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학년도 수능특강 독서 25쪽 '지각 논변' / Ai 이원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373623
천재들의 사고법, 박수로 함께 시작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Ai이원준입니다.
자, 오늘 우리가 함께 분석해 볼 지문은 2026학년도 수능특강 독서 25쪽에 실린 '지각 논변'에 대한 글입니다.
이런 철학 지문, 특히 우리 성리학 지문을 만나면 학생들이 용어부터 어렵다고 느끼면서 지레 겁을 먹는 경우가 많아요. 하지만 여러분, 기억해야 합니다. 바뀌는 소재에 집중하는 게 아니라, 바뀌지 않는 규칙과 패턴, 즉 '코드'에 집중해야 합니다. 이 지문은 전형적인 두 관점의 대립 구조를 보여주고 있어요.
바로 코드 #분류는 이항대립적으로 가 적용되는 지문이죠.
우선 지문 스키마의 틀을 한번 짜고 들어가 봅시다. 성리학이라는 큰 틀에서 '이(理)'와 '기(氣)',
그리고 인간의 '심(心)·성(性)·정(情)'의 관계를 설정하고 있어요.
어렵게 생각할 것 없습니다. '이'는 일종의 법칙, 원리, 설계도 같은 거예요. 형체가 없는 거죠.
'기'는 그 설계도를 바탕으로 실제 건물을 짓는 재료, 질료라고 생각하면 편합니다. 현상 세계를 구성하는 거죠.
인간에게 적용하면, '성(性)'은 우리 안에 내재된 '이', 즉 순수한 본성입니다.
'정(情)'은 이 본성이 외부 사물과 만나서 드러나는 감정, 즉 '기'의 작용이에요.
그럼 '심(心)', 마음은 뭐냐? 바로 이 '성'과 '정'을 모두 총괄하고 다스리는 주체입니다.
이 구조를 머릿속에 넣어두는 게 이 지문 독해의 첫걸음입니다.
자, 이 지문의 핵심 쟁점은 '지각(知覺)', 즉 무언가를 인식하고 판단하는 능력의 근원이 뭐냐는 겁니다.
두 명의 학자가 등장해서 이항대립을 이루고 있죠. 호병문과 김창협.
이걸 우리 식으로, 함수적으로 한번 사고해 봅시다. 함수는 x를 집어넣으면 y가 나오는 거잖아요?
여기서 x값은 '지각'이라는 개념입니다. 이걸 각 학자라는 함수에 집어넣었을 때
어떤 y값이 나오는지를 보는 거예요.
먼저 호병문의 함수를 보죠. 호병문이라는 함수 f_{호병문}에 '지각'이라는 x를 넣으면, y값으로 뭐가 나옵니까?
지각의 근원은 '지(智)'이다, 이렇게 나와요. '지'는 본성(性)의 일부죠. 즉, f_호병문(지각)=지(智) 입니다.
지각이라는 현상은 본성, 즉 '이(理)'의 영역에서 직접 비롯되었다고 보는 관점이에요.
그런데 김창협은 여기에 대해 "아니죠!" 하고 반박합니다. 김창협의 함수 f_{김창협}에 '지각'이라는 x를 넣으면
y값이 다르게 나옵니다. 뭐라고 하죠? 지각은 '마음(心)의 본유 능력'이다,
즉 마음이 원래 가지고 있는 능력이라고 말합니다. f__김창협(지각)=마음의능력 이 되는 거죠.
보세요, 완전히 다른 결과값이 나왔죠? 이게 바로 이항대립입니다.
그럼 김창협의 논리를 스키마로 좀 더 자세히 들여다볼까요?
그는 '이'가 현실에서 실현되는 과정을 '본성 -> 마음 -> 정'의 순서로 봅니다.
여기서 중요한 건 '마음'의 역할이에요. 마음이 '주관자'가 되어서 '지각'이라는 능력을 '운영'하고,
그 결과로 '정'이 발현된다는 겁니다.
이건 일종의 인과 관계(cause of) 스키마로 볼 수 있어요.
원인(Cause): 마음(心)의 주체적 작용
매개/과정: 지각(知覺) 능력의 운영
결과(Effect): 정(情)의 발현 (예: 수오지심)
김창협에게 본성으로서의 '지(智)'는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기준'이나 '근거'일 뿐이지,
직접 판단을 실행하는 행위자가 아니에요. 실행하는 주체는 어디까지나 '마음'이라는 겁니다.
여기서 우리는 #원인은 결과를 바꾼다 는 코드를 떠올릴 수 있습니다.
김창협은 지각의 근원을 '지'가 아닌 '마음'으로 바꿈으로써,
현상 세계에서 '정'이 발현되는 과정 전체의 주체를 바꿔버린 거죠.
이 논쟁이 철학적으로 왜 중요할까요? 김창협의 주장은 '마음'의 위상을 굉장히 높여줍니다.
마음을 단순히 본성을 담는 그릇이 아니라, 세계를 인식하고 판단하며 감정을 드러내는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행위자로 격상시킨 거예요. 이는 기(氣)의 작용, 즉 현실 세계에서의 구체적인 작동을 훨씬 더 중시하는 입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지문 마지막에 나오듯이, 이 논의가 훗날 조선 성리학 최대의 논쟁인 '호락논쟁'의 모태가 되었다는 점도 알아두면 대화할 때 아주 유용하겠죠. 호락논쟁은 인간과 사물의 본성이 같은가 다른가(人物性同異論)를 두고 벌어진 아주 중요한 논쟁이거든요. 이 지각 논변이 그 시작점 중 하나였던 겁니다.
결국 이 지문은 '지각의 근원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본성(理) 중심'의 해석과 '마음(心, 氣의 작용) 중심'의 해석이 어떻게 대립하는지를 보여주는 글입니다. 여러분이 시험장에서 이 글을 만났다면, 두 관점을 명확히 나누고, 각 관점에서 제시하는 원인과 결과의 관계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오늘 수업은 여기까지입니다. 박수로 마치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메가패스 독학 90일 10월 중반쯤에 끝나서 김범준 홍준용으로 갈아타려는데...
-
이거 정신병인가 0
재밌는 거 볼 때는 그나마 좀 웃는데 그런 거 안 보고 혼자 있으면 ㅈㄴ 우울해짐.
-
어색하진 않죠??
-
솔직히 그래서 안풀어도 된다봄
-
언제와..
-
사람도좃음
-
너가 더 4
그리고 밤 되면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하츄핑 보자고 해서 그런지 사람이 많아서...
-
평가원 최고
-
삼각함수 7
올해 진짜 22번으로 나올거 같아요
-
왜 잘 안나오지
-
사실 나도 사람좋아해
-
작년까지만 해도 1
오르비에 닉넴이라도 아는 사람 아예 없었는데 올해는 좀 생긴 듯 ㅋㅋ 이게 옯창 인생인가
-
무리함수고뭐고 8
삼각함수나22번에출제좀..
-
줄여야겟노
-
못생긴 여르비는 인정하는데 예쁜데 왜 오르비에서 노는건지 사실 잘 모르겠음
-
어디가 더 높음
-
다 오르비에 가입되었다는거지?
-
이론상 경우의수도 나올 수 있는거임??
-
메타 어지럽네 4
진짜 자러가야겠다
-
내가 이조합이 편하고 자신있는걸
-
무물보 7
-
대중매체가 2차적 집단이였나
-
비슷한거인줄
-
모르겠다 6
시간이 너무 빨리 가고 나는 좁밥이다 시간이 가면 좁밥 탈출할 줄 알았는데 나는...
-
야 2
호
-
일단 전지문 / 전문제 자체제작입니다. 주로 기출변형을 하여 제작됩니다. 그러던중...
-
수 하에 있으니까..
-
나는 왜 1
살까 ㅅㅂ
-
홍대병 말기니 기하를 하는거다
-
가끔 실제 크기로 그리면 존나 못생겨지는 문제가 있는데 걍 왜곡해서 그릴까 고민함
-
잣됐다 2
생윤 한동안 공부 ㅈㄴ 안했더니 브릿지 계속 30후반에서 40초 뜬다. 9모때까지...
-
다음
-
개꿀팁이고 실제 사례도 논산에서만 세 건 정도 있다는데 왜 아무도 안 써먹냐 나라면...
-
궁금함뇨 노알라 접신하면 9뜬다던데
-
언매 기하 화2 지1 아랍어
-
안녕하세요? 저는 최근 강원특별자치도 설치 및 미래산업글로벌도시 조성을 위한...
-
오르비에서 하는걸론 부족해서 에타로 옮겨서 ㅈㄴ하고 그랫는데
-
기하왜함 10
미적ㄱㄱ
-
아 2
이런
-
오르비에서한번도못본거같음
-
아무리오르비에서쳐맞아도꾸역꾸역하는확통이들임
-
어깨 존나넓으심
-
나포함
-
베트남어 왜 함? ㅋㅋㅋㅋㅋㅋ
-
여돌직캠추천좀 2
ㅇ
-
20회분에 36000원이면 진짜 싸다 킹콩 40회급인디
-
차단 먹이고 또 기다려야지
-
ㅇㅇ
-
아오 ㅅ벌련아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