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국어를 위한 전략 (불일치 문제를 색다른 관점으로 인식하는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319332
앞으로 글은 간단하되 핵심만 담아 쓸 생각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국어에선 불일치 문제도 일종의 정보다.
불일치 문제는 "적절하지 않은 것은?" 처럼
글의 내용에 어긋나거나 어울리지 않는 등의 정보를 담고 있는
한마디로 걍 틀린 사실을
전하고 있는 잘못된 선지를 의미한다.
그런데, 곰곰히 생각해보면
당신은 불일치 문제를 역이용하여
새로 얻어갈 수 있는 정보가 생각보다
풍부하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사실, 조금만 논리적으로 생각해보면 이는
너무 당연한 소리에 해당한다.
(근데 놓치는 수험생이 생각보다 많다.)
이런 일이 생기는 이유를 말하자면 불일치 문제를 유심히 관찰해서 다른 문제를 푸는 데에 써먹는 것 보다는
그냥 단순히 풀기만 하고 넘기는 데에만 집착하려는 습관이
불일치 문제를 다시 관찰함으로써 추가로 얻을 수 있는 정보를 놓치게 하고 있기 때문이다.
불일치 문제의 본질을 다시한번 잘 생각해보자.
분명히 옳은 것들 중에서 옳지 않은 것을 고르라고 했으므로,
눈치가 좋은 수험생이라면 적어도 불일치 문제가 전하고 있는
선지 5개중에 4개의 정보가 평가원의 의도와 부합하는 절대적 진리에 관한 사실을
기술하고 있음을 눈치챘어야 한다.
즉, 다시 말하자면
불일치 문제 속 기술된(답을 제외한) 선지들을 제대로 파악하고 갈 수만 있다면,
지문에 연관된 사실들중 4가지를 사전에 파악하고 독해에 들어갈 수가 있다는 소리이다.
일치 문제는 답을 제외한 나머지 4개의 선지들이
사실과 부합하지 않는 정보이기 때문에
다른 문제를 푸는 데에 활용할 여지가 상대적으로 없으나
불일치 문제를 다르게 보는 안목을 길러낼 수만 있다면
비문학 지문을 읽기 전에, 지문에 관한 사전정보를
추가로 캐낼 수 있게되는 셈이다.
결론: 불일치 문제를 통해서도 캐낼 수 있는 정보가 존재하며
한 문제당 무려 4개의 사실을 알아낼 수가 있다.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저는 항상 할머니 할아버지들이 계시면 아직 전 젊으니까 자리를 양보해드리는 편인데...
-
왠지모를 배신감? 드네 ㅋㅋㅋㅋ 속인 사람은 없는데 혼자 속은느낌
-
1+1은??? 5
2 기요마
-
민족의 노래 승리의 노래 뱃 노 래
-
진지하게 우리학교 1-2 기말 순열&조합보다 쉬웠음ㄹㅇ
-
멸치였던 선수가 벌크업 제대로 하니까 배트 스피드나 스윙 각도가 걍 될놈 같아졌는데...
-
수2는 좀 많이 망가져서 스블 수강할 생각인데 수1은 삼각함수 단원이 조금...
-
네웹 다시 깔고 그동안 밀린거 좀 봣어...
-
슬슬 자야지 14
잘자용
-
친구들에게... 1
어느덧 수능이 90일이 채 남지않았네요 날씨도 조금 덜 더운것(?) 같고 귀뚜라미...
-
오랜만에 이직로그 보니 10
웹툰을 끊을수가 없구나.. 이직로그 비슷한 웹툰 추천 부탁드려여
-
예 여자도 안 좋아합니다
-
강의없는거몀
-
현실에서 어라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