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생윤 퀴즈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405711
1. 칸트는 싱어와 달리 인격체의 생명이 비인격체의 생명보다 중요하다고 보았다.
2. 플라톤은 정의로운 국가에서 통치자의 생산자에 대한 간섭은 파멸이라고 보았다.
3. 아리스토텔레스에게 국가가 형성된 이유와 존속할 수 있는 이유는 동일하다.
오늘의 난이도 상
내마음에 들면 만덕~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얼마전에 기출 끝내서 우매함의 봉우리에 도달했기 때문인걸까 채점하고나서 좆됨을...
-
서울대 수학과 박사가 말아주는 9모 21번 (2026학년도 9월 모의고사 고3 수학 21번)) 0 1
안녕하세요. 어수강 박사입니다. 2026학년도 9월 모의고사 고3 수학,...
-
25수능 미적분 5뜨고 (노베) 5월에 재수 결심, 확통런. 내신에서 확통 배운 적...
-
하...딸피라서 그런가 0 1
탐구 3점 한 개씩 나갔네...실력문제도 있고...
-
ajdhshgsgfshdbdhxndu 스파링을 신청한다 0 1
토푸리아의 팬으로서 참을 수가 없구나
-
고2 9모 채점 0 0
98 92 95 1 50 41 물리는 쉬웠지만 화학이 빡셌다는,,,
-
라이브 수업 추천해주세요ㅜㅜ 0 0
내신끝나고 혼자 현우진 드릴 듣다가 라이브 수업 좀 듣고싶은데 누구 들을지...
-
메가 나만 계속 버퍼링 걸림? 0 0
아오 ㅅㅂ
-
2027수능이 진짜 개빡세려나 0 0
완전 라스트댄스아님?
-
[9평] 영어 복습용 워크북 0 0
안녕하세요! 영어의 계기 진성하T입니다. 제가 수업용으로 사용할 워크북을...
-
사문 33점 0 0
3 가능성 있나요…….
-
2023드릴이 드릴3임?? 0 0
드릴 3이란게 있나?
-
생1지1 3등급목푠데… 0 0
둘다 5떳어요ㅠㅠㅠ 생명27 지구24 최저러라 높게는 안 바라고 3등급만 맞으면...
-
9모 0 0
시험지에 정답 번호 적어놓고 답안지에 엉뚱한 번호 마킹하는거 과목마다 한두 문제...
-
지금 시기 n제 0 0
시간 잡고 푸는 n제랑 시간제한 없는 n제 중에 뭐가 더 좋을까요?? 1주일에 실모 3개정도 풉니당
-
영어 개망함 0 0
영어 계속 유기해도 2는 뜨길래 이번에도 걍 쳤는데 업보빔 개씨게 맞아서 3뜸 집에...
-
생윤 0 0
현돌모 풀면 40점대 나오고 지난 6모도 2등급이엇는데 왜 이번 9모에서 35점이지...
-
정법 표본이 자꾸 고이면 0 0
나도 고이고싶다
-
생윤 고정 1이신분들!!! 0 0
앞느로 수능공부 어떻게 하실건가요?? 6,9모 둘다 50인데 일주일에 2회정도...
-
9평 그 진정한 의미(시험 후 내리는 햇빛을 맞으며) 0 1
이 시험은 내가 얼마나 늘었는지를 보고 싶어하지 않는다. 어른들은 내가 얼마나 글을...
OXO인가
땡
이과라서 사실 모름 으하하하.. 3번은 아예모르겠네

이따 해설 써둠O?
X?
X
몇개틀렸나요 쪽지로ㄱㄱ혓
xxo

ㄲㅂxxx인가보넹
사실 안ㄲㅂ임..
엥~
xox

이유는?1번은 싱어와 달리라는 말이 틀린거 같고
2번은 플라톤은 계층간 간섭하면 안된다 했었고
3번 형성이유는 사람이 정치적이라 존속이유는 행복을 위해?
비슷한데 애매해
oox아닌가뭐지다뇨흠냐
ㅋㅋㅋㅋ 님은 맨날 틀리냐
알려줘?
1번이 왜 x인지만,,,
싱어도 어쩔 수 없는 상황에서 동물 이용 반대 안하잖아. 이거에 정답이 있지
아
xox아닌가 플라톤이 좀 헷갈리네요
플라톤의 원전에서 계층간의 간섭은 파멸이라고 했어요. 통치자라 해도 간섭 안됨
오 잘알아갑니다
1.O
칸트는 인간중심주의 학자로써 인격체가 최우선이나 싱어는 쾌고감수능력을 가진 존재는 동등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봄(종 차별주의)
2. X
플라톤은 계층 간 역할 교환 및 간섭은 결국 파멸을 초래한다고 봄(각자의 직분 충실)
3. X
아리스토텔레스의 국가 발생은 자연적임(국가에 존속하지 않는 자는 인간 이하거나 신), 그러나 존속 이유는 인간은 정치적인 동물로 국가에 속할 때 비로소 본성을 찾고 행복할 수 있기 때문!
이 정도면 깔끔한가요? 헷갈리네,,
땡
1. 싱어 또한 어쩔 수 없는 상황에서 인간이 더 중요하다고 봤습니다
2. 이유가 맞는데?... O임 ㅇㅇ
3. 국가의 형성 이유는 자연발생적이자 생명 보존이라 봐야함. 존속은 행복을 위해서 ㅇㅇ
혹시 어디서 싱어가 그런 얘기를 했는지 알 수 있을까요?? 너무 궁금해서 서치해봤는디 찾을 수가 없어서요 ㅜㅜ
“성숙한 인간은 미래에 대한 자각과 선호를 갖고 있다. 따라서 그들의 죽음은 단순히 고통의 끝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그 선호와 계획들의 좌절을 의미한다. 이런 이유로 보통은 인간의 생명이 동물의 생명보다 더 큰 손실이 된다.” (Practical Ethics, p 90)
인간의 생명이 무조건적으로 중요하다고 이야기 하는것은 아닙니다. 도덕적판단의 출발점은 같지만 인간의 생명 가치를 조금 더 중시한거죠. 예민한 부분입니다
결국 공리주의의 입장으로 귀결되기는 하지만 칸트가 싱어와 ‘달리’ 인격체의 생명이 더 중요하다고 본것은 아니죠
아 나 바본가 왜 플라톤 X쳐놨지...?
ㅋㅋㅋㅋㅋㅋ 그니까 보고 이상하다 했네
XOX임 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