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나니니 [1245605] · MS 2023 · 쪽지

2025-08-22 01:52:15
조회수 154

윤리, 지리는 문항 출제 프로세스가 어떻게 됨?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400331

역사는 너무 당연한거 같아서 넘기고..


일반사회는 크게


사례형 문항, 계산형 문항으로 나눠서


사례형 문항에는

가상의 사례를 제작한 후 해당 사례에 적용되는 개념들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과정이 담기고 (ex. 정법 법적 판단 문항, 사문 사회 조직 문항, 경제 긍부정적 요인 문항 등)


계산형 문항은

가상의 사례를 제작한 후 문항에서 요구하는 값들을 구해내는 과정들이 담기는데 (ex. 정법 선거구 문항 , 사문 복지제도 문항 , 경제 외부효과 문항 등)


결국에는 가상의 사례를 만들어 내야하는건데


윤리, 지리는 출제 프로세스가 어떻게 됨?


윤리는 원전 찾다가 낼 만한 부분 나오면 발췌해서 문항 제작?


지리는 로우 데이터를 직접 가져와서 가공해서 문항 제작?


제대로 알지를 못하니 궁금해서 여쭤봄

rare-Photoshop rare-일러스트레이터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투타임즈 · 1136344 · 19시간 전 · MS 2022

    지리는 큰 틀로는 자연지리, 인문지리부터 그 안에 지형이냐 기후냐, 인문, 자원, 지역에 자잘한 부분이면 세계화, 세계지도, 환경 등 종합적인 과목이라 프로세스 일반화가 불가능한 듯 그래도 실제 통계가 중요한 것은 맞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