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 지리는 문항 출제 프로세스가 어떻게 됨?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400331
역사는 너무 당연한거 같아서 넘기고..
일반사회는 크게
사례형 문항, 계산형 문항으로 나눠서
사례형 문항에는
가상의 사례를 제작한 후 해당 사례에 적용되는 개념들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과정이 담기고 (ex. 정법 법적 판단 문항, 사문 사회 조직 문항, 경제 긍부정적 요인 문항 등)
계산형 문항은
가상의 사례를 제작한 후 문항에서 요구하는 값들을 구해내는 과정들이 담기는데 (ex. 정법 선거구 문항 , 사문 복지제도 문항 , 경제 외부효과 문항 등)
결국에는 가상의 사례를 만들어 내야하는건데
윤리, 지리는 출제 프로세스가 어떻게 됨?
윤리는 원전 찾다가 낼 만한 부분 나오면 발췌해서 문항 제작?
지리는 로우 데이터를 직접 가져와서 가공해서 문항 제작?
제대로 알지를 못하니 궁금해서 여쭤봄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수능에 이 정도로 나오면 50 나오겠지?
-
현정훈 선생님 강의 한번도 들어본적 없는 2딱 수험생입니다. 서바...
-
병원을 가봐야되나.. 한 1~2달된듯?
-
아 마렵다 0
똥
-
아도르노 지문인데.. 7번같은 문제는 지문에 정확한 근거도 없고 그렇다고 답을...
-
나는 돌려까기당했어
-
ㅇㄱㄹㅇ 이새끼 어케 했노 ㅋㅋ
-
그냥 어떤 사람이 좋으면 그 사람이 좋은거지 이상형이 아니라고 해서 싫어하거나...
-
뭐지다노 0
뭐지다노 뭐지노다 뭐노다지 뭐다지노
-
한명은 저기 밑에서 옵생 = 현생이에요 뿌우 하는 사람이고 한명은 군대감
-
지금 당장 오르비를 꺼라..
-
우리가 보는게 전부가 아님
-
혹시 이것들보다 더 ㅇㅖ쁜 게 있다면 댓글로 추천해주시면 절 백만번 함니다ㅜ 진짜...
지리는 큰 틀로는 자연지리, 인문지리부터 그 안에 지형이냐 기후냐, 인문, 자원, 지역에 자잘한 부분이면 세계화, 세계지도, 환경 등 종합적인 과목이라 프로세스 일반화가 불가능한 듯 그래도 실제 통계가 중요한 것은 맞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