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실전개념서에 들어갔으면 하는 콘텐츠? 내용?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321032
있으신가요?
아이디어 내주실 분 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빨리 고르샘 2
-
덕코 후원 6
-
간의 해독속도인가 그럼 길게 마실수록 계속 들어가겠네
-
시간배분이나 수능날처럼 칠 생각임?
-
나도 슬슬 1
집 가야겠다
-
나였음 어 그래 화이팅해로 끝냈을듯
-
자작 난이도 평가해줘 15
영어 빈칸 34번 급 되나?
-
너네는 머니
-
뭐냐 14
아이돌 이름 낯익어서 찾아봤더니 초등학교 같은 반이었네
-
드리블 0
드리블로 따지면 배성민, 호날두중 누가 위인가요
-
서울 비학군지 일반고에 내가 고2라 확실히 없구만...
-
저번에 뼈사진보니까 나름 가지런히난거같은데 귀찮아서 안빼고있음
-
무물보 중독자 0
무물보 검색해보니까 드럽게 많이했단걸 깨달음
-
맛 ㅈㄴ 궁금한디
-
이긴사람이 포켓몬길드장이 되는거다. 고우 슛.
-
암기량이 너무 많은거 같아요..
로피탈의 정리
합성함수 총정리
대치동 어둠의 스킬
은 농담이고 미적분 합성함수 관련해서 유용한 관점?
주요 조건이 등장할때의 행동강령과 해당 조건이 등장한 기출 모음집
행동강령 ㄹㅇ
한 권에 정리가 가능할까요..?
Darboux 정리와 미분가능성: 뭉툭한데 왜 미불인가요?
근데 있어도 잘 안 쓰는 것들이 많아서…일반적인 삼차함수 넓이 공식(거리곱)이라던지…삼각함수 비율 관계라던지 그런 것들이용…?
교점함수에 대한 일반해요.
f(g(x))=h(x)꼴 항등식에서 g(t)를 f(x)=h(t) 다변수방정식의 해로 해석하는 유형에 대한 일반적인 정리가 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맥클로린 급수
중간중간 미소녀가 응원래주면 좋겟어요
ㅇㄱㄹㅇ
있으면 진짜 재밌긴 하겠네요 ㅋㅋㅋㅋㅋㅋㅋㅋ
와이거못참는다
기평 올라가네요ㄷㄷ
직관적으로 찍는 풀이에 (ex. 아 일단 접할 것 같다) 논리적 완결성을 더 하는 법
음함수<-- 이거 뭔가 대충 풀어왔던대로 논리없이 푸는 느낌인데 딥하게 정리되어있으면 좋을거같응요
기하 만들어주세요
미적분 항등식에서 테일러 급수로 차수 따지는 게 트렌드 같은데 한번 제대로 공부해보고 싶음
합성함수 분석법 총정리
중조경
문제 조건들 보고 어떠한 생각을 해야할지/ 못 떠올렸다면 훈련할 수 있는 방법
해설지에도 출제의도랑 연결된 개념,어떠한 생각을 했어야 했는지 적어두면 좋을거같아요
알아두면 도움되는 교과외 내용
지인선님 셀카
지인선님 셀카에 말풍선 달아서 설명해주시면 이해가 쏙쏙 될 것 같아요
240628, 260628처럼 합성함수 항등식의 풀이법.
기존의 평가원에서 자주 쓰이지 않았던 논리 총정리.
절댓값이랑 합성함수 논리요
개념의 층위? 회독시스템? 대충 제가 회독하는 느낌을 보자면 이런 느낌이랄까
Ex) 1회독 때는 아 이런거구나/이렇게 활용될 수 있구나
(이해하기)
2회독 이런 개념을 이러한 기출에 극한으로(사후적으로) 활용해본다면 이렇게 사용할 수는 있겠구나
(최대한 깊게 분석하기)
3회독 결론적으로 이걸 요약?하면(정의라는 가장 범용성이 큰 도구로 통합?{나는 이걸 이렇게 머리에 저장해야겠다} 이 개념은 이 단윈에서 이런 흐름이구나 등 큰 흐름에서의 개념 통합적인 이해?) 이런것이구나 (요약하면서 내용 처내도 이미 깊게 분석해봐서 기억남 혹은 처내지 않은 내용으로 모두 알 수 있는 줄기가 아닌 산가지들)
3회독 이후 체화를 확인해볼만한 워크북?(체화를 도와주는것이 아닌 체화를 확인하는 느낌?)
여기다가 풀이개수 많은 기출문제집 있으면 좋을듯
굳이 더하자면 해설은 계산 있는 버전 극한으로 풀이를 요약한 오버뷰버전 있으면 문제를 내려다보는 느낌으로 복습할 수 있어서 좋은데 용랑이슈 생길듯
실전개념서+지인선 님이 문제를 풀때 조건을 독해하고 문제를 풀어나가는 접근법, 발상등을 정리해서 지인선 님만의 고유의 책을 만들어보셨으면 합니다!
제가 제작한 실전핵심서 한번 보여드리고 싶습니다! 필요하시면 쪽지한번 주셔요
WLOG
발문 해석 중 케이스를 제한시켜갈 때 범할 수 있는 오류나 빼먹을 수있는 디테일들
문제 읽는 방법
님들 의견 저도 좀 참고좀 함뇨
거리곱 같은 계산단축
극한상쇄란 무엇인가
미지수 개수=식 개수를 이용한 직관적 사고
주어진 조건 외 모든 상황에서 만족할때 편한캐이스로 찍어풀기
ex) f’0 = 5, f0 =0 으로 갈때 f는 5x
지인선님의 최초풀이
문제를 처음 봤을 때, 어떤 생각을 했고 어떤 행동을 취했는지 부터 답에 도달하기까지의 과정
y축으로도 자유롭게 적분할 수 있어야한다(미적분에서 식조작을 통해)
변수단순화
로그지인수분해
변곡점 관련한 문제들의 접근방법
문제를 볼 때 케이스 분류를 하는 방법(예를 들어, 작수에서? 2a+1=a일때 아닐때 나눌수 있는 것처럼)
행동강령
선지를 이용한 찍기특강
3단 n축
기출에 자주 등장하는 발문들 정리 + 꼭 해야하는 행동 정리?
한 문제에 대한 최초 풀이와 특정 관점에 매몰되었거나 검산할때 사용할 다른 시야에서의 접근법 그리고 동치조건 뽑아내는 단계와 통합적으로 사고해서 계산 이전에 머릿속에서 결론까지 먼저 도달하는 사고과정 등 교과개념만이 아닌 문제 풀이의 본질에 대해 정리해서 다루면 좋겠어요
지인선생님만의 실전팁(직관등)
다정수학 카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