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러분들 도와주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437701
물가상승률이 감소해도 양의값이면 물가 상승하는거 아닌가요?이상한거같아서..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마늘먹고 8
사람이 되어보자
-
성장하는 영웅물인줄 알았는데 당황스럽내
-
부모님이 말렸는데 내가 객기부려서 집에서 수특사고 문제집사고 이래서 공부시작함 근데...
-
2026 대학수학능력시험 대비 지구과학1 시험지 재배포(수정본) 0
일부 문항을 교체하여 다시 재배포합니다. 오류 있거나 질문 있으신 분은 댓글...
-
전에는 에필로그를 단권으로 9900원에 팔았다는걸
-
8월 6일 남음 0
26~31 이렇게 6일 남음 ㄹㅈㄷ
-
아 생각해보니 2
아직 국어 연계공부 시작을 안했네
-
인강 강사들 언매에서 중세국어 할 때 이거 가르침? 왠지 무조건 배울 거 같긴...
-
잘자 얘들아 2
빠빠이
-
다 내가 못생긴 탓이겠지
-
요새 슬럼프인듯 6
뭔가가 잘 안풀린다
-
심찬우선생님 7
오르비에서 이분 이름 많이 거론되는데 왜 저희 학교엔 아무도 듣는걸 볼수가...
-
드가자
-
진짜 자러가야겠다.
-
기숙학원 알바할 때였는데 공부를 하게 된 계기+기숙학원 홍보 내용인데 카메라...
-
6:45 기상 6:45-6:55 세수하고 교복입고 아침챙기기 7:05 열차탑승...
-
변절자는심평 3
-
유지자사경성(有志者事竟成) 사람은 하고자 하는 뜻만 있으면 무슨 일이든지 이룰 수 있다는 뜻이다
-
나한텐 참신함..
-
왜 폰만 집으면 잠이 달아나는지 연구 시급
-
숙명여대 과기대 국민대 경인교대 외대글 항공대 문과 성신여대 0
입결 순이나(수시) 사회 나가서 인식 순이 어떻게 되나요? 엄청 객관적이지 않아도...
-
이래되눈구만 맨날 걍 쌓아둬서 첨 알았음
-
으으 피곤타 1
네
-
과외생이 더 잘봤으면 좋겟음 난 어차피 올해 못보면 내년에 보면되는데
-
부엉모 4회 1
1. 14번 생각보다 원트에 푸는 사람이 매우 적었음 넓이가 생소한 건 저도...
-
양산형부터 잘 풀지
-
다시는 이 지옥같은 수능판에 들어오지 않게 해주세요
-
국수 어느정도 나와야함? 탐구 100/100 가정하에
-
그냥 그만해야겠다 더 이상 못하겠음 진짜로.. 너무 힘들어 3수이상님들 존경합니다 ㅋㅋ
-
잠 안온다수바 4
2022 고2 9모 100분동안 풀고 옴;;
-
감튀 맨손으로 만지면 하루종일 냄새남.. 개빡쵸
-
9모 목표 10
99 97 1 96 99 물리는 만점 받아도 그냥 1컷일거같음..
-
검고아닌데 교육청 접수 되죠? 졸업한 학교가 교육청보다 멀기도 하고 동네가 달라서
-
수학 기출 6
수분감 풀다가 현타와서 15개정 이후만 풀려는데 얘네 풀고나서 시대인재기출 코어...
-
선착순 한명 12
만약 9모 수학 1등급 받으면 싸이부거 드림;;
-
AI분석으로 3학년 1학기 생기부까지 다 입력하고 성적분석했는데 평소 상향으로...
-
좌절 많이 했는데 막상 수능날 적백은 많이 없더라
-
내가 9모 수학 5
1컷 받을수 있을까 현장가면 진심 개 말릴꺼같은데 안그래도 집에서 풀어도...
-
제2 외국어 0
기하골랐는데 커버 가능할까요?
-
쫑쌤 8
-
화학 0
이번에 선택자수 어디까지 떨어질까
-
엔수의신 나가면 6
특정안당할수가없겠지..
-
레츠고 5
-
잠들기까지 오래걸려
-
난 옯만추자주함 4
그러다가 경찰서 연행됨
-
수학 조언 0
현재 84점 -88점 유지중인 재수생입니다.. 엔제를 풀어서 고점을 높이는게 맞나...
-
아 씨 0
왜 비오냐 독서실 나갈라는데
-
공통 다맞음으로써 내 위엄을 보여줌
경제한지 오래돼서 그냥 상식선에서 설명해보자면
실제로 물가는 거의 항상 증가하는 경향을 띄는데 그중에서 물가 안정이라고 하면 물가상승률을 낮추는 것이라고 할 수 있죠
증가하더라도 속도를 늦추는 거임
어느 선지에 대해 말씀하시는 거예용?
그 문제상황자체가 총수요 총공급중 하나만 변하는 건데, 그러면 분명 물가가 낮아지는 상황이 생기잖아요 그런데 물가 상승률이 낮아지는건 물가가 낮아지는게 아니지 않나요?
아 가령 총수요 감소의 현상을 저 그림으로는 못 나타내지 않냐는 말이죠? 다 원점 위에 있으니까 양수니까
맞네용,, 그렇긴 한데 선지 자체는 그거랑 큰 연관은 없어보이고
e는 2024년 점이니까 e를 기준으로 2025년을 보는거죠! e가 (1,1), 2024년을 기준년도라고 가정합시다. 그러면 e의 물가상승률은 1이니까 명목/실질=1이겠죠(사실기준년도니까당연함)! e기준 왼쪽으로 갈 경우 물가상승률이 1보다 작아지니까 2025년 명목/실질은 1보다 작아지죠 = 명목gdp가 줄었다 = 물가가 낮아졌다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물가상승률이 양의 값인게 중요한게 아니라 1보다 큰지,작은지로 물가가 높아졌는지,낮아졌는지를 판단하는겁니다! 명목/실질 이기때문에 기준년도는 무조건“1” 그 다음년도에 1보다 커지냐,작아지냐에 따라 명목(=그시기의물가반영)의 상승,하락을 알 수 있습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