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스퍼거들 와보셈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306065
엘니뇨로 서태평양에 생기는 고기압은 한랭고기압이다
(o/x)
답고르고 이유까지 같이 설명좀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전에는 1중정도 떳다가 국어 놓으니까 확 떨어졋ㄴ느데 대형 ㄷ 1대1 과외...
-
놀아줘 2
-
ㅈㅅㅎㄴㄷ
-
오랜만 17
뭐하셔요
-
와 좀 역하다 6
진짜 ㅋㅋ
-
안녕하세여
-
뽀뽀해줌
-
공부시작
-
나뉴비임? 1
?
-
좋은 시험지: 서바 강k 킬캠 기타등듯 안좋은 시험지: 과거 이투스 재종모
-
경제 vs 사문 16
고2 뽀시래기구요 사문이 날까요 경제가 나을까요 메가 대성 둘다 잇음
-
식당은 소주가 4천원하더라 편의점에서는 1750원인가 1850원이던데 이거 완전...
-
오타쿠 특))) 13
-
허접♡ 5
-
인스타에 올라온것만 보면 진짜 천상계같고 다른종족같은데 성적표보면 진짜 괴물인 소수...
-
뭘로 대비해야함 로그지수 개빡센 n제 추천좀
-
ㄹㅇ 급함
-
나 열심히할게
-
선착3명 5
천덕씩
-
좋은 시험지 << 내 점수가 높게 나오는 시험지 안좋은 시험지 << 내 점수가 낮게 나오는 시험지
-
스시 점심특선 먹고왔음 10
일제 담배로 식후땡
-
응애 ㅈㅅㅎㄴㄷ
-
동생이 시간부족으로 문학 1지문 날리는 타입. 화독문으로 풀고... 지인 조언은...
-
이감상상한수강k더프서바 한지문씩 뽑아서 무작위로 두고 뭐가 어디 지문인지 맞추기 가능함?
-
퀴즈 11
-
이 좋은걸 왜 안햇지
-
난 04응애
-
ㄹㅇ루 공부하러갑니다 점심에 다신 오르비 안들어와야지 ㅠㅠ
-
불규칙 아 어 0
아 어 다고니 아니고 아 어 아어어아 어 어어 아 아아어 불규칙용언 아 어 아 어...
-
사설식 억지 문제는 다 있으니까 그렇다치고 지문 구린게 체감이 되나
-
나 차단한사람 2
잘가
-
ㄱㄱ
-
저도 줘요…
-
저메추 해줘 2
맘터 맥날 쌀국수 라멘 스테이크덮밥 크림우동 중에 하나 골라줘
-
손주은 자산의 대부분은 골프장이라고...
-
베라 가야겟네 0
평소에 생각도 없던 베란데 옯비 글들보면셔 갑자기 가고싶어짐
-
유대종의 미랑 김상훈 파이널중에 뭐 추천하시나요?? 현강으로 갈 예정입니다 인강은...
-
디시에선 개좆구리다는데 이감 파이널로는 부족할거 같은데
-
제발
-
내친구가 간다는데 ㅂㄱㄴ아닌가
-
그렇구나.. 나는 핑츄핑츄 커플들이 까르륵꺄라랅 거리고 서로 "아~" 하면서...
-
6평 이후로 오른것같긴한데 독학하니까 내 스스로 실력이 가늠이안되니까 공부방향을 잘...
-
저딴 게
-
저녁 n차 달릴기세야 ㅠㅠ
-
응애나아기기평 맘마줘
-
밥묵자 4
고기압이 한랭저기압일 수도 있나요??
아 오타에요 수정함,,
대기의 흐름이 바뀌는거라서 열적 고기압(한랭/온난)은 아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정답 알고계신가여?
원 질문이 엘니뇨때 200hPa 등압선 고도가 낮아지냐 였는데
한랭고기압은 아니긴한데 그 성질을 띄어서 평년보다 고도가 더 낮아진다고 하네요
전 수특에 고기압 부근이 주변보다 차가우면 한랭고기압이다 라고 되어있어서
한랭고기압으로 보긴했음
딱 정해진건 없을것 가타요 먼가
님 해석이 좀 더 맞는듯!!!
사실 저도 원 문제랑 답만 알지 해설은 정확히 기억 안나서
걍 한랭고기압으로 보고 넘기는게 최선일듯ㅋㅋㅋㅋㅋㅋㅋ
이런건 문제에서 자료가 주어져야 확실히 물어볼 수 있을 것 같아요
상대적으로 따뜻한 대기가 순환되는거여서 x?
저어는 엘니뇨 서태평양 평상시에 비해 표층이 차가워지니까 이로 인해 발생하는 한랭고기압이라고 생각해요.
이런! 아니구나
ㄴㄴ 대충 그거맞음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지피티 긁어옴
나:
그러면 엘니뇨때 서태평양의 200hPa 등압선 고도는 평년보다 상승한다 o/x
ChatGPT의 말:
8s 동안 생각함
정답: X (틀림)
이유:
엘니뇨 때 대규모 대류(강한 상승운동)가 중앙·동태평양 쪽으로 이동하고, 서태평양은 대류가 억제되어 하강(수축) 성분이 우세해집니다.
대류가 억제되면 그 열기(상승에 의한 열적 효과)가 사라져 대기 기둥 전체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내려가고(냉각), 그 결과로 **두께(thickness)**가 줄어듭니다.
압력면(예: 200 hPa)의 고도는 바로 그 기둥의 열적 두께에 의해 결정되므로 — 온도가 낮아지면 같은 압력면의 고도는 낮아진다(하강) — 즉 200 hPa 등압선 고도는 평년보다 하강합니다.
한줄 요약: 엘니뇨 동안 서태평양은 대류 억제로 상층이 상대적으로 냉각되므로 200 hPa 고도는 평년보다 낮아진다
나:
상대적으로 냉각되는거면 한랭 고기압 아닌가?
ChatGPT의 말:
6s 동안 생각함
짧고 확실히: 아니오 — 서태평양의 엘니뇨 관련 이상고기압을 ‘한랭고기압’이라 부르는 건 잘못된 표현입니다.
이유를 단계별로 정리할게요.
‘한랭고기압(冷高氣壓)’의 뜻
보통 한랭고기압은 *차가운 공기 덩어리(예: 대륙성 한기)*가 내려와서 표면이 차고 공기 밀도가 커져 형성된 고기압을 말해요. 즉 고기압의 주원인이 **저온(콜드 에어)**입니다. (예: 시베리아고기압)
엘니뇨 시 서태평양의 이상고기압(안티사이클론)의 형성 메커니즘
엘니뇨 때는 중앙·동태평양으로 강한 대류·잠열 공급이 이동해서 서태평양에서는 **대류가 억제(=잠열 공급 감소)**됩니다. 이로 인해 그 지역 상층에서는 하강(수축) 운동이 우세해지고, 그 결과로 역학적·대기역학적 안티사이클론(이상고기압)이 만들어집니다. 핵심은 **‘대류의 변화 → 대기역학적 재배열’**이지, 차가운 공기 덩어리가 흘러 들어온 게 아니라는 점입니다.
냉각(혹은 하강에 따른 가열)의 혼동
대류 억제로 인해 기둥 전체의 열적(열수지) 상태가 변화해 200 hPa 고도가 낮아지는(두께가 줄어드는) 현상이 관측될 수 있어요 — 즉 평년보다 등압면 고도가 하강하는 쪽으로 바뀝니다.
하지만 하강 자체는(아디아바틱 수축 때문에) 국소적으로 공기를 가열합니다. 따라서 “상층이 무조건 더 차가워진다 → 그러니 한랭고기압”처럼 단순화하면 안 됩니다.
요컨대, *기둥 전체의 열수지(대류 감소로 인한 열공급 감소)*와 하강으로 인한 국소적 아디아바틱 가열이 동시에 작용해서 복합적인 온도·높이 변화가 생기는 거예요.
결론 — 왜 ‘한랭고기압’이 아닌가
한랭고기압은 차가운 공기 덩어리의 직접적인 유입이 원인입니다. 반면 엘니뇨 관련 서태평양의 이상고기압은 대규모 대류 재배치와 그로 인한 수직운동(하강) 때문에 생깁니다.
즉 원인이 다르므로 분류도 달라야 합니다. 관측상으로도 서태평양은 건조·하강·대류억제 등의 특성을 보이지만, 표면이 차갑고 강한 한랭(continental cold) 특성을 보인다고 말하긴 어렵습니다.
한 줄 요약: 엘니뇨 때 생기는 서태평양의 고기압은 ‘대류가 약해져서 생긴 이상(역학적) 고기압’이지, 차가운 공기 덩어리가 만든 전형적 한랭고기압은 아니다.
메커니즘은 비슷한데 한랭고기압이 아니긴 하다 하고 넘기면 될듯
어떤 시험지가 저렇게 물어보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