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쿠리 [1310649] · MS 2024 · 쪽지

2025-08-19 17:25:46
조회수 109

근데 진화론 자체가 우생학아님?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367767

우생학(優生學, eugenics)은 육종 등의 방법으로 인간의 유전형질 가운데 우수한 것을 선별, 개량하여 인류 전반의 유전적 품질(genetic quality)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보는 유사과학이다.


진화과정에서 살아남은, 즉 우월한 인간끼리 서로 만나서 결혼하잖음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alsalsals0133 · 1397180 · 5시간 전 · MS 2025

    환경에 잘 적응한다 != 우수하다

  • alsalsals0133 · 1397180 · 5시간 전 · MS 2025

    사상을 집어넣는 파시즘적인 마인드랑
    과학의 이론을 함부로 연결시키면 안된다고 생각해요

  • 쿠쿠리 · 1310649 · 5시간 전 · MS 2024

    그런데... 환경에 잘적응해서 살아남눈게 왜 우슈한게 아님?

  • alsalsals0133 · 1397180 · 5시간 전 · MS 2025

    님은 인간 급 나누기를 바탕으로 우월성을 정의를 설정했자늠

    진화론의 요지는 그게 아님.
    주어진 환경에 따라 자연선택이 된다는 사실을
    인간 급 나누기에 교묘하게 맞물리면 그게 히틀러의 유대인 탄압이랑 다를게 뭐임..

  • 쿠쿠리 · 1310649 · 5시간 전 · MS 2024

    저는 살아남는게 우수하다고 했는데요

  • alsalsals0133 · 1397180 · 5시간 전 · MS 2025 (수정됨)

    "인류 전반의 유전적 품질(genetic quality)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보는 유사과학이다.
    진화과정에서 살아남은, 즉 우월한 인간끼리 서로 만나서 결혼하잖음"
    ? 급 나누는걸 목적으로 진화론을 곡해하시는거 같은데요.

  • 쿠쿠리 · 1310649 · 5시간 전 · MS 2024

    거기에 적혀있잖음 살아남은게 우월한거라고

  • 딥_블루 · 1363801 · 5시간 전 · MS 2024

    적합과 우월은 다른 개념입니다.

  • alsalsals0133 · 1397180 · 5시간 전 · MS 2025

    바로 위에 인류 전반의 유전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보는 유사 과학이다

    => 이게 사람들의 주관적 견해가 포함된거라는거엔 왜 반박을 못하심.

  • 쿠쿠리 · 1310649 · 5시간 전 · MS 2024

    말씀이 이해가안됨..

  • 딥_블루 · 1363801 · 5시간 전 · MS 2024

    일단 환경에 적응한다와 인간이 좋은 형질로 판별한다. 이 둘은 명백한 차이가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서 고래는 모기보다 수만배 이상 작지만. 모기는 세계에서 창궐하고 고래는 멸종 위기동물입니다. 진화론은 주어진 환경에서의 적합 여부로 수렴을 논하는 것이고. 우생학은 인간의 가치론적인 판단으로 특정 형질에 대한 우대를 하는 것입니다. 또한 진화론은 본질적으로 과학입니다. 자연주의의 오류라는 논리학에서의 오류가 존재하듯이 자연적인 전통이 윤리와 도덕으로 직결되지는 아니합니다.

  • 딥_블루 · 1363801 · 5시간 전 · MS 2024 (수정됨)

    추가적으로 지연주의의 오류에 대해서 논하자면. 과거 인류의 생존 방식을 현대에 적용시키는 것이 가능한가? 라는 논지인데 글쎄... 위험한 발언일 수는 있지만 강간도 유전자를 퍼뜨리는 방식의 일종입니다. 실제로 과거 고대 혼인의 경우 납치혼으로 발생하는 일도 잦았습니다. '사바나 여인들의 중재'가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현대 사회에서 강간이 합법인 것은 아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