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미적분 함수식을 더 간단히 쓸 순 없을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345848
미적분을 하다보면 식이 너무 길어져서 갠적으로 고민을 했었습니다.
그리고, 그 고민에 따른 결과가 바로 저 Apocalypse-II(닉넴 바꿨어요)가
고안해 낸 미적분 간소화 함수식입니다.
이 사진은 제가 이번에 공유할 표기법을 몇가지만 가져와본 예시들이구요.
보통, 사람들이 수1할때 sin,cos,tan를 S,C,T로 많이 줄이시기도 하지만
sin,cos,tan에 x가 아닌 다른 함수가 합성되었을 때는
그냥 원래의 식을 사용하시는 경우가 대부분이더라구요.
하지만, 저는 이러한 원래의 장황한 삼각함수의 표기법이 그닥 마음에 들진 않았습니다.
꽤 길다고 느껴지던 삼각함수의 표현 방식이 안그래도 복잡한 계산을
(단순 계산시간만 늘리는게 아니라 순간적인 계산실수까지
유도해버릴 수 있는 꽤나 까다로운 문제다.)
훨씬 더 복잡하게 만들어버리는 데에 한몫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다음은 제가 직접 고안한 미적분 함수들의 표기법을 적용한 사례입니다.
전보다는 훨씬 표현이 간소화 되었죠
실전에선 이보다 더 복잡한 함수들도 자주 접하기 때문에
그때, 해당 표기법의 효율성은 더욱 진가를 발휘할 것입니다.
(BONUS)
추가적으로 이러한 방식의 표기들도 가능해요
다음과 같이 합성함수의 표현식이라도 표현하는 데에
필요한 작성량이 많이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죠.
(제 표현법을 쓴다면 효율적으로 함수식이 간소화되어 계산실수를 방지하고,
계산량까지 크게 줄여주는 부가효과까지 기대해볼 수 있게 됩니다.)
주제에 대한 저의 아이디어가 꽤 괜찮았거나
꽤 흥미롭게 볼만했었던 칼럼이었다면
다들 좋아요 한번씩 부탁드립니다.
제 칼럼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 아이디어가 꽤 괜찮은 생각이라 판단되었다면,
제가 나머지 다른 식도 요약하는 2부도 추후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쿠쿠리식 창세기 1
세상에 존재하는 비결정성을 설명하기위해 비결정론의 근원인 제1원인을 상정한다...
-
20분 기다려야됨
-
나도 나도 1
.
-
언어 특인가 어학연수 1달 갔을때는 필리핀 대만 사람이랑 대화하려면 영어만 하다보니...
-
이정도면 대학 1
화3극초 확2극초 영2 사문1 지1컷~2극초면 공대기준 어디까지 가능한가요...
-
전역 하고 싶음 1
ㄹㅇ 환생 마렵
-
다 새로운뭌제들이자나ㅏㅏㅓㅓㅓ
-
6모때문인가
-
시흥 오이도 사람도 없고 한적해서 멍때리기 좋음
-
사탐런 첫해인 25기준으로 봤을때 당시에 사탐으로 이득보는 대학이 서강대 건국대...
-
대충 학교에서 국어쌤이 수능 국어 특강 한다고 해서 무료인데 한 번 들어볼까?해서...
-
어나클이나 제대로 할가
-
어그로 ㅈㅅ이요 이제 홍준용 핀셋 유전파트 듣고 택앤스 들으려는데 9모 끝나고부터...
-
가4나1은 들어봤는데 ㅇㅇ
-
진짜 시간 개오래걸리는 수행 너무 많고 대놓고 최저러 정시러 죽으라는게 보이는 수행...
-
아 현타오네 1
수능도 87일 남았고 최저도 간당간당한데 한국사 인물 신문만들기 수행을 하고 있네 현타 개씨게온다
-
강k12회 2
88점!!! 20번 쳐틀리고 대신 15번 찍맞상쇄 그리고 22 29 줄건주기...
-
우마뾰이전설
-
이시발

고수이건 대체 뭐임
사인 인테그랄이랑 안헷갈려요?
저는 딱히?
헷갈리진 않습니다
아 ㅋㅋ
저건 그냥 대충써서 그래요
와 저랑 똑같으시네요 ㄷㄷㄷ
현역때 저렇게 쓰고 풀었었는데
근데 삼각함수는 저렇게 쓸 생각 못했음
오 ㄷㄷ
우연의 일치신가여
삼각함수 빼고는 거의 비슷한거같아용
삼각함수는 저렇게 쓸 생각을 못함..
갠적으로 삼도극 풀때 좀 유용한 듯
오 나 저렇기 쓰는데 가끔 쓰기 귀찮을 때
흠.. 다만
사인에 e^x 승을 곱할때
좀 민망한 상황이 연출될 순 있다는 점
주의하시길 바랍니다..(부작용 ㅜㅜ)
저는 Sinx 에서 속함수가 x인 기본형이면 걍
S로 더 줄여서 쓰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