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르비에서 전설 찍을 준비됐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387310
(자극적인 제목 죄송합니다.)
안녕하세요. 국어 독해를 가르치는 소테리아의 길 입니다.
지난번에 예고드린 국어 독해력 교재 『문명(文明)』의 출시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문명』은 오로지 “독해력 향상” 하나만을 목표로 제작된 교재입니다.
30일간 이 교재에 집중한다면, 국어 1등급에 한 걸음 더 가까워질 수 있을 것입니다.
저는 그동안 국어 독해의 본질을 깊이 탐구하며,
철학적 관점과 뇌과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진짜 독해란 무엇인가”를 끊임없이 고민해왔습니다.
그 결과, 본질·진리·이성·과학에 부합하는 독해 훈련 과정을 담아낼 수 있었습니다.
문장을 명료하게 읽고 이해하는 훈련 → 배경지식 스키마 훈련 → 단어를 표상화하는 훈련
이 세 단계를 통해 국어 독해력의 근본을 세우도록 설계된 교재입니다.
많은 고민과 노력을 담아낸 결과물이니,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사랑 부탁드립니다.
바로 교재 소개부터 드리겠습니다.
1. 교재는 3가지 형식으로 제작되었습니다.
1-1 배경지식 (스키마)
1-2 문장 단위별 독해
1-3 표상화
각 3개의 파트를 조금 더 자세하게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1 배경지식 (스키마)
배경지식, 즉 스키마 파트는 총 30명의 철학자가 제시한 핵심 개념을 바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시문의 수준 또한 리트 제시문과 수능 지문 사이의 중간 단계를 유지하기 위해 심혈을 기울였습니다.
특히 기술·과학 분야를 제외한 인문·사회 전반의 제시문을 포괄할 수 있도록, 상위 개념과 철학적 용어들을 적절히 배치하였습니다. 따라서 학습자는 이 파트의 제시문을 익히는 것만으로도 다양한 배경지식에 커다란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제가 늘 강조하는 바는, 배경지식을 배제한 독해는 곧 죽은 독해라는 점입니다. 지문을 읽고도 왜 쓰였는지, 어떤 맥락에서 나온 것인지 이해하지 못한다면 진정한 독해라 할 수 없습니다. 그렇기에 『문명』은 따로 배경지식을 암기하도록 강요하지 않습니다. 대신 제시문 그 자체 속에 배경지식 요소를 녹여 두었고, 학습자가 이를 문장 단위로 해체하며 학습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스키마적 사고를 내면화할 수 있도록 설계했습니다.
그 결과, 『문명』의 제시문을 충실히 학습한다면 추가적인 배경지식 학습이 필요 없는 독해 훈련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1-2 문장 단위별 독해
『문명』의 두 번째 파트는 문장 단위별 독해 훈련입니다. 제가 꾸준히 강조해온 독해 철학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한 문장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면, 글 전체가 붕 떠버린다.
2. 그 결과 글의 의미를 ‘기억력’에만 의존하게 되고, 문제 풀이 단계에서는 지문이 온전히 따라오지 않는다.
3. 또한 문장 단위의 이해가 부족하면, 학습자는 글의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기보다 단순히 구조 독해나 ‘형식적 틀’에만 기대게 된다.
『문명』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문장 이해 자체에 집중하는 훈련을 제공합니다.
즉, 한 문장을 단순히 읽고 넘어가는 것이 아니라, 적어내며 사고하는 과정을 통해 깊이 이해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훈련 방식은 간단합니다.
학습자는 원문을 읽은 후 해설을 보지 않은 채, 교재에 마련된 네모 칸에 자신이 이해한 문장의 의미를 직접 적어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학습자는
1. 글의 의미를 스스로 재구성하는 능력을 기르고,
2. 한 문장 안의 논리 구조를 분명히 파악하며,
3. 단순한 독해를 넘어 메타인지와 깊은 사고력을 키우게 됩니다.
결국 이 파트는 “글을 구조로만 읽는 독해”를 버리고, 한 문장 한 문장을 진정으로 이해하는 독해를 훈련하는 과정입니다.
1-3 표상화
마지막 단계는 표상화(表象化), 즉 이미지화 훈련입니다.
우리가 지문을 읽을 때 가장 흔히 부딪히는 문제 중 하나는 단어입니다.
1. 하나의 단어가 여러 의미를 가질 수 있고,
2. 평소 사용하지 않는 단어가 등장하면, 설령 단어 자체는 알고 있더라도 독해 속도가 급격히 느려집니다.
그 결과, 지문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거나 글의 흐름을 놓치게 됩니다.
『문명』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문의 모든 주요 단어를 중복과 예외 없이 표상화할 수 있도록 칸을 마련했습니다. 학습자는 해당 칸에 각 단어의 의미를 이미지화하여 직접 표현하면서, 단어가 지닌 추상적 개념을 머릿속에서 구체적이고 직관적인 형상으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교재에는 제가 정리한 표상화 해설도 함께 수록했습니다. 그러나 단순히 제 방식을 따라 하기보다는, 학습자가 직접 자기만의 표상화를 만들어내는 과정이 더욱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단어를 단순히 ‘아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지문 속 맥락에서 체화된 의미로 이해하게 됩니다.
결국 이 파트의 목표는, 글을 읽을 때 생기는 언어적 장벽을 이미지적 사고로 돌파하여, 지문 전체를 빠르고 정확하게 소화할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아래는 한 학생의 예시 입니다.
아래 오르비 -아톰 사이트에서 판매하고 있으니,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 가져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꾸벅.
저의 꿈은 단 하나… ✨ 수능 국어 베스트셀러 작가 되는 것!!!!!!!! (여러분의 사랑과 구매가 곧 저의 연료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내가 이 문제에 몇분 썼나를 모르니까 패스해야할지 남은시간에뭐더풀어야할지 감이안잡힘
-
6평 2등급 통통인데 13 14 15 20 21 22 29못품 망한듯
-
답개수일치함
-
ㅇㅇㅇ
-
더프를 안보니까 2
낄 수가 없네
-
내가 살다살다 통계를 못풀어보는 날도 오는구나
-
수학 답맞추실분 3
15 22 28 30 못풂.. 15 28은 1 4로 찍음 미적임
-
허수라 난이도파악이안됨 수학은 어려웠던거같은데
-
계산으로 변별하네
-
8덮14번 2
시발더하기를못하노 2번처함
-
나 암살시켜조 0
왜사뇨이
-
+-( t^2-1) 또는 0 이거 아닌가 4번 나왔느데...
-
특정전공 수시합격생들 자소서 구입할 수 있는 사이트 아시는 분 있나요? 3
Sky 건환공 자료를 구해보거싶은데
-
어렵네요 1
개인적으로 올해 푼것중에 손꼽히는 느낌? 물론 현장이라 더 그럴수도
-
이것만 풀면 공통은 1틀인데 ㅈㄴㄲㅂ
-
ㄹㅇ 욕지꺼리 나오네
-
내일 출국 4
히히
-
27번, 36번(언매) 몇번햇듬?
-
수학 아쉽네 3
계산 실수를 계속 해서 똑같은 문제를 너무 오랫동안 봤음
-
대선 결과 보고 부정선거 주장 이런거 스토리에 올려서 논란이던데 근데 대선이 2달...
-
걍 답 2번밖에 안되서 찍음 ㅋㅋ 머냐
-
ㄹㅈㄷ개천재됨 6
내신교재 맛도리누 굿굿굿굿
-
하
-
씨벌탱탱
-
수학은 얼마 남았는지를 모르니까 푸는 내내 30분도 안남은거같은 기분이 들어서...
-
그냥 유기한다 너는
-
공통 주관식 2
Omr 밀린거 같은데... 하..
-
ㅇㄷㄴㅂㅌ ㅅ발
-
8더프 수학답 16
23414 52315 42532 4,29,8,11,112,16,14...
-
나형30번 맞혀놓고 이건모름
-
왜 ㅅㅂ 안 풀리지 국어는 쉬웠음
-
국수 둘다 조진듯
-
수학 12벚 2
3번 아님?
-
하 시발 0
좆같네
-
확실히 국어가 0
풀면서 좀 날려 읽으면 바로 틀리네... ㅜ
-
8덮수학 답맞추실분 10
본인이력 현역 ㅈ반고 통통이 6모 92 7섶 96 다수의 70점대 서바와 강k...
-
하
-
런 그딴거 모른다.
-
요즘은 시간 촉박하게 끝내짐 왜 그런지 모르겠음요 점수는 비슷한데 진짜 퇴화한건가
-
수학 좀 어렵네 2
14 좌표 잘못놓고 기하 26 27땜에 시간 분쇄당함
-
그리고 윤성훈t 최적t 중에 누구 들을지도 추천 좀요… 사회과목은 통사 이후로 ㄹㅇ...
-
어떻게 해야하는지 지금 8월인데도 감이 안옵니다 정답률은 진짜 많이 올랐는데 그냥...
-
버거킹 뭐먹지 6
흠
-
9모 올 5등급 1
충격 먹고 하루에 14시간씩 공부중인데 냉정하게 올 3등급까진 가능하려나
-
공통 문항 9 - 13번 문항 의뢰받습니다. 저작권은 드릴 것이며 문항 당 만원...
-
국어 연계공부는 지금까지 강e분 위주로만 했는데 ebs연계 대비용으로 주간지를...
-
비자 사진 잘라서 써도 되나 5*5임
-
17수능 사문 1 베이스인데 개념강의 다 듣자니 뭔가 시간이 아깝고 베이스 있으면...
-
이해원n제 s1 0
커넥션 수1,2는 정답률 70퍼는 위로 나왓던거같은데 이해원 n제 즌1은 데이1부터...
감사합니다 ^^
오 출판을 축하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블로그에 쓰신 칼럼은 여태까지 읽어 본 칼럼 중 가장 좋았음.. 출판 축하드려요
감사합니다 ^^
더 좋은 글 적도록 하겠습니다.
옹 드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