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XEL [1393852] · MS 2025 · 쪽지

2025-08-17 22:37:52
조회수 693

물2 포물선 - 5가지 방법으로 풀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343538

기출문제 풀어보다 한 문제로 몇 가지 풀이법을 만들어낼 수 있을까라는 의문에서 출발하여 여기까지 오게 되었다.

사실 진짜 xy축 직교분해와 중력을 제외한 궤적을 이용한 2가지의 풀이를 추가할 수 있으나, 조금 복잡해지는 관계로 생략했다.


이제 물2에 입문한지 4개월이 다 되어가는데, 아래는 몇 주 공부하고 쓴 칼럼이다. (풀이가 조잡함을 감안하고 볼 사람은 보셈)

솔직히 지금 다시보면 마음에 안드는 것도 좀 많은데, 귀찮아서 못 고치겠음


포물선 - 손풀이 및 설명

https://orbi.kr/00073503946


돌림힘 - 손풀이 및 설명

https://orbi.kr/00073510410


시작하기 전에, ㄱ 과 ㄴ 선지를 정리하고 가보자.


ㄱ. 빗면에 수직하게 가속도의 x' 방향을 잡으면 해당방향 속도가 0이 되었다가 정반대의 속도로 빗면에 도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국 기울인 축에서의 최고점으로 볼 수 있으므로 시간은 절반으로 같다.


ㄴ. 그냥 계산하면 된다.



이제부터 나의 5가지 풀이 방법을 소개해보겠다.



1번. 빗면을 x'축으로 가정하고 중력 g 성분을 새로운 축에 맞추어 분해하자

ㄷ을 구할 수 있다.



2번. 속도 벡터를 사용하여 tan theta 값을 직접 구하자.

ㄷ을 구할 수 있다.



3번. 운동궤적이 이차함수임에 착안하여 식을 직접 구하자.


그림으로 그려보면, 

ㄷ을 구할 수 있다.



4번. 이차함수의 평균변화율-순간변화율 관계를 응용하자.

3번 마지막 정리 그림을 다시 그려보면 ㄷ을 구할 수 있다.



5번. theta를 움직이지 말고 원주각으로 보자.

ㄷ을 구할 수 있다.


+) 중력끄기와 수평-수직 이동거리 공식의 관계


따라서 아래와 같은 그림을 그려볼 수 있다



소신있는 물2 선택자들 응원합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정신의병 · 1094679 · 08/17 22:38 · MS 2021

  • 수만보 · 1150342 · 08/17 22:38 · MS 2022

    너무 고튼데...

  • 에스테르이성질체 · 1381501 · 08/17 22:39 · MS 2025

  • AXEL · 1393852 · 08/17 22:40 · MS 2025

    오늘 학원이라 타이머 못켰어요 양해좀 흐흐
  • 프사이 · 1399114 · 08/17 22:47 · MS 2025

    5번에서 벽느낌

  • AXEL · 1393852 · 08/17 22:47 · MS 2025

    좀 섹시한 풀이긴함

  • ICKMYUNG · 1393485 · 08/18 19:23 · MS 2025

    (5)번 풀이를 모든 수직입사하는 경우로 확장하여, tan(theta)*tan(phi)=1/2임이 알려져있습니다. 이를 적용할 수 있는 또 다른 기출으로는 200618이 있습니다.

  • AXEL · 1393852 · 08/18 22:19 · MS 2025 (수정됨)

    제가 직접 만든건데 이건 또 뭐죠
    어쩌라는거임

  • ICKMYUNG · 1393485 · 08/19 07:13 · MS 2025

    수직입사하면 항상 두 각의 tan 곱이 1/2임을 같은 방법으로 증명할 수 있습니다

  • ICKMYUNG · 1393485 · 08/19 07:14 · MS 2025

    200618. 글 본문과 같은 방법으로 바로 (5)번이 정답임을 알 수 있습니다.

  • ICKMYUNG · 1393485 · 08/19 07:15 · MS 2025

    이 성질에 대한 대수적인 증명은 알고 있었는데, 기하적 증명은 처음 봐서 신기해서 말씀드렸습니다

  • AXEL · 1393852 · 08/19 18:08 · MS 2025

    미안합니다.. gpt 말투로 장난치는 줄 알았습니다
    이전에도 몇 번 시비성 댓글을 받아본적이 있는지라 예민해졌었네요
    첨삭 감사해요

  • hs9200 · 1346740 · 09/05 12:14 · MS 2024 (수정됨)

    그 5번 풀이를 보다가 의문점이 생겼는데.. 원래 문제의 경사면이 왜 새로운 큰 삼각형의 빗변과 일치해야 하다고 넘어간점에서 논리점프가 있는거 아닌가요? (저풀이에서는요)

    정확히는
    지금 나비 모양으로 8, 4루트3, 4 직각삼각형을 만들고 이를 원주각으로 생각하여 지름으로 잇는거 까지는 이해가 되었는데, 왜 작은 직각삼각형의 꼭짓점(p,r말고 다른꼭짓점)이 지름 위에 있을거라고 가정하고 넘어가는지가 이해가 안됩니다.

    물론 지금 문제상황에서는 결과적으로 위에있겠지만요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