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 Trend] 빈칸 (난이도 중) 9017 (문제+정답)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355545
1. 난이도 breakidown:
상 > 중상 > 중 > 하중 > 하
2. 난이도 기준:
- 상: 고급 전문 지식이나 복잡한 추론이 필요한 경우
- 중상: 다소 전문적인 배경 지식과 문맥 이해, 추론이 필요한 경우
- 중: 일반적인 지식으로 접근 가능하나 약간의 분석이 필요한 경우
- 하중: 기본적인 이해와 직관으로 풀 수 있는 경우
하: 문제 풀이에 필요한 지식과 추론이 매우 기본적이고 직관적인 경우
수능 영어 지문 어디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지문 독해법 설명) ----> 바로가기 클릭
# 9017. 정답은 저~~~~ 아래 꼭꼭 숨겨 두었습니다. 질문은 댓글에 남겨주세요.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심리학 + 시스템 공학/교통 안전)
Air traffic control is a high-stakes profession that demands unwavering, sustained attention. Controllers must monitor complex radar screens for hours, watching for any sign of potential conflict. This type of task, however, is notoriously susceptible to a well-documented psychological phenomenon. As defined in early attention research by psychologist Norman Mackworth, the "vigilance decrement" describes . After just thirty minutes, a controller's detection accuracy can drop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risk of an accident. This is not a matter of laziness, but of cognitive fatigue; the brain struggles to maintain focus on a monotonous but demanding task. To mitigate this risk, system engineers design interfaces that use AI-assisted alerts to proactively draw attention to potential conflicts. This fusion of psychology and systems engineering is crucial for safety optimization, ensuring that technology is designed not just for peak human performance, but for its inevitable, predictable decline.
* unwavering: 확고한, 변함없는 ** susceptible to: ~에 취약한 *** monotonous: 단조로운
① how the ability to detect critical signals declines over time
② why sustained attention becomes difficult in monotonous task environments
③ when cognitive fatigue interferes with radar screen monitoring task performance
④ where controller detection accuracy improves through systematic training and practice
⑤ which psychological factors enhance sustained vigilance during complex monitoring tasks
||
||
||
||
||
||
||
||
||
||
||
||
||
||
||
||
||
||
||
||
||
||
||
||
V
바로 요기 !!
정답: 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교과 하나 넣어보려는데 갑자기 좀 후회되네
-
사시, 정시, 옛 과거시험 같은건 필연적으로 낭인을 양성함 3
개인으로 보면 낭인 본인도 안타깝지만 능력주의 시험으로 인해 능력자보다도 낭인이...
-
성분화할생각에 기분이 좋아
-
나 지금 모든 사설 기술지문 1개씩 날리는데..ㅅㅂ..나만그럼?? 서바 더프 상상...
-
내가 성공한건 내가 잘나서고 니가 실패한건 노오오오오오력이 부족해서임 ㅋㅋㅋㅋㅋ
-
안녕하세요, 저희는 서울대학교 재학생∙졸업생 40여 명으로 구성된 교육 콘텐츠 팀,...
-
씨발 올타임 레전드 기상이는 개그맨으로 투잡뛰어서 1년안에 연예대상받을수 있을듯...
-
28부터는 정시 자체에 내신 반영이 된다 => o? 내신이 3점대면 정시로도 상위권...
-
또선생 4타 -> 3타 박석준 6타 -> 3타 김상훈 4타 -> 6타 ㄷㄷ 상훈쌤 왜케 떨어지셨지
-
ㄱ? 9
-
오랜 고민이다.
-
지금 옆에서 폴짝폴짝 뛰고 있음 인사하실 분
-
실모 제작해서 배틀 뜬다며..그거 어케됨…?? 이미끝남..?
-
솔직히 상위권 대학을 노리는 오르비에서나 이거 민감하게 받아들이지 여기 라인부터는...
-
하 시발 나만 남자인데 12
키 160대중반이지 ㅗㅗ
-
근데 왜 수능을 통한 정시가 계층이동의 사다리임? 24
계층이동의 관점에서 보면 농어촌 특성화고(재직자전형) 사배자전형과 수시 등등을 통한...
-
개추
-
설마 안그러지는 않겟지
-
음 할건해야제
-
이걸 진짜 실현해주네 ㅋㅋㅋ hell조선 대규모 업데이트 미쳤고
-
08년생이 그냥 고등학교 결석 존나해서 1년 유급하면 어케 되는 거임? 아예...
-
08까지는 아예 교육과정이 다른데 ㄱㄴ 한거임? 과목 이름도, 심지어 등급제도...
-
사학과나 지리학과 천문학과는 생기부 많이 보는거 허용해주자 1
저기 가는 애들은 생기부 보면 병적 덕후인 애들이 많더라 걍 얘네는 지금 체제보다...
-
하...
-
역사상 최고의 대학 숭배함미다
-
미모가 말이 안됨
-
이미지 합성 ai 모델로 최근 등장했는디 성능이 아주 기가막혀서 주목받는 중 이 두...
-
어늘푸러벌문제는디마인드칠번이구여보다시피절대갑시이느데일단처느천히생각을해보도록핪ㅢ아
-
https://share.google/Y53e3J1iJXHWrUvZR 진로도 잘...
-
드디어 대울대가 n수낭인사회를 정상화한다
-
슬슬 좆된 것 같은 09 조용히 손 들어보자 ㅋㅋㅋㅋ 일단 나부터
-
할거면 고대처럼 나눠서 뽑던지 일괄 적용은 뭔 심보인지 ㅋㅋ 28수능부터 존나 족쇄...
-
뒤에 애들은 우리보다 젊으니까 내신 알잘딱 하겠지
-
차라리 학종을 줄이고 논술 비중 늘렸으면 대신 본고사처럼
-
흐음 6
음음 벌써 숙취가
-
저까지만 딱 붙여주고 사다리 걷어차주세여어..
-
기부입학 반대임 0
난 돈이 없어 근데 농어촌도 안됨 그냥 좆댐
-
대충 100명만 뽑아도 학교 역량 강화 ㅈㄴ할수있음 난 기부입학 대찬성임
-
정시에 내신반영? 딸기우유에 밥말아먹는 소리하고있네
-
그냥 요즘 뭔가 좀 뭔가 약간 그럼 뭔 말인지 알지
-
피드백 환영 현재 고2이고 언매 선택 예정입니다 현대소설이 항상 내용 이해가 잘...
-
애미
-
미친거냐 크아ㅏㅏㄱ
-
라는 나쁜말은 하면 안되겠죠??
-
처참한 내신 2.1 서울대 일반 고대 학우 성대 융합 한양대 서류 중앙대 융합...
-
아님 진짜 27에 모든걸 박을까 내신 잡으면 2점 후까진 ㄱㄴ
-
나만빼고다행복해 1
나만불행해
-
너네도 손해보는 검고생한테 꼬우면 검고보지 말랬잖아
-
애미없는데이건
the brain struggles to maintain focus on a monotonous but demanding task.
선생님 이 문장을 단조로운 것에 집중을 유지하려고 하지만
까다로운 업무에 포커스하게 된다 로 해석하면 될까요?
여기서 but을 어떻게 해석하면 될까요?
아...그런 거를 어려워 하는거였군요? 그래서 내가 문제를 올릴 때마다 아래의 내용을 계속 붙여넣었던 거예요.
수능 영어 지문 어디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지문 독해법 설명) ----> 바로가기 클릭
위의 내용을 이해하고 습득하면 그런 질문 앞으로 안 하게 될 겁니다.
그러시면 내가 질문한 문장이 들어간 지문을 통채로 분석을 해서 그런 것의 의미를 지문안에서 알아내는 법을 위의 지문 독해법에서 설명했던 것을 기반으로 자세하게 설명하겠습니다. 그 내용은 내일 올려드리겠습니다.
우선, 간단하게 팁을 드리자면 '통통이'님은 지문의 일부분의 의미(즉, 해석)에 집착하지만 나는 지문의 구조에 "집중"하기 때문에 그런 일부분의 의미는 별로 신경을 쓰지 않습니다.
세상의 모든 영어 시험은 2가지를 테스트합니다.
1. 주어진 지문의 전체의 내용. 즉, 포괄적인 내용을 이해하는 가?
2. 주어진 내용의 구체적인 세세한 내용을 이해하는가? 입니다.
빈칸 추론은 당연히 1번에 해당되어야 하지만 우리나라 수능 시험은 약간 돌연변이라서 반드시 1번을 묻지는 않지만 1번을 물어봐야 하는 것이 정상입니다.
따라서 빈칸 추론은 글의 커다란 맥락인 포괄적인 의미, 글의 내용을 대표하는 메세지를 찾아야합니다.
그것을 어떻게 찾는 지 그 방법은 수능 영어 지문 어디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지문 독해법 설명) ---> 여기에서 설명했는데 질문하신 지문을 가지고 내일 답변을 올리겠습니다. 지금은 잠자리에 들 시간이라서 내일 퇴근하고 오후에 자세하게 답변드릴테니 그 답변을 깊이 있게 이해하려고 노력해보세요. 그러면 시간 낭비를 하지 않게 될 겁니다.
Good nite!!!
감사합니다 선생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