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x] 기계적으로 수완 문학 뜯기 (현대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470290
기계적으로 문학 뜯기 (현대시).pdf
9월 모의평가는 단순히 점수 확인용 시험이 아닙니다. 지금까지 쌓아온 학습이 수능에서 통할 수 있는지를 점검하는 무대이며, 동시에 남은 두 달간의 학습 방향을 결정짓는 중요한 기준점입니다.
그렇다면 문학 영역에서 9모 직전에 반드시 갖춰야 할 태도는 무엇일까요?
1. ‘감’이 아니라 ‘근거’로 읽기
많은 학생들이 여전히 문학 문제를 풀 때 ‘분위기상 이런 것 같다’는 식으로 접근합니다. 하지만 시험장에서는 그런 감각적 풀이가 한계에 부딪힙니다. 반드시 작품에서 제시된 기준을 통해 깔끔하게 나눠야 합니다.
그런데 이거 처음보는게 아닙니다. 고1, 2 혹은 올 초에 공부한 내용들입니다.
수완 실전 1회에 제시된 작품을 통해 같이 연습해보고 갑시다.
어렵지 않은 시지만 그냥 한 번 봐보고 싶었어요.
(여기서 소외된 중하위권 친구들을 위해서....)
시작부터 각종 대상물들을 나열하고 있습니다.
아직 바로 무슨 말을 하는지는 모르겠으나, 나열/열거가 나왔다면, 그들의 공통점이나 차이점을 통해 범주를 묶어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날으는'에서 동적 이미지를, '묶인'에서 정적 이미지를 뽑아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동적 이미지와 정적 이미지는 서로 대비되겠네요.
2. 작품에 대한 ‘거리 두기’
시간이 부족한 상황에서 문학을 완벽하게 감상하듯 빠져드는 것은 위험합니다.
시험장에서 요구되는 것은 작품 감상의 주체가 아니라 판단의 주체로 서는 태도입니다.
즉, 작품에서 한 발짝 떨어져서 ‘출제자가 의도한 바’를 판단하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그 의도는 <보기>를 통해 파악할 수 있겠죠.
이처럼 <보기>에서 화자의 상황과 화자와 대상의 관계를 다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난해해보이는 이 부분도 <보기>를 붙여서 바로 납득하고 넘어갈 수 있습니다.
'너를 우러러'에서 화자가 땅에서 하늘을 나는 새를 우러러보고 있다는 것도 알 수 있었습니다.
이게 바로 <보기>의 '벗어나고픈 열망을 형상화'라고 볼 수 있겠죠?
화자는 '땅'이라는 공간 배경에 존재하고 새는 '하늘'이라는 공간적 배경에 존재하는 것이니 위/아래로 대비되겠네요.
이렇게 보니까
전부 다 이미 배운 요소들이지 않나요?
동적/정적, 상승/하강(여기서는 상/하), 지향(우러러봄)
이미 '문학 개념어'라는 명목하에 배웠고 그것을 기준으로 시를 뜯어낼 수 있었습니다.
3. 선지 판단의 습관화
문학 문제는 지문 자체보다 선지에서 시간이 소모됩니다. 따라서 선지를 근거로 지문을 읽는 습관이 자리 잡아야 합니다.
이는 단순한 풀이 기술을 넘어, 시험장에서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태도입니다.
여기 이 변화가 나타난 부분이
새가 보이다가 점점 화자의 시야를 벗어나며 떠나가는 장면임을 이미지화해도 좋습니다.
그런데 어떤 친구들은 이게 아예 안 됩니다. 그러면 주어진 선지를 판별하며 그 선지 판정의 기준을 통해 작품 독해의 실마리를 얻어낼 수 있어요.
예시에서는 33번의 선지 판단을 하며 도움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4. 시간 의식과 리듬감
문학에서 시간을 과도하게 쓰면 독서에서 반드시 무너집니다. 따라서 전체 20분~30분 이내라는 리듬을 몸에 익히는 훈련이 끝나 있어야 합니다.
시간 의식은 태도이자 실력입니다. 각 갈래별로 어떻게 전략을 짜서 시간을 줄일 것인지를 생각해보셨으면 합니다.
물론 이번 글은 시간 단축 보다도 기계적으로 반응해서 비효율을 줄이는 쪽의 글이었습니다.
마무리
이런식으로 가볍게 연계 작품들을 통해 각 갈래별로 시간을 단축할 지점을 짚어보겠습니다.
고전과 현대로 나누었을 때, 시간 단축을 집중해야 하는 파트는 고전파트입니다.
고전시가와 고전 소설은 패턴이 정해져 있기 때문입니다.
단적으로 고전시가의 경우 자연친화, 사랑/한/애환 이 두 가지만 잡아도 80퍼 이상 풀립니다.
시간이 부족한 노베이스 친구들은 저 두 가지 주제라도 잘 파악하고 가길 바랍니다.
다음 게시글은 고전시가의 패턴을 가볍게 털고 가겠습니다.
그냥 아무도 수완 안 건드리길래 써보고 있어요.
0 XDK (+5,000)
-
5,000
-
"덥다고 이게 말이 돼?"…KTX 상의 탈의 승객에 '황당' 14
[서울=뉴시스]하다임 인턴 기자 = KTX에서 상의를 벗은 채 앉아 있는 민폐...
-
애매한 재능투성이 12
정점이라는걸 찍어보고싶다 낮은 학점의 정점정도는 찍을수있을지도
-
[속보]‘노란봉투법’ 찬성 42%, 반대 38%-한국갤럽 4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 연합뉴스 정부 여당이 추진 중인...
-
이거 원래 이렇게 어려움..? 평가원 시험으로 몇 점 나올까
-
만두 삼김 또 머있지
-
비나이다~~~ 9모에서 작살내고 수능에서 따스한 손길을 주시옵소서 평가원님~~
-
수시 1자리 고민중입니다 둘 다 교과이고 1.43으로 반영됩니다 일단 진학사에서는...
-
군인이라 시간없어서 2026 드릴만 풀고 잇는데 공통 왤케 쉽지. 나때 드릴에...
-
ㅇㄱㄹㅇ
-
정확히는 얼만큼 투자하시나여 영어공부하기가 너무 귀찮아요 아예 안정1도 아니고...
-
ㅈㄱㄴ
-
프랜차이즈 있나요?
-
전체적인 인상 기하 문제는 크게 발상, 작도, 계산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고 봤을...
-
수능 일은 계속 했지만 실모는 작년 이후 처음이네요 이감 파이널 1회차 풀이...
-
이재명도 놀랄 만한,,ㅋㅋㅋㅋ
-
수고하심다~ 1
음하하하
-
더 집중 잘되는거 같음 주변 소음같은거에 신경쓸 겨를이 없고 문학에서 과도 해석할...
-
보톡스 맞으러 간다 13
두근두근….
-
싫어엇 22
개강싫어
-
오랜만에 재밌는 도파민이었다
-
주변에서 코로나 재유행이래서 찾아보니까 맞는 거 같아요 어제 근육통 때문에 너무...
-
난국어가싫다 7
https://orbi.kr/00074477112 또어휘매체문학쳐틀렷음아진짜죽고싶다...
-
확통 4점 인강 3
확통 개념은 끝낫는데 282930을 틀려서ㅠㅠ 4점맞출수잇는 실전개념 추천해주세용...
-
페이커모닝 1
-
관동별곡 보다 긴거 같은데;;
-
악 죄송합니다. 3
으로 알고있는데 m이 커지고 r 유지면 식 값자체는 감소ㅠ 대신 상대속도는 증가
-
여러분은 9평이랑 수능 볼 때도 드실 건가용화장실 자주 가는 거 불편해서 아침에...
-
전담 안가꼬왓네 2
여차하면 집에 사버려
-
첫사랑이 뭐임? 1
-
각각 10회분 7회분 인데 두개 퀄리티 비교해보면 어떰? 둘 다 풀어본사람 있나
-
앙앙앙 5
잉잉잉 자랑글맞음
-
국2 수1 영1 윤사1 일어1 경제4
-
안하든데 수학 잘하는 형보니까 미적만 n제풀고 공통은 실모만풀던데
-
점수보존의법칙 6
그래프 꼬라지 ㅋㅋㅋㅋ
-
배고프다 0
ㄹㅇ
-
화1 실모 5
화1 실모 풀만한것들 좀 알려주실 수 있을까여? 안그래도 많이 없는 화1러들 돕고돕고 살아요 ㅜㅜ
-
고경때문에 고려대인가
-
다들 1컷 몇점 예상하심? 생각보다 어렵네여ㄷㄷ
-
작년 수능에서 언매는 매체 하나 틀렸습니다 언매 올인원은 책 펴보니까 기억이...
-
달렸다 하면 도루가 되고~
-
내입내새를 내가 맡게되는거같아 양치했음 근데 입을막랐는데 어케냄새가 맡아지지
-
존나 시끄럽네 그걸 제지 하지도 않는 교사도 문제다 ㅅㅂ 이어폰끼고 킬캠푸는중...
-
새내기의 마음가짐으로 개강준비
-
일본? 스위스? 미국? (여긴 좀 무서움. 총기때문에.. 그리고 넘비쌈) 흠....
-
변수관계로 시그마 다르게 줄 수 있는거 나만 첨 알음?
-
문제상황을 어떻게 해결할수 있는지 문제를 보고 무슨생각을 해야하는지 이런걸...
-
수학은 직관으로 하는게 맞다고 보나요 아니면 일관적으로 하는게 맞다고 보나요 수1...
-
ㅈㄴ웃기네 ㅋㅋㅋㅋ
-
과외돌이 작수 6등급 통통이인데 뭘 더 해주면 좋을까요 6
올해 4월부터 시작 완전쌩노베라서 기초부터 차곡차곡 쌓느라 5개월간 대공사함......
감사용
기계적이지 못한 나: ㅠㅠ
잘하시자나요 ㅠㅠ
문학 30분 씁니당...
대신 정답률이 높을 것이라고 믿겠어요
혹시 시+수필 복합 갈래에서 시간 줄이는 방법 써주실 수 있으신가요...여기가 많이 약하네요
그 부분 최근 기출로 써보겠습니다.
시간상 양식화는 힘들고 패드 손필기로 제작할듯한데 원하시는 세트 있으신가요
2211이나 2411, 선생님께서 진짜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는 세트요!
2411은 단축보다도 비효율 줄이기 쪽으로 가야 할 듯 합니다.
젤 어려운 거니까 잊잊잊잊 가보죠
2211, 2411 둘 다 자체 교재에 넣어두긴 했는데 거긴 정합성을 중시한 말그대로 해설을 넣어둔지라
따로 패드에 써서 적어볼게요.
감사합니다...!

짱 멋진 저자님!><
그랬으면 좋겠네요 ㅠㅠ짱 좋은 짱르비님!
파일로도 업로드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