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막 어원 상식(숱하다의 하다는 하다가 아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392484
공시적으로 숱하다의 '숱'은 비자립적 어근으로 '착하다', '망하다' 등에 보이는 접미사 '-하다'가 붙은 것으로 처리됩니다
이 접미사 '-하다'는 동사 '하다(<ᄒᆞ다, do)'에서 왔지만 '숱하다'는 어원적으로 '숱(이) 하다'의 통사적 구성에서 굳어졌습니다. 그리고 이 '하다'는 '하다(do)'가 아니라 '곶 됴코 여름 하나니'의 그 '하다'로 '多'를 뜻합니다.
애초에 15세기 문헌에 '숟하다'로 나오기 때문에 '하다(ᄒᆞ다)'가 아님이 명확하죠
그러면 '숟'은 무엇이냐? 바로 '머리털 따위의 부피나 분량'을 뜻하는 그 '숱'의 전신인데 아마 15세기의 '숟'은 '숱'에 8종성법이 적용된 형태일 것입니다
'숱'의 어원은 '*수득'으로 볼 수 있을 것인데 '*수득>숟ㄱ>숟ㅎ>숱'이 되는 거죠
역어유해에는 尖量을 '수득이 되다'라고 하였는데 '수북하게 되다' 정도의 의미를 지닙니다. 수도구/수더구/수데기(숱의 방언) 등을 보면 어근은 '숟'임을 알 수 있습니다. 본래의 의미는 꼭 털이 아니더라도 수효를 나타내는 데 쓰인 것으로 보이며, '수두룩하다'도 같은 어근 '*숟'을 공유합니다.
즉 '숱이(수량이?) 많다'라는 어원을 지닌 단어인 거죠. 용언 '*숟다(많다)'를 재구할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그런데 '하다(많다, 多)'가 사어가 되고 뒤의 '하다'가 불분명해지자 접미사 '-하다'가 붙은 것으로 재분석됩니다.
위의 숟ㄱ>숟ㅎ>숱은
이 링크를 참고 바랍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어떻게들 외우시나요?
-
내 추측인데 위에건 그냥 진동하는 공기입자고 아래건 그 진동하는 입자가 통채로...
-
제2외국어나 선택과목 변동없이 신청하심?
-
꾸려봐야지
-
8덮 후기 2
화확영한세사 98 81 96 44 47 47 7덮 때 35233이었나 ㄹㅈㄷ...
-
글 읽는 속도가 시발 개선이 안되노
-
그거 t+1이랑 t+2는 확정할 수 없다고 생각하고 풀었는데 맞아요?
-
어떤게 더 쉽나요????
-
15학년도 3월 학평 b형 21번인데요 해설지에는 ㄷ이 참이라고 되어있는데 특정한...
-
6모 미적 22 28 30 틀 8덮 미적 15 28 30 틀입니다. 미적은 기출 더...
-
8시 25분 예비령 전 10-25분 사이에 책 넣으라고 하나요?? 아니면 예비령...
-
제가 현역 6에서(1번도 못풀던 수포자) 지금 더프는 계속 4 뜨고 6모...
-
8덮 화작 2
보정 컷 예상점요ㅎㅎ
-
지구는 계속 어색한 과목이라 객관적인 난이도가 어느정도인지를 모르겠어요 특히 원래...
-
서프 2xx등 1
부족한 점이 이렇게 많이 보이는데 내 밑은 무얼 하는 것이냐 분발하도록
-
개큰결심 1
국어 연계공부 내일부터 진짜 한다
-
언매 92 (문학 -2 독서 -2 언매 -4) 미적 92 ( 28 , 30 ) 영어...
-
더프 어땠음? 3
-
사설 많이 푸셨나요?????? 작수 때 림잇 회독하고 기출 계속 혼자 정리하고...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