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1 단원별 난이도 비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309142
지1 입문자들을 위해 준킬러~ 킬러 단원별 난이도를 측정해봤음
일단 6모 성적 인증
난이도는 1~10 까지 있고
코돈/가계도: 10
중화 반응, 역학:8
사문 도표:5 로 두고 측정함
1. 고지자기: 6.4
지1 4페이지에 단골 출제되는 고난도 주제
기본적인 구면 좌표계 지식을 요구하고 입문자에게는 고지자기극 추적이 매우 난해함.
해령 주위 판 속도 측정이나 지괴 회전 같이 미출제되거나 심화될 수 있는 요소도 많아서 6.4로 측정함
2. 절대 연령: 5.7
6모 20번으로 출제된 주제이나..
애초에 지수함수 그래프 / 등비급수만 제대로 알면 다 풀 수 있기 때문에 6을 넘기기에는 애매해 5 후반대로 측정함. 단 상대연령과 같이 어렵게 내면 충분히 6 중반대까지도 올라갈수는 있음
3. 엘니뇨 라니냐: 5.0
21~22 까지는 자료 해석 킬러 주제 였으나
평가원이 쓸 수 있는 대부분의 자료를 다 써버리고 동네북으로 전락해버린 문제
암기와 기출분석만 잘하면 사문 도표보다도 쉬워 5.0으로 줌
4. 밀란코비치 주기: 6.2
충분히 고난도로 나올 수 있는 무게가 있고 상황 복잡도도 높은 문제, 교육 과정에 십수년 째 나오지만 여전히 학생들은 많이 틀림
아직 남중 고도나 백야 같이 건드릴만한 주제도 있어서 6 초반대로 측정함
5. 별 물리량: 6.6
작년을 기점으로 난이도가 폭증한 주제
기본적인 계산도 까다로운데(등급과 광도 변환)
H-R도와 분광형, 범위, 별의 생애 등 고려해야 할 것도 많음. 충분히 고지자기 이상으로 어려운 주제
6. 외계 행성계 탐사: 7.0
모두가 인정하는 지1 최고 난이도
벡터 분해와 삼각함수 분석은 기본이며
23수능에서 등장한 행성, 항성 위치 작도 등 킬러 주제도 다양하고 계산 복잡도도 높음.
따라서 7.0으로 측정함(그래도 역학급은 확실히 아님)
7. 허블 법칙 : 6.1
공식은 매우 간단하나 계산이 더럽고
중학 도형 기반 위치 작도 및 추론이 있어 초심자는 어렵게 느낄 수 있음. 그래도 익숙해지면 잘 안틀리는 주제
8. 우주론: 6.3
역시 작년부터 난이도가 오르고 있는 주제
개념 자체가 이해하기 난해하고 계산형 문제로도 출제 가능한 점이 난이도를 높임
그래도 한 번 빡세게 공부해 놓으면 남들은 틀리는데 나만 맞추는 꿀통이 되기도 함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ㅇ으우우웅으으 0
잠깬드아
-
왜 마녀(witch)가 하늘로 올라갈수록 강해지는자 암? 7
위치(witch)에너지가 증가해서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백건아 세계사 기출 문제집 받고 싶으신 분 있나요? 무료 나눔이에요..
-
평균정돈가?
-
생윤 노베 0
고3현역인데 김종익 선생님 생윤 개념인강을 전부 듣긴 했는데 머리에 정말 남는게...
-
내 과거를 아는 사람은 없음 다행
-
저는 고2고 내년에 고3 되는 08년생입니다 수능이 약 1년 3개월 정도 남았고...
-
ㅇㄱㄹㅇ
-
그냥 원래대로 돌아갈게욥
-
[영어] 하위권은 이걸 주의해야 합니다. + 영어 학습 관련 질문 받아드립니다. 0
안녕하세요. 영포자 가르치는 노베이스 전문 강사 Good day...
-
등급 증가량은 개꿀이지만 수비가 쓸데없이 높아갖고 등급 배분이 맘에 안 드는데 등급...
-
약간 너무 짬뽕이긴함
-
안녕하세요 학창시절 놀기만 하고... 군대에서 뒤늦게 수능에 뜻이 생겨 공부를 하고...
-
나한텐 전부 남르비다
-
유틀브에서 삼수셍이 작수 언매확통생윤사문 22111로 영교 최초합한거 봤는데 보통...
-
기하러들은 예체능이라 생각함 삼수선 쓱쓱 벡터연결 뿅뿅 이게 미술아니면 뭐임
-
6모 만점이고 작수 1등급에 국어 시간 어지간해서 부족해본적 없는 사람인데 이건...
-
왜 하프모고 형식 고집하는지 모르겠음 번호랑 난이도 관련 없는거같은데 그리고 해설도...
백야도 나옴?
사설에는 가끔씩 보임
과탐을 해보지 않았는데요, 궁금한건데 지구과학 1년안에 노베에서 1등급 가능한가요? 일반인 머리라는 가정하에요. 하루에 몇시간이나 해야하나요??
하루 1시간 5달~6달 정도면 충분히 1 찍는 것 같아요
주변 친구들이 그정도 하니까 1~2 진동 하더라고요
근데 고정1이나 백분위 100 찍으려면 머리가 좀 더 좋거나 여러번 회독을 하거나 하면 돼요
숫자 감각이나 자료 해석 경험이 아예 없으면 좀 더 걸릴 수도 있어요
답변감사해요. 사회보단 괴학이 더 끌리고 이과가 목표라고 해도 사탐을 하는것이 유리할까요?
하나 정도는 과탐하는 게 가산점 입장에서 괜찮은 거 같아요
지구 정도면 공부 부담이 엄청 큰 편도 아니고요
그리고 국수영이 안정 1~2가 나온다면 과탐 2개도 그리 나쁘지는 않아요
흥미롭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