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1122는 몇 명이 찍맞했을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458629
평가원 오피셜 변별도(우리가 아는 변별력의 개념과 다름)와, 예상 정답률(2.8%)로 알아보자
피어슨 상관계수 수식이 말하는 바는 아주 간단함.
"이 문제 맞힌 놈(X=1)이 시험 전체를 잘 본 놈(높은 Y값)이 맞더냐?"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이 바로 변별도 R값임. R이 1에 가까우면 "ㅇㅇ, 공부 잘하는 놈들이 귀신같이 맞힘"이고, 0에 가까우면 "아니, 아무나 찍어서 맞혔는데?"가 되는 거임.
그럼 수능 수학 응시자 43만명과 0.12라는 변별도를 역으로 분해해봄.
N (총응시자 수): 430,000명. 이 거대한 모래사장에서
X (문항 점수): 정답 다이아몬드를 찾아낸 (약)12,255명과, 못 찾은 417,745명의 흙더미.
Y (총점): 학생 개개인의 전체 시험 성적.
저 복잡한 수식의 분자, NΣXY - ΣXΣY가 핵심.
이걸 쉽게 풀어쓰면, (22번 맞힌 놈들의 평균 총점)이 (전체 수험생의 평균 총점)보다 얼마나 높은가?"를 재는 척도임. 이 차이가 클수록 변별도는 높아짐.
변별도 0.12가 나왔다는 건, 이 차이가 거의 없었다는 뜻임.
이제 이걸 바탕으로 12,255명의 정답자 분포를 역산해봄.
1. 전체 수험생 평균 총점: 대략 100점 만점에 50점이라고 가정함. (실제와는 다르겠지만, 상대적 비교를 위한 기준점이라고 생각하자)
2. 22번 정답자 집단의 평균 총점: 이 값이 50점에서 얼마나 높은지를 계산하면 됨. 변별도 0.12라는 건, 이 값이 50점에서 아주 약간만 높았다는 뜻.
최상위권 (만점자 약 1000명 포함, 총점 90~100점대): 이 집단에서 약 3,000명이 정답을 맞혔다고 가정함. 이들은 실력으로 풀었거나, 실력 기반으로 어찌저찌 답을 도출한 표본.
중위권 (총점 40~60점대): 이 문제의 핵심. 변별도를 나락으로 보낸 주요 표본. 어차피 어려운 거, 소신껏 찍었는데 맞혀버린 운 좋은 다수. 여기서 약 6,000명이 정답을 맞혔다고 가정함. 이들의 평균 총점은 50점.
하위권 (총점 0~30점대): 그냥 진짜 아무 생각 없이 찍었는데 맞힌, 로또 당첨자들. 여기서 나머지 3,255명이 나왔다고 가정함. 이들의 평균 총점은 25점.
자, 이제 이 분포를 바탕으로 22번 정답자 집단의 평균 총점을 계산해봄.
> (3,000명 * 95점 + 6,000명 * 50점 + 3,255명 * 25점) / 12,255명
> = (285,000 + 300,000 + 81,375) / 12,255
> = 666,375 / 12,255
> ≈ 54.37점
전체 평균은 50점인데, 이 22번을 맞힌 표본의 평균 총점은 고작 54.37점으로 4.37점 높음. 대략 3000명이 풀맞할 때 9000명의 찍맞이 존재했을 것
이 미미한 차이가 바로 저 상관계수 R을 0.12라는 '변별력 매우 낮은 문항' 이라는 지표를 뜨게 원인이 됨. 저 수식은 거짓말을 하지 않으니 "이 문제를 맞힌(실제 풀맞보다, 압도적인 찍맞으로 인해) 집단은, 전체 집단과 비교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실력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라는 결과가 나오는 거임.
결론적으로, 만점권을 제외 시 나머지 모두가 고르게 찍은 극상위권의 뚝심, 중위권의 운빨, 하위권의 기적이 뒤섞인 거대한 무작위 추첨기가 됨. 검토진 전원 오답 제출이 보여주듯..
어려우면 낮아지냐는건 사실이 아님. 표를 보면 다른 킬러들은 이것보다 변별도가 높은 것들도 많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여러분의 실력을 검증해보세요. [Prime] 한대산 영어 연구소 한대산 영어 올림....
-
영어 전국 서바 0
어렵지 않나요?
-
무이치로는 14살의 나이에 주가 되었는데...
-
많이 보니까 익숙해져서 그렇지 이거 현장이었으면 얘 때문에 수능 또 봤을 거 같음
-
스위스>>>>독일,영국>>>프랑스>이태리>>>>스페인,포르투갈
-
현역 국어질문 0
지금 정석민 비독원 듣는중인데 제가 예습지문 풀어간거에서 제가 생각도 못한거를...
-
릴스 자주 보내주는 10
사람은 멀까요?! 놀자는 건가
-
스위스 캐나다 독일 정도
-
생윤 선택자라면 1
생활과 윤리 OX 채널요새 생윤 관련해서 여러모로 전보다 많은 관심이 쏟아지는거...
-
아니 국어 점수가 날이 가면 갈수록 줄어드는데 진짜 어카냐.. 문학을 너무 못해…...
-
실감 앱 0
좋은 앱인 것 같음 근데 나는 못 씀 이런
-
오늘의 저녁 1
샐ㄹ러드
-
예를들어 고경같은 경우 이번년도에도 작년만큼은아니여도 빵꾸가 크게 날확률이 적나요?
-
스카이 인서울 지방대 전문대 할것없이 기간이 다 비슷한가요??? 아님 천차만별인가요???
-
과외알바를 생각하시는 분들을 위한 매뉴얼&팁입니다. 5천원 커피값에 미리 하나...
-
지금 만든건데 자신이 없음...
-
스키마질문 0
걍 머리에서 정리되면 그게 스키마인거임요?
-
사수생이 되니까 삼수까지랑은 마인드가 다름 이미 늦은거 1년 1년이 중요한가싶음
-
가을야구 가는데 이렇게 힘드냐
-
서울대라도 존나 없어보인다.
-
킬러파트는 ㄱㅊ은데 비킬러파트에서 우수수 틀리네
-
요즘 심리상태 레전드찍음.. 벌써 갱년기오나 아
-
새롭군..
-
제가 대성마이맥 만료일이 11월 30일인데 1도 안 들었는데 책은 사둬가지고요 좀...
-
국어 발췌독해서 푼 결과 4등급 읽고 푼 결과 1등급 읽는게 맞았네
-
온라인 과외 0
여름방학때 과외를 하던 친구와 계속 과외를 하게 되었는데 제가 다시 서울로 와야...
-
아니 이거 냄새때문에 집중을 못하겠는데 나만그럼? 다른 실모는 괜찮은디 이해원모고는...
-
노베들은 다 통통이들이농
-
그 말은...
-
영어셤이 있었나요??
-
30 개어려워서 눈물났는데 모두한테 어려웠나봄 정답롤 1% ㅇㅈㄹ
-
4번 보기 이해가 안되잖아!!!! 근데 내용보니까 ㅈㄴ 킹받는법이네 ㅈㄴ 좋은...
-
혹시 쌩재수생은 정시 기회균형 못쓰나요? 한부모 아니라 차상위로 지원할 예정인데...
-
울학교 스피커가 고장났는지 듣기 하다가 끊겨서 듣기에서만 세개 틀림 ㅋ큐
-
Hello Everyone, My name is Ryan from Centum...
-
아
-
번호 바꾼 거 아님…
-
딥마인드 무슨 4
아크 탄젠트 미분에 삼각치환까지 시키네 이게맞나
-
국어 모의고사 풀때 비문학 3점만 다 건너뛰고 나중에 시간남으면 다시 와서 푸는거 어떤가요
-
ㅈㄱㄴ
-
유대종 파이널에서 심찬우 까는거 ㅈㄴ 웃기네 ㅋㅋㅋㅋㅋ 8
이름은 말 안하고 까는데 그냥 누가봐도 심찬우 대놓고 저격이네 ㅋㅋㅋ
-
아 조졋내 0
쪽잠 자야하는데 잠에 들질않아ㅏㅏㅏㅏ
-
1선택 어려우면 2선택이 집중 안됨
-
일단 난 아님
-
씹덕커뮤 맞팔함 로블록스함 점심얻어먹음 같이 게@이애니봄 음음역시 재밌군
-
세금도 마찬가지 1
그냥 정부 니들이 알아서 만들어서 써 남 돈 뺏지말고
-
9모까지 휴릅 9
9모전까지 해야할거 계산해보니 하루에 적어도 13시간씩 해야함 어제 오늘 공부 안한...
-
괜찮았던 회차들 추천해주세요..! 몇개 구해서 풀어봐야지
-
왜 병신은 금지어가 아니고 눈123깔은 금지어임?
-
나라 빚 갚을때 1
그냥 돈 많이 찍어내서 주면 안되는건가 돈 많이찍어내도 시중에는 안풀리게하고 그냥...
킬러 목표정답률이 5프로구나
우리가 아는 5프로랑은 좀 다르긴함.. 흔히 우리가 정답률이라 여기는 메가스터디 정답률은 실제보다 많이 뻥튀기가 되어있음
아 그럼 우리가 체감하는 기준으론 거의 8~10프로정도가 목표려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