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매우 구체적인 국어 기출분석 방법론 1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391348
칼럼 학습지문.pdf
심화 이항대립지문) 신채호 아와 비아를 통한 연대의식.pdf
애매모호하고 추상적 국어 기출분석이 아닌
모든 구체적 행동영역을 정리할 칼럼입니다
인강과 사설모의고사 없이
오로지 기출 분석만 진행하였고
모의고사부터 어려웠던 수능 두 번 모두
안정적으로 1등급을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스스로 기출분석을 진행하는 것이 가장 좋으나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기에
이 칼럼을 통해 효율적으로 모두 정리하여 보겠습니다
(학습 지문은 모두 업로드 해두었습니다)
비문학 지문 구성 0원칙 : 이항대립 구도
기출분석의 본질은
문제에서 요구하는 공통적 사항들을 정리하여
지문 독해에 반영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문제를 정리하다 보니 아래와 같이 ㉠, ㉡ 두 개를 묶은
문제의 유형들이 자주 보입니다
출제자가 아무런 연관성 없는 두 대상을 묶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결국 관련성 있는 두 개의 대상을 묶게 되면
두 대상의 관계인 공통점/차이점을
물을 수 밖에 없습니다.
즉 '이항대립'이라 인식되는 순간
독해 목표는 차이점 찾기로 바뀌게 됩니다
위 사항을 독해에 반영하여
만든 도구가 '이항대립' 입니다
비문학의 모든 지문은 '이항대립'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를 지문에 어떻게 적용해야 할지
그 실전 행동영역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2017 수능 '반추위 미생물' 지문 1~3문단 >>
- 1문단
comment] 이항대립 구도를 통해 차이점을 찾을 때는, 중간지점이 없는 확실한 대립을 만드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대상이 만약 3개 이상 나열되어 있다면 이항대립 구도라 칭하지 않습니다.
예시) 에너지원 이용 O <->에너지원 이용 X
2문단
comment] 위 아세트산, 숙신산처럼 대상 두 개가 나란히 나열되면, 무조건적으로 이항대립 지문일 것이라 예측하고 읽는 독해 습관이 만들어져야 합니다. 혹여 이항대립이 아니라면 읽으면서 태도를 바꾸면 됩니다.
3문단
comment] '중성'과 '높음'이라는 단어가 대립적인가? 판단하기 힘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출제자가 반드시 접속어를 주게 됩니다. 해당 지문에서는 '반면'이라는 접속어를 통해 대립어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위 지문을 전반적으로 살펴 보았을 때 출제자가 지문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 방법은
위 사례처럼 개념의 대립구도를 만든다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비교/대조하여 차이점과 공통점을 확인하며 독해할 수 있는지 묻게 됩니다
아래 영상들은 이항대립 이외에도
출제자가 사용하는 패턴들을
정리하였습니다
강의는 분명 도움되시리라 생각됩니다
필수] 2017 수능 반추위 미생물 지문 분석
https://www.youtube.com/watch?v=C8opxxQnMkg
필수] 2019. 06 평가원 이익과 최한기의 인체관 지문 분석
https://www.youtube.com/watch?v=RNfdoucwEM8&t=1389s
#칼럼 2편은 심화 이항대립 지문을 통해 주제를 만들고
주제가 문제로 구현되는 모습을 확인하고자 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딱히 별말 없는데 제가 따로 해야되는 건가요??
-
나보고 쓰라는데 ㅁㅌㅊ? 진품임
-
더워서 못 다니겠다
-
지금 정리하자면 0
앞으로 할 것들만 (국어) 강평업 따라가기 (이미 따라잡음) 기테마 2.0끝내기...
-
국어 파이널때 0
독학하다가 파이널은 강의좀 듣고싶은데 ㅊㅊ좀요 일단 무제는 내일 배송옴 스타일은 구조독해파임
-
독서는 항상 안 틀리거나 가끔 한 문제 틀리거나 하는 정도였는데요..... 요즘 뭘...
-
재작년 8더프 영어랑 점수가 똑같네 시발..
-
조금이라도 자는게 맞겠지
-
전여친이랑 친구 0
-
그들의 마음이 이해된달까
-
옯스타다시만들까 0
흑흑
-
이 확인할 수 있나요??
-
(자극적인 제목 죄송합니다.) 안녕하세요. 국어 독해를 가르치는 소테리아의 길...
-
계산만 아니었으면 84인데 하필 마지막 답 낼때 계산실수로 2개 날아가서 개같이...
-
77인데 보정3 가능한가 하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