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보는 원래 '여보시오'라는 뜻이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427519
노동야학회 고문 유길준 씨 고문의 말씀: "여보(이보시오), 나라 위하여 일하오. 또, 사람은 배워야 합니다."
노동자의 대답: "네. 고맙소. 그리하리다"
"‘여보’는 ‘여기 보오’의 준말이다. ‘여보’는 말하는 사람이 높은 사람이나 낮은 사람에게 두루 쓰이었던 것인데, 높임법에 따라 ‘보다’에 다양한 높임법이 사용되어 ‘여보십시오, 여보시오, 여보게, 여보아라’ 등이 발달되면서, ‘여보’는 예사높임에 주로 쓰이고, 예사높임을 할 수 있는 조건과 환경을 갖춘 부부간에 자주 쓰이면서 부부의 호칭으로 발달하였다. 처음에는 말하는 사람에게 관심이나 시선을 집중시키기 위해 주의를 환기시키는 말로 등장하여서 ‘여보 마누라, 여보 서방님’ 등으로 쓰이었지만, 차츰 ‘여보’가 단독으로 쓰이거나 ‘여보’를 빼고 ‘마누라, 서방님’ 등으로 불리어 오늘날까지 쓰이게 된 것이다. 전화가 등장하면서 직접 대면하는 상태가 아닌 환경에서는 ‘여보’가 거의 쓰이지 않고, ‘여보세요’가 일반화된 것은 최근에 일어난 변화다."
홍윤표(2007)
더 이상 '여보'를 '여보세요'나 '저기요' 같은 의미로 쓰지는 않지만 100년 전만 해도 그렇게 쓰였음. 그냥 누군가한테 궁금하거나 할 말이 있으면 '여보'라고 한 거지. 근데 20세기 초에 '여보'가 부부 간 호칭으로 굳어짐. 특히 '여보 마누라', '여보 서방' 이런 표현도 자주 쓰였는데 이 영향도 있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좋아요 1 답글 달기 신고
-
나 잇올에서 봤는데 어케 앎?
-
. 0
방어너ㅜ누저뱌재매ㅔㅋ쿠큐ㅠ큐큐큐너ㅑ캬ㅑㅏ즈주노ㅗ커커ㅡ,ㅋ카ㅓ쿠
-
헉! 1
헉...
-
(26해줘도 좋고, 안해줘도 좋습니다.) 고교학점제의 실체 (상세 분석), 2028 이후 대입 치루게 될 (내신 올 1등급이 아닌) '재수생, N수생' 들은 대학갈 수 있는가? 0
새로운 고교학점제 도입으로 2028 입시부터 달라지는 내신 올 1등급 맞냐?...
-
오노추 2
-
물1 질문 0
특상이론 이거 외에 더 알아야하는거 있나요?
-
2026 대학수학능력시험 대비 지구과학1 시험지 재배포(수정본) 1
일부 문항을 교체하여 다시 재배포합니다. 오류 있거나 질문 있으신 분은 댓글...
-
독서는 그렇다 쳐도 문학 손가락 걸기는 무서웡
-
81점 떴는데 개못한건가요ㅠㅠ
-
국어 사설 1
이감 온라인으로 사서 풀것같은데 오프랑 크게 차이 없겠죠? 어차피 실전연습용이니까...
-
밥은? 4
쌀로짓는다.
-
70일대 입갤 ㅋㅋㅋㅋ
-
상관 없겠지? 민증사진이랑 똑같긴 한데
-
어휴이
-
평가원이나 교육청에는 거의 1 뜨거든요.. 원래 점수폭 이렇게 큰가요??확통입니다
-
주인 잃은 레어 1개의 경매가 곧 시작됩니다. 귀여운 병아리"병아리는 언제나...
-
대치 재밋지않냐 0
얼굴보고 물2하는사람찾는맛이있음
-
수험생 위해서 시간내 배포해주는게 감사하니까 다들 응원하고 인사드리는거지 오류가...
-
이거 이렇게 풀어도 되는거 맞나요 답지랑 너무 달라서..... 아래는 점수
-
끗 0
ㅈㄴ 어려웠는데1컷 84는 석나가네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