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2 반응하는 기체.Adv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406773
참고)3~4페이지 문제임
반응하지 않는 기체의 연장선이라고 생각해주세요
1.콕의 상태(열렸는지 닫혔는지에 집중)
2.충분한 시간이 흘렀다(부피비=몰수비)
3.온도 변화(실린더=부피 변화,강철 용기=압력 변화)
3-1.온도가 변화했을 때 온도를 원래대로 되돌려 풀기
평가원 문제를 몇 개 정도 같이 디테일하게 봐보죠
(사고의 흐름은 검-보-핑-초 순입니다)
171115 문제입니다
중화반응식을 세워줍니다
콕 a,b를 동시에 열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실린더의 부피는 6L가 됨으로
실린더에서의 CO2의 PV값을 RT값을 나눠주면 답이 나옵니다
190618 문제입니다
콕 a를 열고 닫아 실린더 II에 기체 A가 3/2mol이 남습니다
콕 b를 열고 닫아 실린더 II에 기체 A가 1mol과 기체 B 6몰이 남습니다
강철용기의 상황이므로 온도를 300K로 돌려준다면 전체 기압은 5/4atm이 됩니다
(라) 과정 후 용기 II에 기체 A가 남아있지 않으므로
모두 반응한 기체는 A입니다
이를 이용해 기체 C와 D의 양을 구해주고
전체 기압과 용기 II의 부피를 곱해 전체 몰수를 구해낸 후
이 값을 통해 남은 기체 B의 양을 알아냅니다
반응을 역산하면 x=7이 나오네요
190915 문제입니다
콕 a,b를 동시에 열었다고 봅니다
한계반응물에 대해 생각해보자면
A가 한계반응물이면 P의 값이 음수가 됩니다(혼합 기체의 부피는 4L)
따라서 한계반응물은 B입니다
P=2네요
따라서 x=3/4입니다
200617 문제입니다
콕 b로 잠겨져 있는 기체 A가 담겨있는 용기의 압력만
미지수로 설정하면 무난히 풀 수 있습니다
201118 문제입니다
온도를 TK로 맞춰주고 강철용기이기에 압력을 TK에 맞춰줍니다
강철 용기의 부피는 3L고 C의 부분 압력은 1/3기압이기에
기체 C의 몰수는 1mol입니다
전체 몰수는 5/2이기에 기체 B의 몰수는 3/2mol입니다
중화반응을 역산하면 a,b,c를 구할 수 있습니다
210615 문제입니다
w=Mn을 생각해본다면
기체 A의 양이 기체 B의 양보다 2배보다 작은 걸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한계반응물은 A입니다
생성된 기체 C의 질량이 2.5g이므로 남은 기체 B의 질량은 0.5g입니다
따라서 절반 반응함을 알 수 있으므로 남은 기체 B의 몰수는 1/2mol입니다
생성된 C의 몰수는 1,P1=1이라는 것까지 알 수 있습니다
반응이 완결된 용기 안에 있는 기체의 전체 압력은
3/4atm이므로 P2=1/2입니다
210920 문제입니다
(가)의 실린더 속 기체 B의 부분 압력을 이용해
실린더 안에 있는 기체 A,B의 몰수를 알아냅니다
(나)에서 꼭지를 열고 온도를 3/2T로 올렸으므로
실린더 속 부피는 4L가 됩니다
이후 꼭지를 닫기에 실린더와 강철 용기의 부피비에 맞게
기체 A,B의 몰수를 분배해줍니다
(다)에서 강철 용기에 있는 기체 A,B를 반응시키므로
온도를 TK로 바꿔줍니다
문제에서 (다) 과정 후 강철 용기에서의 [A]를 물어보므로
한계반응물은 B입니다
(다) 이후의 강철 용기 안의 혼합 기체의 양이 4/5mol인 걸
이용해 기체 A,C의 양을 구해줍니다
211116 문제입니다
기체 D의 몰수와 한계반응물인 점을 이용해
두 번째 반응부터 봐줍니다
첫 번째 반응 후 두 번째 반응이 이루어지기 위해선
첫 번쨰 반응에서 기체 A가 한계반응물입니다
이를 이용해 P를 구해줍니다
220614 문제입니다
강철용기이므로 온도를 모두 맞춰줍니다
VII/VI=k로 놓아
기체 B의 몰수인 VII을 VI의 값으로 치환해 봐줍니다
그림을 보면 k은 1보다 크므로
한계 반응물은 A입니다
혼합 기체의 압력과 용기의 부피를 이용해
식을 맞춰 k의 값을 구합니다
220618 문제입니다
손풀이 따라가면 됩니다
정량적인 값을 묻기에 RT값을 체크해주는 것에 주의합니다
230616 문제입니다
강철 용기에 혼합 기체의 압력이 2atm이므로
실험 I,II의 전체 몰수는 동일합니다
따라서 반응 전 기체 B의 몰분율을 본다면
실험 I가 실험 II보다 작기에 실험 I에서의 기체 B의 양이
실험 II에서의 기체 B의 양보다 적음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반응 후 C의 부분 압력을 보면
실험 I가 실험 II에서보다 크기 때문에
실험 I는 B가 한계 반응물임을
실험 II는 A가 한계 반응물임을 알 수 있습니다
칼럼을 끝내며)
다음엔 반응속도 들고 옴
또 한 번 더 말하지만
서울대 목표 아니먼
수능으로 화2 보지 마라
다들 좋아요 한 번씩만(꾸벅)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개인적으로 2306급 독서에 2409급 문학 나올것같음
-
오르비 레어에서 이름 알게 됐는데 이런 스타일도 역시 좋군
-
내가 왔다 1
캬캬
-
그거 뭐에서 갈린거에요 다들?
-
대치 가는데 9
보통 얼마걸리는게 평균임? 오늘 승리쌤 현강들으러 갔는데 한티에서 태성관까지 걷다가...
-
술좀마셧어요 2
곧개강인데 목욜에 강의 3개잇어요 개좆돼썽요 저공비행 ㄱㅈㅇ
-
수능 80일 남았는데 고닥교 절친 손절 치고 왔다. 2
난 이제 더이상 설교 밖에 없다. 설교가 너무 가고싶다 설교 가야겠다 내 인생에는...
-
하.. 3
온사네 ㅗ
-
.
-
아니야 그래도 응시는 해야지..
-
23수능 2초인데 이때도 이전략으로 했었는데 3년만에 진입이라 보험하나 들고 싶은데...
-
집가자 흐흐 10
구라임
-
국어공부 한번도안해봄
-
수능은 포기한지 오래고 정확히는 교재는 아니고 교재의 뼈대? 기초 내용 작성하는중임...
-
추천좀 뭐해야함
-
6모 3 7월 더프 3인데.. 오르지도 않고 내려가지도 않는 상태임 겨울에 올오카...
-
오노추 2
-
뭐 문학푸는 시간을 줄엿다던가 문풀 순서를 바꿔봣다던가 어떤식으로 줄이심요?? 시간...
욱평 개높네
개추
"반응"
사실 화학이 김동욱의 최애 과목인 걸까...
족고수
헤으응
소수과목 칼럼러는 항상 응원합니다
귀한 분이 누추한 곳에....
아니요 화투 칼럼러가 더 대단하십니다
팔로우박아드렸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