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반생 · 1400982 · 08/29 16:15 · MS 2025

    뭐 틀리셨나요

  • andysh · 1257956 · 08/29 16:18 · MS 2023

    국어 문학 틀렸어요

  • 지만이 · 1175137 · 08/29 16:16 · MS 2022

    어디 의대에요?

  • andysh · 1257956 · 08/29 16:19 · MS 2023

    아마 인서울? 일거에요

  • 지만이 · 1175137 · 08/29 16:19 · MS 2022

    탐구 뭐하셨어요?

  • andysh · 1257956 · 08/29 16:19 · MS 2023

    물1화1 했어요!

  • X11 · 1362750 · 08/29 16:21 · MS 2024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다이버전스 · 1144209 · 08/29 16:19 · MS 2022

    일주일 정도에 수학 기출 인강 한 바퀴 돌린다고 하면 복습을 단원마다 하는게 나을까요 아님 한 바퀴 돌리고 한 번에 하는게 나을까요

  • andysh · 1257956 · 08/29 16:20 · MS 2023

    본인한테 편한 방법으로 하시면 될 것 같아요

  • 천재명 · 1286122 · 08/29 16:21 · MS 2023

    국어 실모 뭐 풂?

  • andysh · 1257956 · 08/29 16:21 · MS 2023

    국어 실모는 안 좋아해서 학교에서 산 이감 모의고사만 풀었어요

  • 대깨수의 · 1401317 · 08/29 16:29 · MS 2025

    시간 주면 다 풀 수 있는 실력 정도는 되는데, 시간이 부족하네요... 극복하려면 양치기 하는게 맞을까요

  • andysh · 1257956 · 08/29 16:31 · MS 2023

    무슨 과목을 풀 때 오래 걸리시나요?

  • 대깨수의 · 1401317 · 08/29 16:31 · MS 2025

    다 오래 걸리긴 합니다만 뚫고 싶은건 수학이에요

  • andysh · 1257956 · 08/29 16:34 · MS 2023

    빨리 풀기 위해선 실모든 n제든 문제를 많이 풀어보는 것이 중요하고,
    아주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려면 문제에 대해 깊게 고민하는 것이 중요한 것 같아요.

  • 대깨수의 · 1401317 · 08/29 16:35 · MS 2025

    깊게 고민은 참 잘합니다. 다만 실모 풀때, 정해진 시간 안에 푸는걸 너무 못해서 .. 이런 케이스는 어떻게 극복해야하는지 여쭤본거였어요. 그럼 그냥 n제 양치기 하면 될까요

  • andysh · 1257956 · 08/29 16:37 · MS 2023

    혹시 수학 모의고사 풀 때 본인만의 루틴이 있나요? 문제 풀이 순서라든지..

  • 대깨수의 · 1401317 · 08/29 16:38 · MS 2025

    그냥 순서대로 풀다가 15번 건너뛰고 16번부터 21까지 풀고 22건너뛰고 선택 29까지 풀어요. 근데 보통 그 과정까지 가면 시간이 없네요

  • andysh · 1257956 · 08/29 16:39 · MS 2023

    11~14, 20~21, 23~29중에 막히는 경우가 많나요?

  • 대깨수의 · 1401317 · 08/29 16:40 · MS 2025

    요새는 강k 많이 풀고 있는데, 14번에서 막히거나 21번에서 막히거나 하는 경우가 좀 있어요. 보통 많으면 한두개 정도 있는거 같아요

  • andysh · 1257956 · 08/29 16:43 · MS 2023

    두 번 정도 시도해보고 5분 안에 못 풀 것 같다면 넘어가시는 걸 추천드려요!
    그렇게 한 바퀴 돌린 이후에는 남은 문제들 충분한 시간 갖고 풀면 돼요.
    혹시 어려운 문제가 나오더라도 '고등학생이 풀 수 있게 낸 문제겠지.' 생각하면
    시험 볼 때 마음이 조금 편할 거에요

  • andysh · 1257956 · 08/29 16:44 · MS 2023

    결국 문제를 많이 풀어보면 실력이 늘기 때문에 양치기가 당연히 도움이 돼요.
    전 n제 푸는 것보다 실모 푸는 것이 더 재밌어서 고3땐 실모 이것저것 사서 풀었어요.

  • 유일뭉 · 1401621 · 08/29 16:34 · MS 2025

    수학 기출분석 어케 하셧나요

  • andysh · 1257956 · 08/29 16:35 · MS 2023

    수학 기출 분석은 따로 하진 않았어요. 최근 기출 3년치 묶여있는 책 풀고 오답정리 정도 했던 것 같아요!

  • 유일뭉 · 1401621 · 08/29 16:40 · MS 2025

    기출은 오답정리까지만 하면 엔제랑 실모 많이 푸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나요? 3에서 낮2정도에서 오를기미가 없어서 고민입니다 ㅜ

  • andysh · 1257956 · 08/29 16:46 · MS 2023

    옛날 기출들 아직 안 풀어보셨다면 풀어보세요! 17~21에도 고민해볼 만한 문제들이 꽤 있어요. 그리고 쉬운 n제나 쉬운 실모 풀어보는 것도 추천드려요. 너무 어렵지 않게

  • 유일뭉 · 1401621 · 08/29 17:15 · MS 2025

    넵 답변 감사드려요!
  • 실수픈허수 · 1238768 · 08/29 17:12 · MS 2023

    물리 시간 어떻게 줄여요..? 맨날 1문제 못푸는데...

  • andysh · 1257956 · 08/29 17:13 · MS 2023

    문제 읽고 생각하는 시간, 풀이 방법 찾고 실제로 푸는 (식 쓰고 계산하는) 시간을 줄이면 돼요.

  • andysh · 1257956 · 08/29 17:14 · MS 2023

    여러 문제 접해보며 고민하다 보면 문제를 이해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이 단축될 것이고, 그런 식으로 많이 풀다 보면 식 쓰고 계산하는 시간이 줄어들 거에요!

  • 실수픈허수 · 1238768 · 08/29 18:00 · MS 2023

    감사합니다!

  • 악깡버의세계 · 1295200 · 08/29 17:30 · MS 2024

    원래부터 적백이셧나요

  • andysh · 1257956 · 08/29 22:09 · MS 2023

    그건 아니었어요

  • 악깡버의세계 · 1295200 · 08/30 12:37 · MS 2024

    지금 시기엔 어떻게 수학 공부 하셨나요?
    1.하루에 몇시간 정도 하셧는지
    2.실모랑 엔제 비중을 어떻개 두셧는지..
    3.어떻게 적백까지 끌어올린건지.,

  • andysh · 1257956 · 08/30 13:11 · MS 2023

    1. 체계적으로 공부하지는 않았어요. 평균 내면하루에 3~4시간 정도는 한 것 같아요!
    2. 실모만 풀었어요. n제는 가끔 친구가 물어볼 때만
    3. 5모때 까진 “풀이 과정이 최대한 짧아야 해” 이 생각이었는데 6,7모 망하고 나서부터는 “그냥 어떻게든 풀어서 맞자”는 마음가짐으로 시험에 임했어요. 계산이 길든 짧든 끝까지 풀기로. 그랬더니 어려움을 극복했던 것 같네요. 물론 운이 따라주어서 시험이 쉬웠던 것일 수도 있지만요.

  • 악깡버의세계 · 1295200 · 08/30 17:13 · MS 2024

    감사합니당!

  • 반달가슴곰은 맹수에요 · 1403640 · 08/29 17:32 · MS 2025

    지린다.. ㄷㄷ
  • 샤대레스고우 · 1278659 · 08/29 18:09 · MS 2023

    압도적인 누적 텍스트량+공부량으로. 수능 국어 찍어 누르려는데 어케 생각하시나오

  • andysh · 1257956 · 08/29 22:04 · MS 2023

    국어 공부의 정수죠!

  • 성탄제 · 1407364 · 08/29 19:37 · MS 2025

    국어 시 공통점 문제 서치로 푸시나요 아니면 한 번에 읽고 바로 푸시나요? 후자라면 어떤 생각하면서 풀어야 하는지 알려주세여?

  • andysh · 1257956 · 08/29 22:05 · MS 2023

    서치로 찾아보고 바로 안 보이면 읽고 풀어봅니다.
    읽고 풀 때는 선지에 있는 요소 기억하며 (가)읽고 쳐내고, (나) 읽는 식으로 풉니다

  • 문지컬 디망생 · 1023909 · 08/29 19:48 · MS 2020

    작수 개화나 작작수 노자의 도 같은 가나지문 읽는 흐름이 어캐되시나요?

    읽으면섶 사상가 위치 파악해두고 문제풀때 다시 돌아온다던가 하는

  • andysh · 1257956 · 08/29 22:19 · MS 2023

    (가) 읽고 (가) 관련 문제 풀고 (나) 읽고 나머지 풀어요. 보기문제는 가장 마지막에 풀구요.
    사상가는 동그라미? 쳐줘요.ㅋㅋㅋ

  • 문지컬 디망생 · 1023909 · 08/29 22:31 · MS 2020

    흠 저랑 똑같군요 그냥 능지차이인가보네요

  • 초승달 · 1165136 · 08/29 19:58 · MS 2022

    앞구르기 할줄 아시나요

  • andysh · 1257956 · 08/29 22:06 · MS 2023

    옆구르기도 합니다.

  • 필라짐 · 1298238 · 08/29 20:03 · MS 2024

    국어랑 수학은 각각 몇점에서 100점으로 올리신건가요?

  • andysh · 1257956 · 08/29 22:07 · MS 2023

    국어는 거의 95이상이었고, 수학은 가장 낮은 점수가 85였어요

  • 박채영 · 1319574 · 08/29 21:37 · MS 2024

    추천하시는 수학 교재나 n제 있을까요?

  • andysh · 1257956 · 08/29 22:09 · MS 2023

    n제는 드릴드만 풀어봤는데, 친구들 질문 받아보며 책 보니까 다른 책들도 괜찮더라구요. 딱히 추천드리는 것은 없습니다. 기출교재 한완기가 디자인은 가장 맘에 들었어요

  • 이미사용중인닉네임입니다 · 1258383 · 08/29 22:05 · MS 2023 (수정됨)

    치킨 어디 브랜드

    무슨 치킨 제일 호
  • andysh · 1257956 · 08/29 22:09 · MS 2023

    굽네 가장 좋아해요

  • 3수라니 · 1351718 · 08/29 22:19 · MS 2024 (수정됨)

    사설문학이랑 평가원 문학이랑 뭐가 다른지 모르겠어요..
    이감, 덮 같은 문학들은 거의 다 맞는 편 같은데 왜 평가원만 보면 더 시간도 오래걸리고 정답률도 낮은 걸까요..

  • andysh · 1257956 · 08/29 22:22 · MS 2023

    실제 시험이라 더 긴장한 것은 아닐까요? 저는 오히려 이감이 더 어려웠던 것 같아요.
    저는 수능 2주 전부터 이감 그만두고 국어 기출을 11~24까지 6, 9, 수능 다 풀어봤어요.
    틀렸다면 오답 고른 이유 생각해보고, 정답 선지는 정답인 이유 찾아보며 정리해봤습니다!

  • 3수라니 · 1351718 · 08/29 22:23 · MS 2024

    의대생분들은 다 본질에 충실하시네요.
    기출 열심히 해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당 편안한 밤 되세요!

  • andysh · 1257956 · 08/29 22:24 · MS 2023

    넵 화이팅입니다!

  • 현우진이창무한석원김성호 · 1387294 · 08/29 23:27 · MS 2025

    사설 88-92 진동하는데 기출 다시볼까 고민 중인데 굳이 필요 없을까요? 3-4월쯤에 3회독 정도 했는데 이후에 안봐서 거의 까먹은 상태긴 합니다 친구가 추천하길래 좀 고민되더라구요

  • andysh · 1257956 · 08/29 23:36 · MS 2023

    그 정도 실력이면 기출은 굳이 반복하지 않아도 될 것 같아요. 2~3 문제 정도를 본인이 왜 못 푸는지(또는 다른 문제 풀 때 어디서 시간을 많이 잡아먹는지)에 대해 고민해 보세요! 그리고 실모 점수가 잘 안 나와도 너무 걱정하진 마세요. 오히려 약점을 찾아 보완하는 계기가 될 수 있어요!

  • 현우진이창무한석원김성호 · 1387294 · 08/29 23:54 · MS 2025

    감사합니당 좋은 주말 보내세요

  • andysh · 1257956 · 08/30 00:09 · MS 2023

    넵 힘내세요!

  • 극 야 · 1402241 · 08/30 00:11 · MS 2025

    몇년도 수능 보신건가요

  • andysh · 1257956 · 08/30 00:26 · MS 2023

    2025입니다

  • 극 야 · 1402241 · 08/30 00:27 · MS 2025

    특정완료.

  • andysh · 1257956 · 08/30 00:28 · MS 2023

    그게 돼요??

  • 머하 · 1171097 · 08/30 00:14 · MS 2022

    물리 어떻게 공부하셨어요?

  • andysh · 1257956 · 08/30 00:27 · MS 2023

    물리는 친구들 도움을 받았어요

  • andysh · 1257956 · 08/30 00:47 · MS 2023

    전 물리가 약했는데 물리 잘하는 친구들이 몇 명 있어서 빨리 푸는 방법들을 배웠습니다. 그리고 자습 시간에 알려준 대로 연습했죠

  • 화1표점135점 · 1209354 · 08/30 00:48 · MS 2023

    26수능 재미로 쳐볼거라 국어 투자할 시간 거의 없는데 감 잡는 용으로 뭐 하면 좋을까요

  • andysh · 1257956 · 08/30 00:50 · MS 2023

    그럼 그냥 기출만 풀어봐도 될 것 같아요. 올해 교육청, 평가원 문제들이나 작년, 재작년 평가원 정도?

  • 돌해린 · 1378508 · 08/30 02:15 · MS 2025

    만점을 못 받았다는 아쉬움이 크신가요

  • andysh · 1257956 · 08/30 02:44 · MS 2023

    아쉬움이 없다고 말하면 거짓말이겠죠. 다만 수능 점수에 너무 연연하지 않으려고 합니다. 이미 지나간 것이니까요.. 그래도 열심히 공부한 결과로써 받아들인다면 나름 뿌듯합니다!

  • 통통이엔제금지 · 1330868 · 08/30 02:18 · MS 2024

    국어 들어보시고 좋다고 느껴지신 강사분 있나요?

  • andysh · 1257956 · 08/30 02:49 · MS 2023

    국어 강사분들을 릴스에서만 봤던 것 같아요. 고등학교 올라올 때만 해도 문학 용어조차 모르던 쌩 노베라, 학교 수업을 잘 들었던 것이 도움이 꽤 된 것 같아요. 도움이 되지 못해 미안합니다...

  • 통통이엔제금지 · 1330868 · 08/30 03:14 · MS 2024

    이런!!!!!
  • 흑흑흑 · 1274469 · 08/30 10:00 · MS 2023

    국어 문학 풀 때 보기 읽고 푸시나요?
    국어 실모나 6모에서 독서는 35분 안에 끊고 대부분 0~2개틀인데 문학에서 시간을 25~30 쓰는데도 다 맞은 적이 거의 없어서 고민입니다. 문학에서 시간 줄이는 거의 핵심은 뭐라고 생각하시나요?

  • andysh · 1257956 · 08/30 13:03 · MS 2023

    네 보기 읽고 풀어요. 저도 문학은 그정도 걸려서 시간 단축은 잘 모르겠네요... 오히려 독서 시간을 줄이는 편이었어요

  • 리뤄뤌리하지못한김상훈 · 1338198 · 08/30 13:27 · MS 2024

    수학 11,12,13,20,29번이 잘 안 플려서 2등급에 도달하지 못하는 학생입니다. 11,12,13,20,29번정도의 번호대의 문제들을 심도있게 고민하며 문풀을 하는게 나을까요? 10분정도 고민하고 그냥 해설지 보고 푸는게 나을까요..? 목표는 딱 2등급입니다!

  • andysh · 1257956 · 08/30 13:42 · MS 2023

    2등급 목표시면 후자가 나을 듯 합니다. 풀이를 충분히 이해할 때까지 해설지 보시고, 몇일 뒤에 다시 풀어서 정확히 알게 되었는지 확인해 보세요

  • 리뤄뤌리하지못한김상훈 · 1338198 · 08/30 13:56 · MS 2024

    넵 감사합니다! 그러면 위에 언급한 제 상황에서 일단 기출만 풀어도 된다고 생각하시나요? 아니면 기출이랑 입문n제를 병행하는게 낫다고 보시나요??

  • andysh · 1257956 · 08/30 13:57 · MS 2023

    입문n제까진 괜찮을 것 같아요!
    본인이 느끼기에 약간 어려운 정도의 문제를 푸는 것이 가장 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 자사고 간다 · 1174041 · 08/30 14:19 · MS 2022

    1. 국어 실모는 9모 이후 몇개 정도 푸셨나요? 시간관리 연습 위해 교육청 최근 3개년치는 다 풀어서 마땅한 대체재가 사설밖에 없는데 사설을 많이 좋아하지 않아서요. 시간 관리를 어떤식으로 연습하셨는지 궁금합니다

    2. 9모 이후 수학 어떤 공부를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실모도 몇개 푸셨나요?

  • andysh · 1257956 · 08/30 15:07 · MS 2023

    이감 모의고사만 나오는 대로 모두 풀었어요. 그리고 평가원 기출은 수능 직전(2주 전)에 2011~2024까지 풀었습니다. 이게 꽤나 도움이 되었던 것 같아요!
    시간 관리를 위해서는 우선 목표를 정해야 해요. 저는 독서 25분, 문학 20분, 언매 15분 잡고 푸는 연습을 했어요. 시험은 어떨 지 모르기에 최대한 타이트한 목표를 잡은 것이죠. 목표를 세운 후에는 부족한 부분을, 여러가지 방법을 통해 해결하면 돼요!
    9모 이후부터 과목 밸런스를 챙기기 시작했어요. 그래서 실모는 1주에 2~3개 정도 풀었던 것 같아요.

  • 자사고 간다 · 1174041 · 08/30 15:23 · MS 2022

    이감 모의고사가 얼마나 나오는지 몰라서 그러는데 대략 일주일에 몇번 정도 국어 모의고사 보신건가요?

  • andysh · 1257956 · 08/30 15:44 · MS 2023

    1주일에 모의고사 1회, 문학 독서 각 30문제 정도입니다.

  • 나보다더높은곳이있을뿐 · 1380548 · 08/30 14:39 · MS 2025

    1 .국어에 고전시가 수필세트는 어떤 방식으로 푸시나요?
    2.수능 3주전부터는 어떻게 공부하셨나요?

  • andysh · 1257956 · 08/30 15:13 · MS 2023

    1. 이 세트를 풀 때는, 보기(보통 2개)들을 읽어보고, 가장 이해하기 쉬울 것 같은 지문을 먼저 읽어요. 그리고 그 지문 관련 문제 풀고, 그 다음으로 쉬운 작품 읽고 문제 풀고, 마지막 작품 읽고 나머지를 풀어요
    2. 그때부턴 거의 매일 수능 시간표대로 공부했어요. 5시 이후엔 그날 푼 거 채점하고, 과탐 혹은 국어를 했어요.

  • 반드시 · 684614 · 08/30 15:29 · MS 2016

    공부 시간 분배가 어떻게 되셨나요? 13시간 기준으로 국 수 영 탐 비율이 궁금합니다!(과탐기준)

  • andysh · 1257956 · 08/30 15:46 · MS 2023

    국(3), 수(4), 영(영), 탐(3,3) 정도 될거에요.

  • 반드시 · 684614 · 08/30 16:50 · MS 2016

    ㅋㅋㅋ영어,,답변 감사합니다 ㅎ 혹시 국어 독해력 늘리는 데에는 어떤 방법이 최고일까요..

  • andysh · 1257956 · 08/30 17:21 · MS 2023

    글을 많이 읽어보세요. 뻔한 소리지만 동시에 가장 본질에 가까운 말이죠. 그리고 여러가지 방식으로 읽어보는 것도 좋아요. 저는 천천히 읽되, 한 문장 읽고 이해하고, 다음 내용을 예측하는 방식으로 읽어본 것이 유용했던 것 같아요. 예측을 하면 그게 틀리든 맞든 다음 내용이 더 잘 기억나거든요!

  • 반드시 · 684614 · 08/30 17:30 · MS 2016

    감사합니다!!!! 죄송스럽지만 한가지 더 질문을 드리고싶어요. 지금 실력은 백분위 96~98쯤 되는데 제가 목표가 99~100이라 독해력을 끌어올리고 싶어서, 수능특강,완성,교육청,리트 등등 평가원 기출이 아닌 새로운 지문들을 평가원 기출 독해하듯 연결하고 예측하면서 독해하는 걸 양치기 느낌으로 해도 괜찮을까요? 사람들이 기출이 최고다 중요하다..하니까 조심스러워서요

  • andysh · 1257956 · 08/30 17:39 · MS 2023

    넵 스스로를 믿고 가면 됩니다. 다만 수능 직전엔 평가원 기출로 감 유지 해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이런 고민을 하는 것 자체가 대단히 훌륭한 태도에요. 걱정 말고 화이팅하세요!

  • 이네오스 · 660910 · 08/30 15:42 · MS 2016

    수학 탐구 모의고사는 몇회분정도 푸셨나요

  • andysh · 1257956 · 08/30 15:46 · MS 2023

    실모 말씀이신가요?

  • 이네오스 · 660910 · 08/30 16:25 · MS 2016

  • andysh · 1257956 · 08/30 16:38 · MS 2023

    이해원, 킬캠, 샤인미, 등등 대략 40개 쯤 풀었던 것 같아요.
    과탐은 실모를 9모 이후 부터 시작해서 많이 사긴 했으나 다 풀지 못했네요. 물리 7개, 화학 20개 정도 푼 것 같아요.

  • ksh081204 · 1334071 · 08/30 16:00 · MS 2024

    기출은 어디까지 해야 안 봐도 되나요? 따로 풀땐 8n~9n점댄데 실전에선 3등급이면 뭐를 해야할지 모르겠어요 30 같은 거도 시간만 주면 다 풀수는 있는데 10개중에서 4개는 맞춥니다 현 고2입니다

  • andysh · 1257956 · 08/30 16:41 · MS 2023

    고2 기준 고3 기출 풀 때 그 정도라면 나쁘지 않아요. 고3 전까지 옛날 30번, 21번 문제들 풀면서 시간 넉넉히 잡고 깊게 고민해보세요! 기출은 다시 풀었을 때, 실수 없을 때 까지 반복하면 돼요.

  • ksh081204 · 1334071 · 08/30 16:50 · MS 2024

    저 그러면 기출을 풀때 어떤 문제에서 A라는 문제엔 sina:sinb=5:7이 나오고 B라는 문제엔 두 넓이의 비율이 3:4비율이라는 조건으로 나왔을때 이게 만약 옛날 기출에서 풀었던 조건이면 다시 나온 이 조건의 활용법,활용점이 해설에서 쓰임을 보며 공통점을 정리하는 거도 좋나요? 작수 14번에 나온 이 조건이 A,B라는 교육청 기출에 있던 조건이랑 숫자만 바꾼 조건이라서요

  • andysh · 1257956 · 08/30 17:18 · MS 2023

    매우 좋은 방법이에요!! 똑같은 문제가 출제될 리는 없지만 비슷한 유형은 언제든지 다시 등장할 수 있거든요.

  • ksh081204 · 1334071 · 08/30 17:21 · MS 2024

    답변 감사합니다

  • andysh · 1257956 · 08/30 17:22 · MS 2023

  • Noxe · 1404011 · 08/30 16:31 · MS 2025

    수학은 양치기가 답일까요?? 3,5모 1컷이었다가 6모 88점 백분위 98, 7모 92점 받고 n제 병행하면서 1일 1실모하고 있습니다.
    또 실모 푸신거는 막 한달뒤에 다시 보고 그러시진 않았나요??

    그리고 국어도 양치기하셨는지 궁금합니다. 하샸다면 어떤걸(사설, 교육청, 평가원 등)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 andysh · 1257956 · 08/30 16:44 · MS 2023

    양치기는 분명 도움이 될 거에요. 충분히 잘 하시고 계시는 것 같습니다!
    오답 정리를 충분히 하면 다시 볼 필요가 없을 것 같아서(사실 다시 꺼내기 귀찮기도 해서) 끝낸 문제를 다시 보진 않았어요. 물론 이건 사설 문제 기준이고, 기출 문제는 반복했어요.
    국어는 평가원 기출 양치기를 했어요.

  • 두번째이자마지막수능 · 1297603 · 08/30 17:47 · MS 2024

    물리학 역학파트 어떻게 공부했는지 팁이 간절합니다 ㅠㅠㅠㅠㅠ

  • andysh · 1257956 · 08/30 18:12 · MS 2023

    저희는 수업 시간에 문제를 푼 후 한 명씩 설명하는 시간을 가졌어요. 그때 정말 좋은 풀이가 있으면 그 친구한테 배웠어요. 혼자 공부할 때는 어려운 문제를 반복해서 풀며, 가장 빠른 풀이를 찾아봤어요. 같은 문제를 여러 번 반복하기와 비슷한 유형의 문제를 많이 푸는 게 도움이 되었습니다.

  • andysh · 1257956 · 08/30 18:13 · MS 2023

    간단한 풀이를 찾는 것도 중요하고, 손이 바로 나갈 수 있는 풀이를 갖고 있는 것도 중요한 것 같아요.

  • Souvenior · 1089014 · 22시간 전 · MS 2021

    수학 푼 문제들은 어떻게 하셨나요?
    다시 보고 싶을 정도로 얻을게 있었던 문제는 보관해두고 가끔씩 보고 싶은데 고민이네요

  • andysh · 1257956 · 22시간 전 · MS 2023

    전 '나중에 보겠지~' 생각해서 집에 쌓아두고 있는 자료가 꽤 있지만 아직까지도 펼쳐본 적이 없어요 ㅋㅋㅋ
    다 푼 문제들은 다시 보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물론 제 방법만이 정답은 아니겠죠. 따로 파일에 모아두시고 가끔 보는 것도 좋겠네요.

  • Souvenior · 1089014 · 22시간 전 · MS 2021

    그럼 수학 실력이 어떻게 해서 늘었다고 생각하시나요?

  • andysh · 1257956 · 22시간 전 · MS 2023

    문제를 만들어보기도 했고, 어려운 문제를 친구들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도 했어요. 문제를 푸는 것 외에도 다른 방식의 공부들이 나름 도움이 되었던 것 같아요. 다시 풀어보지 않아도 기억이 남는다면 복습은 안 해도 될거에요.

  • Souvenior · 1089014 · 21시간 전 · MS 2021

    감사합니다

  • User01077033 · 1363248 · 19시간 전 · MS 2024

    의대는 어때여?

  • andysh · 1257956 · 18시간 전 · MS 2023

    그냥저냥이에요. 기대한 바도 딱히 없었고, 지금까지는 뭔가 구체적인 목표를 세운 적도 없어서 큰 감흥은 없는 것 같아요... 자유롭긴 하지만 오히려 망망대해 같기도 하구요.
    물론 나쁘다는 말은 절대 아니에요! 제가 원래 적응하는 데에 오랜 시간이 걸려서 그런 것 같습니다.

  • 호또 · 1253197 · 19시간 전 · MS 2023

    9평 남은3일 공부계획 질문드립니다 제가 수학이 약해요
    엔티켓 다풀고 틀렸던거만 빈종이로 프린트해서 수2는 오답을 2회독을 다 햇구요
    수1은 아직 오답2회독을 다 못했어요
    그상태에서 수2부터 조지자는 생각에 4규 수2를 몰아서 풀고 지금 적분20문제가 남았는데요
    일단 4규 수2를 다 끝내고 엔티켓 수1 오답을 마무리 하고 9평을 보는게 좋겠죠?
    제 계획대로라면 수2 4규 싹 끝내고 엔티켓 오답2회독 다 끝내고서 월요일에 전과목 실모 풀어보는 시간을 갖고
    9평 바로 전날 오답 중점으로 보는날을 가질 때 수2 4규랑 수1 수2 엔티켓 틀렷던거 다 다시보려고 했거든요
    근데 또 생각해보니까 기출같은거 봐야되나 생각도들고;;

  • 호또 · 1253197 · 19시간 전 · MS 2023

    질문이 많아서 죄송하지만 ㅠ 국어도 질문드려봅니다
    국어같은경우에 제가 재수생인데 작수 언매99를 받았습니다 그런데 제 온전한 실력은 아니라고 생각해요 운이 좋았습니다 제 인생 최고로 잘본 국어시험이 수능이었거든요
    그래도 상상이감을 응시하면 1은 나오는데... 평가원을 보면 냉정히 작수빼고서 백분위 95~97을 왔다갔다합니다 1등급 안에서 더 높은 1등급으로 가는법은 찾아봐도 잘 있지가 않아서요ㅠㅠ
    또 추가로 언매가 취약한데 언매하셨다면 공부법 궁금합니다

  • andysh · 1257956 · 18시간 전 · MS 2023

    언매는 어려운 문제가 몇 년에 한 번씩 나오는 것 같아요. 매체는 현대인이라면 달인에 가깝고 (실수만 안 하면 금방 풀 거에요.) 그나마 어려운 것은 문법 문제인데, 그래봤자 시간 잡아먹는 것은 35 36번 문제들이죠. 그래서 저는 언매 풀 때, 35 36은 가장 마지막에 풀어요. 나머지 언어 문제들도 실수하거나 오개념이 있는 것이 아닌 이상 금방 풀 수 있기 때문에, 평소에 개념 복습을 해주면 좋아요. 개인적으로 독서를 빨리 끝내고 언매를 여유롭게 풀자는 생각이었어서 언매 관련 팁은 이 정도가 끝입니다!

  • andysh · 1257956 · 18시간 전 · MS 2023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andysh · 1257956 · 18시간 전 · MS 2023

    수학 오답도 중요하지만 오히려 특정 문제의 풀이 방식이 강하게 기억에 남아서 실제 시험에 독이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해요. 너무 부담 갖지 마시고 시험 직전엔 기출 1개 정도만 풀어보는 게 어떨까요? 저는 해야 할 것에 얽매이면 괜히 긴장만 더 되더라구요. 그래서 저라면 내일까진 오답하고 남은 것은 9모 이후로 미룰 것 같습니다!

  • 8qpd7e · 1352937 · 18시간 전 · MS 2024

    앞에서 기출 3개년치, 오답 정리하셨다고 말씀하셨는데
    수학 기출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기출 공부를 꼼꼼히 해 본 적이 없어 궁금합니다(84~88점)

  • 8qpd7e · 1352937 · 18시간 전 · MS 2024 (수정됨)

    +15 21 22 같은 문제들을 풀어내기 위해서는 무슨 능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시나요

  • andysh · 1257956 · 6시간 전 · MS 2023

    정확히 풀 수 있고 풀이를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을 정도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단순히 여러 번 반복하는 것보단, 정확히 아는 지를 기준으로 생각하면 돼요!

  • 숭쇼 · 1051589 · 17시간 전 · MS 2021

    70일 기적이 존재한다고 생각함?

  • andysh · 1257956 · 6시간 전 · MS 2023

    지금까지 꾸준히 했던 사람이라면 70일 도중에 실력이 급상승하는 구간이 있을 수도 있어요. 평소에 대충 하다가 갑자기 시작한다면 쉽지는 않아 보입니다. 물론 재능이 충분하다면 기적은 당연히 가능하죠!

  • summerinuarea · 1319143 · 11시간 전 · MS 2024

    문학 공부법 궁금해요 작수 문학 어케 뚫으셨나요ㅠㅠ

  • andysh · 1257956 · 6시간 전 · MS 2023

    문학은 평가원 기출이 정말 큰 도움이 돼요! (개인적으로는 ebs 연계 체감이 안되었던 것 같아요ㅠㅠ) 문제를 풀고, 틀린 문제가 생기기를 기다려야해요. 만약 틀렸다면 큰 기쁨을 느끼고! 오답 정리를 하면 돼요. 내가 처음에 오답을 고른 이유를 찾고, 실제 정답의 이유를 찾는겁니다.

  • Serene_ · 1051936 · 6시간 전 · MS 2021

    작수 문학 뭐 틀리신지?
    작수 수학 20번같은 문항에서 당혹감을 느끼시거나 느끼고 해결책?

  • andysh · 1257956 · 6시간 전 · MS 2023

    문학은 소설 틀렸습니다.
    20번 좀 당황스럽긴 했어요. 기출에서 본 적 없었던 형태라. 그래서 일단 넘어가고 다시 돌아와서 풀었죠. k값 자체를 구할 수 없다는 것을 알면 주어진 숫자, 미지수를 적절히 변형하여 답을 구해야 한다는 것도 알 수 있어요. 그래서 항상 여러가지 방법에 대한 가능성을 열어두어야 합니다.

  • 오션 · 1347751 · 6시간 전 · MS 2024

    화학1 공부법 알수있을까요?
    지금 3에서 1로 올리려고 엄청열심히 하고 있어요

  • andysh · 1257956 · 5시간 전 · MS 2023

    킬러랑 비킬러로 극명하게 나뉠텐데 우선 비킬러 문제를 아무리 길어도 2분 안에 풀 정도로 만드세요.(되도록이면 1분도 안걸리게) 그 후에 킬러문제를 3,4분 안에 풀 정도가 되면 어느정도 완성된 거에요. 킬러도 우선은 풀 ‘수’ 있어야 하고, 그 다음에 시간을 단축하는 거에요. 저는 자이스토리 사서 같은 문제를(킬러단원) 여러 번 풀며 풀이 과정을 단축했어요. (처음엔 7분, 그담엔 5분, 그담엔 3분 이런식으로) 이걸 고2때부터 해서 고3때는 조금 시간적으로 여유가 있었어요. 다만 단기간에 성적이 급격하게 오르기는 쉽지 않을거에요.. 그래도 힘 내서 좋은 성과 내기 바랍니다.

  • 미쳐가지고 · 1326008 · 5시간 전 · MS 2024

    수학 엔제로 문제 경험은 많이해서
    지금 실모 시간재고 풀고 못 푼거 엔제화,오답
    +학원에서 주는 하프모랑 선택과목 엔제만 풀고 있는데
    예전에 푼 엔제를 다시 회독하는게 필요한 공부일까요..? 다들 그렇게 하는 거 같던데 엔제 회독을 해보셨다면 도움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또 수학 풀 때 시간관리는 어떻게 하셨나요?
    ex) 1~2분 고민하고 안 풀리면 쭉 돌고 돌아온다 등

  • andysh · 1257956 · 5시간 전 · MS 2023

    기출 제외하면 두 번 다시 보지 않았습니다.
    대신 오답정리는 제대로 했어요!
    1~2분 고민해서 풀 수 있을 것 같으면 풀고 너무 오래걸리겠거나 모르겠으면 넘어갔어요. 다시 돌아왔을 때는 5분까지 썼습니다.

  • 가라마나 · 1221734 · 5시간 전 · MS 2023

    문학 갈래별로 읽어야 한다는 말을 많이 들었습니다.
    현대시는 상징, 배경을 읽어야 한다는 경우 상징을 어떻게 읽어야 한디는 것인가요?

  • andysh · 1257956 · 5시간 전 · MS 2023

    전체적인 분위기(주제)에 맞도록 시어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 같습니다. 대부분의 작품은 보기를 읽어서 주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수분진정올인원 · 1311883 · 5시간 전 · MS 2024

    수학 고점 뚫는 법.. 문제 읽으면서 놓치는 부분들이 생깁니다. 예를 들면 이차함수 f(x)에 대하여 x가 한없이 커질 때 루트f(x)가 수렴한다는 조건에서 한없이 커질 때만 생각하면 되는데 루트 보고 f(x)가 0 이상이라 해버리는 등.. 이런 자잘한 부분들 어떻게 교정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