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1122는 몇 명이 찍맞했을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458629
평가원 오피셜 변별도(우리가 아는 변별력의 개념과 다름)와, 예상 정답률(2.8%)로 알아보자
피어슨 상관계수 수식이 말하는 바는 아주 간단함.
"이 문제 맞힌 놈(X=1)이 시험 전체를 잘 본 놈(높은 Y값)이 맞더냐?"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이 바로 변별도 R값임. R이 1에 가까우면 "ㅇㅇ, 공부 잘하는 놈들이 귀신같이 맞힘"이고, 0에 가까우면 "아니, 아무나 찍어서 맞혔는데?"가 되는 거임.
그럼 수능 수학 응시자 43만명과 0.12라는 변별도를 역으로 분해해봄.
N (총응시자 수): 430,000명. 이 거대한 모래사장에서
X (문항 점수): 정답 다이아몬드를 찾아낸 (약)12,255명과, 못 찾은 417,745명의 흙더미.
Y (총점): 학생 개개인의 전체 시험 성적.
저 복잡한 수식의 분자, NΣXY - ΣXΣY가 핵심.
이걸 쉽게 풀어쓰면, (22번 맞힌 놈들의 평균 총점)이 (전체 수험생의 평균 총점)보다 얼마나 높은가?"를 재는 척도임. 이 차이가 클수록 변별도는 높아짐.
변별도 0.12가 나왔다는 건, 이 차이가 거의 없었다는 뜻임.
이제 이걸 바탕으로 12,255명의 정답자 분포를 역산해봄.
1. 전체 수험생 평균 총점: 대략 100점 만점에 50점이라고 가정함. (실제와는 다르겠지만, 상대적 비교를 위한 기준점이라고 생각하자)
2. 22번 정답자 집단의 평균 총점: 이 값이 50점에서 얼마나 높은지를 계산하면 됨. 변별도 0.12라는 건, 이 값이 50점에서 아주 약간만 높았다는 뜻.
최상위권 (만점자 약 1000명 포함, 총점 90~100점대): 이 집단에서 약 3,000명이 정답을 맞혔다고 가정함. 이들은 실력으로 풀었거나, 실력 기반으로 어찌저찌 답을 도출한 표본.
중위권 (총점 40~60점대): 이 문제의 핵심. 변별도를 나락으로 보낸 주요 표본. 어차피 어려운 거, 소신껏 찍었는데 맞혀버린 운 좋은 다수. 여기서 약 6,000명이 정답을 맞혔다고 가정함. 이들의 평균 총점은 50점.
하위권 (총점 0~30점대): 그냥 진짜 아무 생각 없이 찍었는데 맞힌, 로또 당첨자들. 여기서 나머지 3,255명이 나왔다고 가정함. 이들의 평균 총점은 25점.
자, 이제 이 분포를 바탕으로 22번 정답자 집단의 평균 총점을 계산해봄.
> (3,000명 * 95점 + 6,000명 * 50점 + 3,255명 * 25점) / 12,255명
> = (285,000 + 300,000 + 81,375) / 12,255
> = 666,375 / 12,255
> ≈ 54.37점
전체 평균은 50점인데, 이 22번을 맞힌 표본의 평균 총점은 고작 54.37점으로 4.37점 높음. 대략 3000명이 풀맞할 때 9000명의 찍맞이 존재했을 것
이 미미한 차이가 바로 저 상관계수 R을 0.12라는 '변별력 매우 낮은 문항' 이라는 지표를 뜨게 원인이 됨. 저 수식은 거짓말을 하지 않으니 "이 문제를 맞힌(실제 풀맞보다, 압도적인 찍맞으로 인해) 집단은, 전체 집단과 비교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실력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라는 결과가 나오는 거임.
결론적으로, 만점권을 제외 시 나머지 모두가 고르게 찍은 극상위권의 뚝심, 중위권의 운빨, 하위권의 기적이 뒤섞인 거대한 무작위 추첨기가 됨. 검토진 전원 오답 제출이 보여주듯..
어려우면 낮아지냐는건 사실이 아님. 표를 보면 다른 킬러들은 이것보다 변별도가 높은 것들도 많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왜냐면 이제부터 기다림이 24시간이 넘을 때마다 대가리를 존나 쎄게 쳐서 제...
-
님들 격자점이 1
진짜 개수 세는거 말하는거임? 아니면 지로함 두개 주고 교점 x 좌표 뭐보다 크냐...
-
뭐 들으면 됨?
-
입시 플랫폼 인앤써가 이번에 합격자들이 실제로 썼던 답변들을 공개했서용 인스타에...
-
아니 김승리도 모의고사 사려면 10권을 다 사야되는건가요 11
아니 진짜 개에바네
-
사문 심화개념 0
윤성훈 불후명강 도표특강 다 끝내고 기출 벅벅 풀고 있는데 도표는 괜찮고 개념을 좀...
-
수완 안 푼 사람들 꼭 풀어봤으면 하는 문제 추천해드림 2
일단 미적 기준 유형편 싹 다 걸러도 큰 지장 x 좋은 문항이 실모 쪽에 많이...
-
이번엔 카타르 ㄷㄷ 진짜 개깡패네
-
급합니다 수능완성에서는 아니라고 나와서요....
-
에 5
엣
-
등원 0
늦은만큼 밀도 있게
-
9모는 낮3 이고 아주 가끔씩 찍맞 잘 하면 낮2 까지 어찌저찌 나오는데 현...
-
학종은 보통 내신 등급보단 생기부를 많이 보고 선발하나요? 3
궁금해서 진학사 봤는데 큰일이네요… 진짜 진로적합성 하나만큼은 3년내내 밀어붙여왔는데…
-
지1 오류터짐? 1
평가원또 이의제기 이상없음 ㅇㅈㄹ함?
-
서울대…
-
타 과목 시간 배분으로 인해 어준규 OX특강 또는 기시감 중 하나만 할 수 있을 듯...
-
9모 22번 2
머임?왜캐쉬움 6모 22번처럼 어려울 줄 알았는데
킬러 목표정답률이 5프로구나
우리가 아는 5프로랑은 좀 다르긴함.. 흔히 우리가 정답률이라 여기는 메가스터디 정답률은 실제보다 많이 뻥튀기가 되어있음
아 그럼 우리가 체감하는 기준으론 거의 8~10프로정도가 목표려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