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1 단원별 난이도 비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309142
지1 입문자들을 위해 준킬러~ 킬러 단원별 난이도를 측정해봤음
일단 6모 성적 인증
난이도는 1~10 까지 있고
코돈/가계도: 10
중화 반응, 역학:8
사문 도표:5 로 두고 측정함
1. 고지자기: 6.4
지1 4페이지에 단골 출제되는 고난도 주제
기본적인 구면 좌표계 지식을 요구하고 입문자에게는 고지자기극 추적이 매우 난해함.
해령 주위 판 속도 측정이나 지괴 회전 같이 미출제되거나 심화될 수 있는 요소도 많아서 6.4로 측정함
2. 절대 연령: 5.7
6모 20번으로 출제된 주제이나..
애초에 지수함수 그래프 / 등비급수만 제대로 알면 다 풀 수 있기 때문에 6을 넘기기에는 애매해 5 후반대로 측정함. 단 상대연령과 같이 어렵게 내면 충분히 6 중반대까지도 올라갈수는 있음
3. 엘니뇨 라니냐: 5.0
21~22 까지는 자료 해석 킬러 주제 였으나
평가원이 쓸 수 있는 대부분의 자료를 다 써버리고 동네북으로 전락해버린 문제
암기와 기출분석만 잘하면 사문 도표보다도 쉬워 5.0으로 줌
4. 밀란코비치 주기: 6.2
충분히 고난도로 나올 수 있는 무게가 있고 상황 복잡도도 높은 문제, 교육 과정에 십수년 째 나오지만 여전히 학생들은 많이 틀림
아직 남중 고도나 백야 같이 건드릴만한 주제도 있어서 6 초반대로 측정함
5. 별 물리량: 6.6
작년을 기점으로 난이도가 폭증한 주제
기본적인 계산도 까다로운데(등급과 광도 변환)
H-R도와 분광형, 범위, 별의 생애 등 고려해야 할 것도 많음. 충분히 고지자기 이상으로 어려운 주제
6. 외계 행성계 탐사: 7.0
모두가 인정하는 지1 최고 난이도
벡터 분해와 삼각함수 분석은 기본이며
23수능에서 등장한 행성, 항성 위치 작도 등 킬러 주제도 다양하고 계산 복잡도도 높음.
따라서 7.0으로 측정함(그래도 역학급은 확실히 아님)
7. 허블 법칙 : 6.1
공식은 매우 간단하나 계산이 더럽고
중학 도형 기반 위치 작도 및 추론이 있어 초심자는 어렵게 느낄 수 있음. 그래도 익숙해지면 잘 안틀리는 주제
8. 우주론: 6.3
역시 작년부터 난이도가 오르고 있는 주제
개념 자체가 이해하기 난해하고 계산형 문제로도 출제 가능한 점이 난이도를 높임
그래도 한 번 빡세게 공부해 놓으면 남들은 틀리는데 나만 맞추는 꿀통이 되기도 함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돌고돌아 햄버거인가 15
주변에 가벼우면서도 무난하게 밥을 떼울만한 식당이 없네
-
러셀 재원생이라 오메가 쟁여두긴 했는데 어떤게 더 퀄 좋은가요?
-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6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내일이 서프라니 2
으아아악
-
미적 2등급입니다
-
집 가자 2
으하하
-
?? 1
저녁먹고 집온뒤에 갑자기 지금시간이 됨.. 나 언제 잠든거지..
-
망한게 80점이였는데 ㅅㅂ 삼겹살 먹고 배 아파서 컨디션 난조도 있긴한데 이건 그냥...
-
친일반민족행위자, 매국노가 맞는 표현 저런 놈들 보고 친일파라면 국민 반 이상은...
-
의문의 산발남 외출 21
2달동안 머리안깎음
-
수능때 이정도 난이도로 나온다면 기준!! 언매 87 미적 96 사문 45 생1 40
-
ㅈㄱㄴ
-
경직된사고... 3
머리가아프구나,,
-
.
-
AI같음 ,, 특히 안나쌤
-
아무리 찾아봐도 안보이는데
-
차량주위영상 정보 컴팩트하게 꽉꽉 눌러담은 건 맞는데, 단계별로 정보 잘 붙이기만...
-
나름 사문 좀 하는데 방금 6평대비 무료배포 풀어봤는데 15번 시간없어서 못풂...
백야도 나옴?
사설에는 가끔씩 보임
과탐을 해보지 않았는데요, 궁금한건데 지구과학 1년안에 노베에서 1등급 가능한가요? 일반인 머리라는 가정하에요. 하루에 몇시간이나 해야하나요??
하루 1시간 5달~6달 정도면 충분히 1 찍는 것 같아요
주변 친구들이 그정도 하니까 1~2 진동 하더라고요
근데 고정1이나 백분위 100 찍으려면 머리가 좀 더 좋거나 여러번 회독을 하거나 하면 돼요
숫자 감각이나 자료 해석 경험이 아예 없으면 좀 더 걸릴 수도 있어요
답변감사해요. 사회보단 괴학이 더 끌리고 이과가 목표라고 해도 사탐을 하는것이 유리할까요?
하나 정도는 과탐하는 게 가산점 입장에서 괜찮은 거 같아요
지구 정도면 공부 부담이 엄청 큰 편도 아니고요
그리고 국수영이 안정 1~2가 나온다면 과탐 2개도 그리 나쁘지는 않아요
흥미롭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