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거또 [613724] · MS 2015 (수정됨) · 쪽지

2025-08-28 17:20:05
조회수 1,012

[광고x] 기계적으로 수완 문학 뜯기 (현대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470290

(869.0K) [56]

기계적으로 문학 뜯기 (현대시).pdf

9월 모의평가는 단순히 점수 확인용 시험이 아닙니다. 지금까지 쌓아온 학습이 수능에서 통할 수 있는지를 점검하는 무대이며, 동시에 남은 두 달간의 학습 방향을 결정짓는 중요한 기준점입니다. 


그렇다면 문학 영역에서 9모 직전에 반드시 갖춰야 할 태도는 무엇일까요?



1. ‘감’이 아니라 ‘근거’로 읽기


많은 학생들이 여전히 문학 문제를 풀 때 ‘분위기상 이런 것 같다’는 식으로 접근합니다. 하지만 시험장에서는 그런 감각적 풀이가 한계에 부딪힙니다. 반드시 작품에서 제시된 기준을 통해 깔끔하게 나눠야 합니다. 


그런데 이거 처음보는게 아닙니다. 고1, 2 혹은 올 초에 공부한 내용들입니다.


수완 실전 1회에 제시된 작품을 통해 같이 연습해보고 갑시다.





어렵지 않은 시지만 그냥 한 번 봐보고 싶었어요.

(여기서 소외된 중하위권 친구들을 위해서....)







시작부터 각종 대상물들을 나열하고 있습니다.


아직 바로 무슨 말을 하는지는 모르겠으나, 나열/열거가 나왔다면, 그들의 공통점이나 차이점을 통해 범주를 묶어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날으는'에서 동적 이미지를, '묶인'에서 정적 이미지를 뽑아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동적 이미지와 정적 이미지는 서로 대비되겠네요.





2. 작품에 대한 ‘거리 두기’


시간이 부족한 상황에서 문학을 완벽하게 감상하듯 빠져드는 것은 위험합니다. 

시험장에서 요구되는 것은 작품 감상의 주체가 아니라 판단의 주체로 서는 태도입니다. 


즉, 작품에서 한 발짝 떨어져서 ‘출제자가 의도한 바’를 판단하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그 의도는 <보기>를 통해 파악할 수 있겠죠.




이처럼 <보기>에서 화자의 상황과 화자와 대상의 관계를 다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난해해보이는 이 부분도 <보기>를 붙여서 바로 납득하고 넘어갈 수 있습니다.







'너를 우러러'에서 화자가 땅에서 하늘을 나는 새를 우러러보고 있다는 것도 알 수 있었습니다.


이게 바로 <보기>의 '벗어나고픈 열망을 형상화'라고 볼 수 있겠죠?


화자는 '땅'이라는 공간 배경에 존재하고 새는 '하늘'이라는 공간적 배경에 존재하는 것이니 위/아래로 대비되겠네요.



이렇게 보니까


전부 다 이미 배운 요소들이지 않나요?


동적/정적, 상승/하강(여기서는 상/하), 지향(우러러봄)


이미 '문학 개념어'라는 명목하에 배웠고 그것을 기준으로 시를 뜯어낼 수 있었습니다.




3. 선지 판단의 습관화


문학 문제는 지문 자체보다 선지에서 시간이 소모됩니다. 따라서 선지를 근거로 지문을 읽는 습관이 자리 잡아야 합니다. 


이는 단순한 풀이 기술을 넘어, 시험장에서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태도입니다.






여기 이 변화가 나타난 부분이


새가 보이다가 점점 화자의 시야를 벗어나며 떠나가는 장면임을 이미지화해도 좋습니다.


그런데 어떤 친구들은 이게 아예 안 됩니다. 그러면 주어진 선지를 판별하며 그 선지 판정의 기준을 통해 작품 독해의 실마리를 얻어낼 수 있어요.


예시에서는 33번의 선지 판단을 하며 도움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4. 시간 의식과 리듬감


문학에서 시간을 과도하게 쓰면 독서에서 반드시 무너집니다. 따라서 전체 20분~30분 이내라는 리듬을 몸에 익히는 훈련이 끝나 있어야 합니다. 


시간 의식은 태도이자 실력입니다. 각 갈래별로 어떻게 전략을 짜서 시간을 줄일 것인지를 생각해보셨으면 합니다.


물론 이번 글은 시간 단축 보다도 기계적으로 반응해서 비효율을 줄이는 쪽의 글이었습니다.








마무리


이런식으로 가볍게 연계 작품들을 통해 각 갈래별로 시간을 단축할 지점을 짚어보겠습니다.


고전과 현대로 나누었을 때, 시간 단축을 집중해야 하는 파트는 고전파트입니다.

고전시가와 고전 소설은 패턴이 정해져 있기 때문입니다.


단적으로 고전시가의 경우 자연친화, 사랑/한/애환 이 두 가지만 잡아도 80퍼 이상 풀립니다.


시간이 부족한 노베이스 친구들은 저 두 가지 주제라도 잘 파악하고 가길 바랍니다.


다음 게시글은 고전시가의 패턴을 가볍게 털고 가겠습니다.




그냥 아무도 수완 안 건드리길래 써보고 있어요.

0 XDK (+5,000)

  1. 5,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