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윤황이신 분 도와주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403808
“자율적 행위 능력이 없는 존재에 대한 의무는 성립할 수 없는가?“ 가 칸트에게 O라는데 왜 맞는 건가요…? 인간 중에도 자율적 행위 능력이 없는 존재 (예: 영유아, 식물인간 등등) 있는데 칸트에게 인간에 대한 인간의 의무는 무조건 성립 아닌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오늘의 실모 0
현강용 스러너 14회 84점 14 15 28 30틀 너무 어려워요... 30번...
-
이상형 11
-
여자 댓글에만 대댓달거니까 그렇게 아셈 꼬우면 여자하던가.
-
오케이 7
햄부기 시킬게요
-
나 묻히냐??
-
제 인생 첫 패드를 드디어 구입해서 써 보려 했는데 왤케 어렵나요. 펜은 너무...
-
꿔바우머고싶어ㅠㅜㅜ
-
뭔 세배차이노..
-
지방 메디컬이면 4정도 될려나
-
국어 기출 0
새기분 완강은 했고 최근 기출 복습+스스로 분석하려고하는데 보통 하루에 독서 문학...
-
생윤 윤사 궁금한거 27
잇음? 다 답해줄께
-
삼각함수 질문좀요 ㅋㅋ 21
'삼각"함수라 안하구 함수 라고 줬는데 tan nx - tan90도 를 일차식으로...
-
올해 수능 대비를 할 때 개정 시발점에서 빠진 부분이 원순열 말고 또 있나요?...
-
강기원 라이브 0
들으시는 분들… 자료 뭐뭐 주나요? 안가람 모의반 듣는데 리부트 브릿지2개...
-
닉이 기억안남 탈릅햇나
-
초1때인가 ㅇㅈ 4
8 저때는 정상인인듯
식물인간에 대한 의무는 없을걸요? 잘 기억은 안나지만...
그런가요…..?????? 일단 답변 감사합니다!!
헉 아랫분 보니 아닌듯요
다 까먹었는데 괜히 헷갈리게 했네요 ㅠㅠ
아니에요 ㅎㅎ 그래도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영유아나 식물인간이 “현재” 자율적 행위를 할 수
없더라도, 그들은 여전히 이성적 본성을 지닌 존재로 취급됩니다. 따라서 그들에게는 무조건 직접적인 도덕적 의무가 성립합니다. “자율적 행위 능력이 없는 존재에 대한 의무는 성립할 수 없다”라고 할 때의 ‘존재’는 동물이나 사물 같은 비인간적 존재를 가리킨다고 보는 게 맞습니다.
아아 어쩌면 당연한 건데 잘못 생각하고 있었네요 ㅠㅠ 답변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