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대비 [빈칸 추론] 10052 (해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457959
[# 10052번 해설] ㅡ # 10052번 문제를 먼저 풀어보세요!
1. 지문의 내용 쉽게 설명:
회사가 착한 일을 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 방법은 "규칙을 지켜라!"라고 하면서 벌칙으로 강제하는 것인데, 이건 마치 숙제검사를 받기 위해서만 억지로 숙제를 하는 것과 같아요.
두 번째 방법은 "좋은 마음을 기르자!"라고 하면서 스스로 착한 일을 하고 싶어지도록 만드는 것이에요.
아리스토텔레스는 "좋은 행동을 계속 반복하면 그것이 습관이 되어서 자연스럽게 착한 사람이 된다"고 말했습니다. 마치 피아노를 매일 연습하면 손가락이 저절로 움직이듯이, 회사에서도 착한 일을 계속 연습하면 자연스럽게 착한 회사가 되는 거죠. 그래서 규칙으로 억지로 시키는 것보다는, 스스로 착한 마음을 기르도록 도와주는 것이 훨씬 더 효과적이고 오래 지속된다는 내용입니다.
2. 지문 요약
(1)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서 규칙 준수에만 집중하는 접근법은 체크리스트 방식의 기계적 윤리를 만들어내며, 진정한 도덕적 우수성을 기르는 데 실패한다.
(2)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학에 따르면, 진정한 윤리적 변화는 외부 감시나 처벌이 아닌 덕스러운 행동의 반복을 통한 습관화를 통해 도덕적 직관과 실천적 지혜를 개발하는 것이다.
(3) 덕 기반 사고를 운영 문화에 내재화한 기업들은 더 진정성 있고 일관된 윤리적 행동을 보여주며, 직원들의 직무 만족도와 기업 가치 인식도 향상시킨다.
3. 선택지 설명:
선택지별 오답 분석
① arises through application of punitive measures until they become behavioral constraints
(처벌적 조치를 적용하여 그것이 행동 제약으로 자리 잡을 때까지 발생한다.)
오답 유형: 논리적 모순
오답인 이유:
직접적 모순: 지문에서 "punitive measures(징벌적 조치)"를 명시적으로 비판하고 있음
맥락 무시: "external oversight can effectively govern... through punitive measures"를 부정적으로 서술한 직후에 아리스토텔레스를 언급
덕 윤리학 왜곡: 덕은 외부적 강제가 아닌 내재적 품성에서 나온다는 덕 윤리학의 기본 전제와 상충
② develops through enforcement of regulations until they become institutional standards
(규제를 집행하여 그것이 기관의 표준으로 자리 잡을 때까지 발전한다.)
오답 유형: 지문 주제 혼동
오답인 이유:
규정준수 접근법과 혼동**: 지문 전반부에서 비판하는 "compliance-based approaches"의 논리와 동일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오해: 덕은 외부 규제(regulations)가 아닌 개인의 내적 실천에서 형성됨
논증 구조 무시: "However" 이후 전환되는 논리를 파악하지 못한 결과
③ manifests through implementation of compliance procedures until they become organizational norms (준수 절차를 실행하여 그것이 조직의 규범으로 자리 잡을 때까지 나타난다.)
오답 유형: 가장 매력적인 오답 (지문 키워드 혼동)
오답인 이유:
표면적 연관성: "compliance procedures"는 지문에 등장하는 용어이나, 이는 비판 대상
논리적 전환점 놓침: 지문이 compliance에서 virtue ethics로 논조가 바뀌는 지점을 무시
아리스토텔레스 인용 맥락 오해: 규정준수가 아닌 덕 윤리학을 옹호하는 맥락에서 인용됨
④ appears through cultivation of individual talents until they become professional skills
(개인의 재능을 계발하여 그것이 전문 기술로 자리 잡을 때까지 나타난다.)
오답 유형: 개념 치환 오류
오답인 이유:
덕(virtue)과 재능(talent) 혼동: 아리스토텔레스에서 덕은 도덕적 품성이지 개인의 능력이나 기술이 아님
맥락 부적합: 지문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윤리에 관한 내용인데, 개인 기술 개발로 초점 이탈
철학적 개념 오해: "moral excellence"를 "professional skills"로 축소 해석
(정답) ⑤ emerges through habituation of virtuous actions until they become second nature
(덕목 있는 행동을 습관화하여 그것이 본성처럼 될 때까지 나온다.)
정답인 이유:
아리스토텔레스 덕 윤리학의 핵심**: habituation(습관화)을 통한 덕 형성 이론과 정확히 일치
지문 논리와 일관성: compliance 비판 → virtue ethics 옹호의 논증 구조에 부합
철학적 정확성: "second nature"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실제 사용한 표현
맥락적 연결: 이후 문장의 "repeated practice of ethical decision-making"과 완벽히 연결
오답 선택 패턴 분석
상위권 학생들의 예상 오답 선택 순위:
③번 (30-40%): compliance 키워드에 현혹되어 선택
②번 (20-25%): regulations와 institutional standards의 연관성으로 선택
④번 (15-20%): cultivation 키워드의 긍정적 뉘앙스에 이끌려 선택
①번 (5-10%): punitive의 명백한 부정성을 파악하지 못한 경우
함정 요소:
구조적 유사성: 모든 선택지가 "through until they become " 구조 사용
키워드 함정: 지문에 등장하는 용어들이 오답 선택지에도 포함되어 혼동 유발
철학적 배경지식 부족: 아리스토텔레스 덕 윤리학을 모르면 맥락 추론만으로는 한계
4. 난이도 평가: 상
이 문제를 단계별로 분석하여 난이도를 평가해보겠습니다.
(1) 추론 복잡도 분석 (1순위): 4점
2-3단계 논리적 연결 필요
아리스토텔레스 덕 윤리학의 핵심 개념 파악
전체 지문의 논증 구조 이해 (규정준수 접근법 비판 → 덕 윤리학 옹호)
빈칸 앞뒤 맥락과 선택지의 논리적 일관성 판단
(2) 어휘 및 배경지식 평가 (2순위)
전문 어휘: compliance, virtue ethics, habituation, punitive, robust
배경지식: 아리스토텔레스 덕 윤리학에 대한 기본적 이해 필요
고3 교육과정: 윤리 과목에서 다루는 수준이지만, 영어로 표현된 철학적 개념 이해 필요
(3) 함정 요소 분석 (3순위)
매력적 오답: ①~⑤ 번이 모두 "until they become ~" 구조로 유사하여 혼동 가능
피상적 읽기 함정: 단순히 구조적 유사성에만 의존할 경우 오답 선택 위험
철학적 개념 혼동: 덕 윤리학의 핵심인 "habituation"을 놓칠 경우 오답 가능
(4) 종합 평가
평가 근거:
1. 추론 복잡도 4점: 철학적 개념에 대한 심층적 이해와 다단계 논리적 연결 필요
2. 전문적 배경지식: 아리스토텔레스 덕 윤리학에 대한 구체적 지식 요구
3. 고급 어휘 수준: 철학적, 학술적 전문 용어 다수 포함
4. 변별력: 상위권 학생들 중에서도 철학적 배경지식과 논리적 사고력을 동시에 갖춘 학생만 해결 가능
상위권 학생들의 예상 반응:
- 아리스토텔레스 덕 윤리학을 알고 있는 학생: 비교적 수월하게 해결
- 철학적 배경지식이 부족한 학생: 맥락 추론에 의존하여 어려움 경험
- 시간 압박 상황에서는 구조적 유사성에 현혹되어 오답 선택 가능성 높음
이 문제는 단순한 독해력을 넘어서 철학적 사고력과 전문적 배경지식을 요구하는 상급 난이도 문제입니다.
[출제자의 한마디 조언]
수능 영어에서 꾸준히 1등급을 달성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는 지문 속 각 문장의 핵심어를 파악하는 능력입니다. 이 능력을 기르지 않고 2,000~3,000문제를 푼다고 해도 시간 낭비에 불과합니다. 정답은 반드시 핵심어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종종 다른 표현으로 위장하거나 숨겨져 있습니다. 놀랍게도 많은 학생들이 이 점을 간과합니다. 심지어 문장을 우리말로 해석해준 뒤 핵심어를 묻더라도 답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핵심어를 찾는 능력은 수능 영어의 시작이자 끝이라고 할 만큼 절대적으로 중요합니다.
이 문제의 경우 첫 문장만 읽어봐도 전개될 내용과 결론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Corporations pursuing social responsibility initiatives often adopt compliance-based approaches that emphasize rule adherence over ethical character development. (사회적 책임 이니셔티브를 추구하는 기업들은 종종 윤리적 품성 개발보다 규칙 준수를 강조하는 준법 기반 접근 방식을 채택한다.)
이 문장의 핵심어는? 사회적 책임 이니셔티브를 추구하는 기업들, 준법 기반 접근 방식을 채택
이제 전개될 내용의 경우의 수는 정해졌습니다.
1. 이 핵심 내용으로 전개된다.
2. 핵심 내용에서 반전이 생긴다.
위의 1,2 이외에는 그 어떤 논리도 존재할 수 없습니다. 한번 반전된 논리는 원래의 논리로 되돌아갈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두 번째 문장부터는 1 또는 2 어떤 쪽으로 전개되는 지를 집요하게 추적해야합니다.
어느 시점에선가 1 또는 2로 전개의 방향이 굳어졌다면 이때부터 해석이 막히는 부분은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무조건 핵심 내용과 상응하도록 맞춰서 해석하고 넘어가면 그만입니다.
아리스토텔레스가 "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 주장한 도덕적 탁월성은 외부의 처벌이나 규제 준수를 통해 형성되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반복적인 훌륭한 행동의 습관화를 통해 제2의 천성처럼 몸에 배도록 하는 것을 강조합니다.
선지 ⑤는 이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점과 정확히 일치합니다.
이 글의 첫 문장에서 언급된 '사회적 책임 이니셔티브를 추구하는 기업들이 규칙 준수에 중점을 두는 준법 기반 접근 방식을 채택한다'는 내용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관(선지 ⑤)과는 반대되는 접근 방식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즉, 글의 첫 문장은 기업들이 주로 사용하는 방식(준법 기반)을 제시하고,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장을 통해 더 나은 대안적인 접근 방식(덕 윤리)을 제시하며 대비를 이루고 있습니다. 따라서 첫 문장의 핵심 내용과 선지 ⑤의 정답은 서로 대조되는 관점을 보여주면서 글의 논리 전개를 뒷받침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첫 문장: 기업의 일반적인(하지만 한계가 있는) 준법 기반 접근 방식
선지 ⑤ (아리스토텔레스): 도덕적 탁월성이 진정으로 발현되는 방식 (덕 윤리적 관점)
이 두 가지는 서로 연관성이 있지만, 그 연관성은 대조(핵심 내용에서 반전이 생긴 경우에 해당)를 통해 글의 주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공부안하고 계속 노는중
-
현장에서 15번 22번 합친 거보다도 많은 시간 썼었는데 풀이 방법 아는 지금 보면...
-
담임쌤...
-
졸려 0
인데놀 먹었더니 급피곤해짐
-
국어 파이널커리 0
글은 처음써보네요 6모 화작 91 8덮 독서1지문날림 문학다맞음 문학 독서 둘다...
-
실모 보면 자꾸 3뜨네요 ㅠㅠ
-
밥 뭐 먹지 9
슬슬 먹긴 해야하는데
-
설맞이 시즌1 괜찮을까요? 아니면 다른거도 추천해주세여 그리고 공통과목 다 끝내는데...
-
젠장할
-
사실 저도 이번에 수능에 다시 참전하는데, 일을 하면서 준비하는 거라 사실 개인...
-
평가원 오피셜 변별도(우리가 아는 변별력의 개념과 다름)와, 예상...
-
씨바 21학년도 6월 나형은 눈으로 대강 어떻게 풀릴지 보이는데 가형은 왜이래...
-
전 기타로 보였어요
-
(소송 이전 거의 마지막 26 요청) 고교학점제 피해 총망라, 졸업생들 피해 눈덩이처럼 매년 겹겹히 쌓여, 2030 에는 내신 올 1등급 아니면 대학 못 가... 0
갈수록 매년마다 학생들의 최상위권 내신 성적은 쌓이고 쌓여, 손을 쓸 수가 없는...
-
흠 14
-
어떤가요? 전처음풀어봐서
-
노트필기 하다가 마음에 안 들면 찢어버리고 다시 필기함
-
만 17세에 대학가는거네
-
얼마나 차이난다고 생각하시나요 제생각엔 꽤 나지않나싶은데
-
ㄹㅇㅋㅋ
-
참 온갖 감정이 다 드네 옛날생각난다
-
걍 지금 원서 접수하러감ㅠㅠ
-
평소 실력대로 보는거라는데 공부량 부족해도 잘 볼 수 있나요 ㅠㅠ
-
유지어터 생활 2.5달차 요요 현상도 없겠다 오늘로 다이어트 종료를 선언합니다
-
목표인서울이라가정
-
작년보다
-
5수하는이유 11
매년 목표는 달성했으나 목표가 계속 높아짐 나의 한계를 보여다오
-
이것보다는 조금 어려웠으면 좋겠네요 그렇다고 많이 어려운거는 말구요…
-
안녕하세요 '지구과학 최단기간 고정 1등급만들기' 저자 발로탱이입니다. 지난 1년간...
-
오늘 풀 실모 0
상상 2회분 브릿지 1회분 풀고 오답
-
병원갓다가점심먹고미용실갓다가뭐하지공부해
-
사설 등급컷 0
다들 모고 풀고 등급컷 보시나요 저 뭔가 등급컷 없으면 약간 불안증세옴 ㅋㅋ
-
화작에서 상대방의 발언에 대한 논리적 오류를 지적하는 예시로 어떤것이 있나요?
-
수학 모고 추천 0
이혜원, 꿀모 다 80점 나옴 6모는 84 모고 추천좀해주새요.
-
현직 교사 문항 판매로 날아갈 때 나온 감사원 감사 결과 그때 같이 공개된 오피셜 단가들..
-
어떤 편이었나요??
-
어싸 시즌1 전부, 시즌2 일부 스탠파 1-6권 숏컷 미적, 수2 1-2권 올해...
-
김기현t 커리 타고 있고 지금 수1수2 파데 킥오프 끝나가서 아이디어 할려는데...
-
수학 2컷 1
76점 생각하면 되나?
-
2달컷 힘듦? 참고로 통통이임 + 반수생이라서 이제 개정 시발점 끝냈는데 뉴런 말고...
-
꺄르르르르륵
-
뭐임??급함
-
전 대학간지 오백년 지났긴합니다만 제 동생 공부 봐주고 있어서 궁금한게 생겼습니다...
-
질문 0
재수생임 69수능을 내가 만약 졸업 학교가 아니라 잇올 이런데에서 본다고 하더라도...
-
87?? 그냥 내가 좆박은거였나
-
커리 보강 ㅈㄴ 잘함 N티켓 하사십보니 문제 제작팀 퀄도 높인거같고 계속 투자중인거...
-
고대 나왔다는 사람은 많이 봤는데 연대 나왔다는 사람은 잘 못본거같음 왜 그렇지...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