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형식적인 과정보다 결과를 중요시해야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335830
과정과 결과 중 어떤 것이 더 중요할까요? 6시간 동안 공부하고 시험에서 70점을 맞은 학생 A와 2시간 동안 공부하고 시험에서 90점을 맞은 학생 B가 있다면, 과정 측면에서는 더 오래 공부한 학생 A가 더 잘한 것처럼 보일 수 있고 결과 측면에서는 시험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은 학생 B가 더 잘한 것처럼 보여요.
하지만 저는 학생 B가 공부한 과정을 학생 A가 공부한 과정보다 높이 평가하고 싶어요. 공부를 오랫동안 하는 것은 그 자체로는 좋지만, 공부의 목적은 실력을 올리는 것이지 공부 시간을 늘리는 것이 아니에요. 공부 시간은 형식적인 과정일 뿐이고 공부 시간과 실력이 비례하지는 않아요.
실제로 학생 A가 6시간 동안 쭉 몰입해서 공부했을 가능성은 높지 않아요. 오히려 학생 B가 2시간 동안 집중해서 공부하면서 학생 A보다 시간을 더 알차게 활용했을 거예요. 실질적인 과정 측면에서 학생 B가 학생 A보다 더 잘했다고 할 수 있는 거죠.
다시 말해 과정 측면에서도 학생 B가 더 잘했고 결과 측면에서도 학생 B가 더 잘했어요. 결과보다 과정을 중요시하면서 무작정 공부 시간을 늘리려고 하면 공부 효율이 떨어지면서 학생 A처럼 될 수 있어요. 실력은 거의 오르지 않았는데도 오래 공부했다고 잘한 건 아니잖아요.
"더 오래 공부해야지" 하는 마음가짐보다는 "어떻게 공부해야 더 좋은 결과를 만들 수 있을까?" 하는 마음가짐으로 공부에 임하면 결과도 더 좋을 것이고 자기도 모르게 실제로 더 나은 과정을 따라가고 있을 거예요. 공부의 효율도 올라갈 거고요.
이 글의 취지는 과정이 결과보다 중요하다는 것도 아니고 결과가 과정보다 중요하다는 것도 아니에요. 다만 형식적인 과정을 결과보다 중요시하게 되면 실질적인 과정 측면에서나 결과 측면에서나 좋은 성과를 얻지 못할 수 있다는 점을 말하고 싶었어요.
무조건 더 오래 공부하려고 하기보다는, 무조건 더 많이 풀려고 하기보다는 어떻게 해야 실력을 제대로 올릴 수 있을지 고민하면서 적절한 공부 시간과 양을 조절해야 돼요. 그렇게 해야 더 나은 과정을 거칠 수 있고, 더 나은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을 테니까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가만히있어도 걍 ㅈ같아지는거
-
ㅇㅇ
-
더프때 국어 수학만 보고 그냥 말없이 집가도 되나요?
-
강민철 디엠 0
이런거 왜 읽냐고 ㅋㅋㅋ
-
누구보다 사탐 꿀통을 욕하지만 공익으로 꿀은 빨고싶고 18
계집년이라 욕하면서 사실 여자들 관심이 고파서 카의에 가고싶고 정병을 그렇게...
-
단어만 알아서 문장 7할만 해석되면 못푸는게 없는데!
-
맞춰보셈
-
이투스 김민경쌤 어떰? 이번에 들어볼려고 하는데 독서로 유명하다고 해서
-
일요일 박종민 18시 30분 ~ 22시 이신혁 13시 30분 ~ 17시 ???...
-
별거없네 0

감사합니다!!!힝아. 생1 풀다가 신유형 만나면 문제조건이랑 풀이 외워버려야 함뇨?
평가원에서 나온 신유형이면 그렇게 해야겠지만 사설 신유형이면 그럴 필요 없죠!
지금은 신유형을 푸는 데 오래 걸릴지라도 새로운 조건을 마주하는 연습을 반복하면서 대응하는 방법을 익혀 나가고 실력을 키우면 되니까요~

감사합니다~이거보고 하루2시간만공부하기로했다

헉
감사합니다!
맞는 말씀입니다
오랜만입니다좋은 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