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강으로 개념이랑 기출끝냈는데 생윤은 심화개념이 중요하다 하셔서 어떻게 심화개념을...
-
근데 가끔 막 반년전 글에 와서 댓글 다시는 분들은 7
그 글 어케찾은거임? 키워드가 있나
-
171130 181130 210921 231122 241128 250921...
-
만원 ±@ 생각하면 됨? 강k 가격을 몰라서
-
수능장에서의 기분을 미리 느낄 수 있는 기회라고 말하는 글을 본 뒤로 슬럼프 사라짐...
-
25번: 5번선지의 내가 비틀거리며 쓰러진걸 심리적 긴장이 풀린것이다? >> 오히려...
-
이거 말 자체가 모순이죠..? 안되겠죠ㅋㅋ 바이오의공학부 적으려 했는데 전화해봤더니...
-
안녕하세요 3학년 선택과목 고민때문에 이렇게 고민글 쓰게 되었습니다..! 현재 지방...
-
공부안하고 계속 노는중
-
현장에서 15번 22번 합친 거보다도 많은 시간 썼었는데 풀이 방법 아는 지금 보면...
-
담임쌤...
-
졸려 0
인데놀 먹었더니 급피곤해짐
-
국어 파이널커리 0
글은 처음써보네요 6모 화작 91 8덮 독서1지문날림 문학다맞음 문학 독서 둘다...
-
실모 보면 자꾸 3뜨네요 ㅠㅠ
-
밥 뭐 먹지 9
슬슬 먹긴 해야하는데
-
설맞이 시즌1 괜찮을까요? 아니면 다른거도 추천해주세여 그리고 공통과목 다 끝내는데...
-
젠장할
-
사실 저도 이번에 수능에 다시 참전하는데, 일을 하면서 준비하는 거라 사실 개인...
-
평가원 오피셜 변별도(우리가 아는 변별력의 개념과 다름)와, 예상...
-
씨바 21학년도 6월 나형은 눈으로 대강 어떻게 풀릴지 보이는데 가형은 왜이래...
-
전 기타로 보였어요
-
(소송 이전 거의 마지막 26 요청) 고교학점제 피해 총망라, 졸업생들 피해 눈덩이처럼 매년 겹겹히 쌓여, 2030 에는 내신 올 1등급 아니면 대학 못 가... 0
갈수록 매년마다 학생들의 최상위권 내신 성적은 쌓이고 쌓여, 손을 쓸 수가 없는...
-
흠 14
-
어떤가요? 전처음풀어봐서
-
노트필기 하다가 마음에 안 들면 찢어버리고 다시 필기함
-
만 17세에 대학가는거네
-
얼마나 차이난다고 생각하시나요 제생각엔 꽤 나지않나싶은데
-
ㄹㅇㅋㅋ
-
참 온갖 감정이 다 드네 옛날생각난다
-
걍 지금 원서 접수하러감ㅠㅠ
-
평소 실력대로 보는거라는데 공부량 부족해도 잘 볼 수 있나요 ㅠㅠ
-
유지어터 생활 2.5달차 요요 현상도 없겠다 오늘로 다이어트 종료를 선언합니다
-
목표인서울이라가정
-
작년보다
-
5수하는이유 11
매년 목표는 달성했으나 목표가 계속 높아짐 나의 한계를 보여다오
-
이것보다는 조금 어려웠으면 좋겠네요 그렇다고 많이 어려운거는 말구요…
-
안녕하세요 '지구과학 최단기간 고정 1등급만들기' 저자 발로탱이입니다. 지난 1년간...
-
오늘 풀 실모 0
상상 2회분 브릿지 1회분 풀고 오답
-
병원갓다가점심먹고미용실갓다가뭐하지공부해
-
사설 등급컷 0
다들 모고 풀고 등급컷 보시나요 저 뭔가 등급컷 없으면 약간 불안증세옴 ㅋㅋ
-
화작에서 상대방의 발언에 대한 논리적 오류를 지적하는 예시로 어떤것이 있나요?
-
수학 모고 추천 0
이혜원, 꿀모 다 80점 나옴 6모는 84 모고 추천좀해주새요.
-
현직 교사 문항 판매로 날아갈 때 나온 감사원 감사 결과 그때 같이 공개된 오피셜 단가들..
-
어떤 편이었나요??
-
어싸 시즌1 전부, 시즌2 일부 스탠파 1-6권 숏컷 미적, 수2 1-2권 올해...
-
김기현t 커리 타고 있고 지금 수1수2 파데 킥오프 끝나가서 아이디어 할려는데...
-
수학 2컷 1
76점 생각하면 되나?
고전문학은 일단 어느정도 어휘를 잘 알아야 되는 게 있어요 그리고 주제들이 사실 정해져있다고 봐도 무방해서 기출 분석하시면서 주제가 뭐뭐 있는지 자연스레 외우면 문풀 할 때 딱 보면 주제가 딱 나올 거에요 그리고 공부 목적 자체가 수능이니 ebs 벅벅도 성적 향상에는 엄청난 영향을 줄 겁니다
과학기술 지문은 사실 “함수적 구조 파악할 수 있어?” 라고 묻는 파트나 다름이 없어요 함수라는 말이 와닿지 않으시면 인과관계(선후관계)를 집요하게 잡아야 한다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아요
예를 들어 우리가 지금 하고 있는 대입이 이뤄지는 순서가 (고졸 -> 수능 -> 대입) 이거잖아요? 이럴 때는 들어가는 값(고졸)과 통로(수능)(함수)와 나오는 값(대입) 이걸 전부 집중하셔야 해요
이런 식으로 읽어나가면 술술 풀릴 거에요 처음에는 이해가 안될 거거든요? 만약 말씀드린 걸 실천하신다면 처음에는 막 저런 구조를 다 이해하고 외우려고 밑줄 긋고 난리가 날텐데 우린 저러한 “구조”와 그 구조 속 “쟁점”을 파악하는 거지 절대 전부 이해하려고 하는 게 아니니 딱딱 처리하면 좋을 듯 하네요
정말 감사합니다
전 뱃지도 없는 그저 커뮤인이라서 ㅋㅋㅋㅋㅋ 참고만 하세요 그리고 며칠 안 남았는데 국어 올리겠다고 파이널 수업 딸깍하는 건 정말.. 비추라서 혼자 생각하는 시간을 길러주시는 걸 추천해요
넵 감삼다!!
고전문학은 틀렸던 문제들 모아놓고 어떤 유형인지 분석을 좀 하셔서 속도가 부족하면 연계도 챙기시고 필요하면 어휘도 보시고 하시면서 채워나가보시고
과학기술지문은 경제지문과 함께 비문학 분야중 두드러지게 어려운 부분이라고 봅니다 공통적으로 윗분 말씀처럼 인과적 논리적 독해와 일부 문제는 수리적판단력을 요구하기도 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임시 처방을 하나 드려보자면 과학기술 지문 전체 혹은 지문의 어려운 부분만이라도 독해 속도를 살짝 낮추고 확실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생각을 많이 하면서 읽어보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