
-
그럼 국어 버리고 수탐에서 승부보면 되잖아 개꿀아니냐?
오류인 듯
다 틀린 거 아닌가
저도 경제 뉴비라 정확하지는 않을 수 있음
아래 댓 한 번 봐주실 수 있나요?
저 경제 선택자는 아니지만 경제학부생인데
당연히 5번 아니에요?
합리적 선택은 순편익이 가장 클 때이지 양인지 음인지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것 아닌가.
5번 선지의 경우 총지출액이 가장 클 때 (=소비량 5) 순편익은 27-26=1 이니 참 아닌가
그런듯 위에는 총지출이고 밑에는 한계편익인데 잘 안보고 한 것 같음
덧붙이자면,
다수 선택 (대안 여러개) 일 때는 순편익이 양수인 게 하나밖에 없는 게 맞아용
다만 이런 타입의 문제는 각각의 개수를 구매할 때를 서로의 대안으로 보는 다수 선택 문제가 아니라, 하나 하나의 상황에서만 바라보는 단일 선택이고, 각각의 상황이 벌어졌을 때의 편익과 지출(명시적 비용)만을 표를 통해 제공하고 있다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아요.
따라서 순편익이 편익-명시적 비용 이 되고, 따라서 양수인 상황이 여러 개 나올 수 있어요
4개 사는 게 5개 사는 거의 대안인거로 바라보면 암묵적 비용 생각했을때 5개 사는 건 순편익이 마이너스인 거 아니냐! 라고 질문하신 거 같은데,
이건 그냥 이런 문제에서 그렇게 안 다룬다 정도로 이해하시면 될 것 같아용
다만 평가원에서 저런 상황에서 순편익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게 일반적인 건지는 잘 모르겠네요 그건 저도 찾아봐야 알 듯
기회비용 따지면 그 말이 맞네요. 애초에 문제가 사설이라 문제가 있는듯..?
나 까먹고 있었는데 너 전국에 몇 없는 수능 경제 만점자였구나 진짜 개쩌네
흐흐 저희때는 18명이었서요
옹 그렇구나...
평가원은 지금껏 단일 재화에 대한 순편익 비교를 안 물어봤던 것 같긴 한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