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생윤 퀴즈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405711
1. 칸트는 싱어와 달리 인격체의 생명이 비인격체의 생명보다 중요하다고 보았다.
2. 플라톤은 정의로운 국가에서 통치자의 생산자에 대한 간섭은 파멸이라고 보았다.
3. 아리스토텔레스에게 국가가 형성된 이유와 존속할 수 있는 이유는 동일하다.
오늘의 난이도 상
내마음에 들면 만덕~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아픔?
-
Oz 오리온 폴라리스 다 풀면 커버 ㄱㄴ? 애초에 폴라가 서바 출제팀인걸로 아는데...
-
정시 올인 질문 5
고2 이과생인데요, 내신이 낮아서 정시 생각하고 있습니다. 원래는 내신 기준 2등급...
-
대치동은 거리마다 애들이 넘쳐나고 식당엔 어딜가나 애들이 다 차지하고 있어서 밥도 못먹는다ㅠ
-
조아조아 7
도파민 한도초과다
-
수시 안정으로 쓸 카드 고르는거애오 전 입결보단 아웃풋 중요시합니다…. 교과라서 과...
-
8덮 수학이거 7
10(?) 12(?) 15 21 22 29 30 틀려서 72떴는데 보정해서 백분위...
-
문제집 택배 어떻게 받으셨나요.. 경비실에 맡겨달라고 하면.. 경비실에서 집...
-
과외생한테 원서 지식을 바탕으로 공부 방향 조언을 해주려는데 일단 지방 메디컬은...
-
주로 2026 6평 문제지, 2025 평가원 문제지, 2026 수능특강을 참고하여...
-
평소에도 몬생김.
-
건국 건축 중앙 철학 경희 스페인어 적성빼고보면 어디갈거임
-
최근 오르비북스에서 다양한 국어교재가 출시된데다가, 저번에 배포했던 국어 오르비...
-
생기부가 진짜 일관성이 없는데 어떤 과를 지원해야하나요? 문과고 사회쪽이 가장 많긴...
-
08정시 1
현재 ㅈ반고 내신 근황 1-1: 3.7 1-2:3.0 2-1:2.0 총합:2.9...
-
난도어떤편임 사놓고안푼거있어서빨리풀고해치우려는데
-
시야 차단용
-
8덮 영어 1
이정도면 수능에서 나올만함? 좀 쉽다 생각들어서
-
3주 쯤 남았는데 걍 입대 2~3일전에 3미리로 밀면 됨?
OXO인가
땡
이과라서 사실 모름 으하하하.. 3번은 아예모르겠네

이따 해설 써둠O?
X?
X
몇개틀렸나요 쪽지로ㄱㄱ혓
xxo

ㄲㅂxxx인가보넹
사실 안ㄲㅂ임..
엥~
xox

이유는?1번은 싱어와 달리라는 말이 틀린거 같고
2번은 플라톤은 계층간 간섭하면 안된다 했었고
3번 형성이유는 사람이 정치적이라 존속이유는 행복을 위해?
비슷한데 애매해
oox아닌가뭐지다뇨흠냐
ㅋㅋㅋㅋ 님은 맨날 틀리냐
알려줘?
1번이 왜 x인지만,,,
싱어도 어쩔 수 없는 상황에서 동물 이용 반대 안하잖아. 이거에 정답이 있지
아
xox아닌가 플라톤이 좀 헷갈리네요
플라톤의 원전에서 계층간의 간섭은 파멸이라고 했어요. 통치자라 해도 간섭 안됨
오 잘알아갑니다
1.O
칸트는 인간중심주의 학자로써 인격체가 최우선이나 싱어는 쾌고감수능력을 가진 존재는 동등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봄(종 차별주의)
2. X
플라톤은 계층 간 역할 교환 및 간섭은 결국 파멸을 초래한다고 봄(각자의 직분 충실)
3. X
아리스토텔레스의 국가 발생은 자연적임(국가에 존속하지 않는 자는 인간 이하거나 신), 그러나 존속 이유는 인간은 정치적인 동물로 국가에 속할 때 비로소 본성을 찾고 행복할 수 있기 때문!
이 정도면 깔끔한가요? 헷갈리네,,
땡
1. 싱어 또한 어쩔 수 없는 상황에서 인간이 더 중요하다고 봤습니다
2. 이유가 맞는데?... O임 ㅇㅇ
3. 국가의 형성 이유는 자연발생적이자 생명 보존이라 봐야함. 존속은 행복을 위해서 ㅇㅇ
혹시 어디서 싱어가 그런 얘기를 했는지 알 수 있을까요?? 너무 궁금해서 서치해봤는디 찾을 수가 없어서요 ㅜㅜ
“성숙한 인간은 미래에 대한 자각과 선호를 갖고 있다. 따라서 그들의 죽음은 단순히 고통의 끝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그 선호와 계획들의 좌절을 의미한다. 이런 이유로 보통은 인간의 생명이 동물의 생명보다 더 큰 손실이 된다.” (Practical Ethics, p 90)
인간의 생명이 무조건적으로 중요하다고 이야기 하는것은 아닙니다. 도덕적판단의 출발점은 같지만 인간의 생명 가치를 조금 더 중시한거죠. 예민한 부분입니다
결국 공리주의의 입장으로 귀결되기는 하지만 칸트가 싱어와 ‘달리’ 인격체의 생명이 더 중요하다고 본것은 아니죠
아 나 바본가 왜 플라톤 X쳐놨지...?
ㅋㅋㅋㅋㅋㅋ 그니까 보고 이상하다 했네
XOX임 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