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일아진화시켜줘 [1325791] · MS 2024 · 쪽지

2025-08-21 19:19:02
조회수 58

토막 어원 상식(숱하다의 하다는 하다가 아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392484

공시적으로 숱하다의 '숱'은 비자립적 어근으로 '착하다', '망하다' 등에 보이는 접미사 '-하다'가 붙은 것으로 처리됩니다


이 접미사 '-하다'는 동사 '하다(<ᄒᆞ다, do)'에서 왔지만 '숱하다'는 어원적으로 '숱(이) 하다'의 통사적 구성에서 굳어졌습니다. 그리고 이 '하다'는 '하다(do)'가 아니라 '곶 됴코 여름 하나니'의 그 '하다'로 '多'를 뜻합니다.


애초에 15세기 문헌에 '숟하다'로 나오기 때문에 '하다(ᄒᆞ다)'가 아님이 명확하죠


그러면 '숟'은 무엇이냐? 바로 '머리털 따위의 부피나 분량'을 뜻하는 그 '숱'의 전신인데 아마 15세기의 '숟'은 '숱'에 8종성법이 적용된 형태일 것입니다


'숱'의 어원은 '*수득'으로 볼 수 있을 것인데 '*수득>숟ㄱ>숟ㅎ>숱'이 되는 거죠


역어유해에는 尖量을 '수득이 되다'라고 하였는데 '수북하게 되다' 정도의 의미를 지닙니다. 수도구/수더구/수데기(숱의 방언) 등을 보면 어근은 '숟'임을 알 수 있습니다. 본래의 의미는 꼭 털이 아니더라도 수효를 나타내는 데 쓰인 것으로 보이며, '수두룩하다'도 같은 어근 '*숟'을 공유합니다.

 

즉 '숱이(수량이?) 많다'라는 어원을 지닌 단어인 거죠. 용언 '*숟다(많다)'를 재구할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그런데 '하다(많다, 多)'가 사어가 되고 뒤의 '하다'가 불분명해지자 접미사 '-하다'가 붙은 것으로 재분석됩니다.


위의 숟ㄱ>숟ㅎ>숱은


https://orbi.kr/00065254700/


이 링크를 참고 바랍니다

rare-서태지와아이들 4집 rare-디지몬 어드벤처 rare-쉬라몬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