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에서 역설법 질문있습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386707
말이 안되면 역설법이라고 알고있는데
박남수의 새 에서 포수는 한덩이 납으로 그 순수를 겨냥하지만
여기서 순수를 겨냥한다는게 말이안되지않나요?
또는
정일근의 어미니의 그륵에서 말하나가 살아남아 빛나기 위해서는에서
말이 빛난다는것도 말이안되지않나요?
또는 최두석의 노래와 이야기에서 노래하고 싶은 시인은 말속에 은밀한 심장의 박동을 골라 넣는다 이것도 말이안되지않나요?
근데 셋다 역설법이 아니라고 하네요 역설법의 정의에 대해서 혼란이 오는데 정리해주실분 있으신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뭔 갑자기 이상한 전형 생긴 해에 수시로 경북치 간 거 아녔음?? 검색해보니까 안...
-
대체무슨정신머리로물2지2를하겠답시고나댔는진모르겠는데 각오한거니까 원과목은 ㅈ밥수준이지 머..
-
소신발언 1
-
까먹고 신청 못하는 대참사 벌어질수도 있으니
-
이 시기에 독재 1
바꾸는 거 에반가
-
재밌겠다.. 난 뱃지만 있는데
-
결국 구매했고 풀기 무서워서 냅뒀는데 과연 몇 점이 나올지..
-
입금된돈 방금 너무작아서 더 원해 영원한 삶 쩌는 퀄
-
제2외 신청하나 안하나 걸리는 학교 똑같은데 작수 제2외 신청했을 때 교실에 14명...
-
사문 할거고 생윤은 노베 지구는 작수 1컷 (근데좀까먹음) 설대 기준으론 뭐가나을까요??
-
그럼에도 일해야지
-
Bl 걍 역겨움 1
ㅇㅇ
-
생윤 문제집 중에 평가원 문제만 빨더텅처럼 모의고사로 묶어서 나온 거 있나요??...
-
오픈 마인드로 이해해줘봐야지... 일단 나는 아닐테니까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