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긴누구나는어디 · 1169714 · 10시간 전 · MS 2022

    고기압이 한랭저기압일 수도 있나요??

  • jh._.0327 · 1213792 · 10시간 전 · MS 2023

    아 오타에요 수정함,,

  • 여긴누구나는어디 · 1169714 · 10시간 전 · MS 2022

  • GMK · 1394810 · 10시간 전 · MS 2025

    대기의 흐름이 바뀌는거라서 열적 고기압(한랭/온난)은 아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정답 알고계신가여?

  • jh._.0327 · 1213792 · 10시간 전 · MS 2023

    원 질문이 엘니뇨때 200hPa 등압선 고도가 낮아지냐 였는데
    한랭고기압은 아니긴한데 그 성질을 띄어서 평년보다 고도가 더 낮아진다고 하네요

  • jh._.0327 · 1213792 · 10시간 전 · MS 2023

    전 수특에 고기압 부근이 주변보다 차가우면 한랭고기압이다 라고 되어있어서
    한랭고기압으로 보긴했음

  • GMK · 1394810 · 10시간 전 · MS 2025 (수정됨)

    딱 정해진건 없을것 가타요 먼가
    님 해석이 좀 더 맞는듯!!!

  • jh._.0327 · 1213792 · 10시간 전 · MS 2023

    사실 저도 원 문제랑 답만 알지 해설은 정확히 기억 안나서
    걍 한랭고기압으로 보고 넘기는게 최선일듯ㅋㅋㅋㅋㅋㅋㅋ

  • GMK · 1394810 · 10시간 전 · MS 2025

    이런건 문제에서 자료가 주어져야 확실히 물어볼 수 있을 것 같아요

  • 사수는안된다 · 1363339 · 10시간 전 · MS 2024 (수정됨)

    상대적으로 따뜻한 대기가 순환되는거여서 x?

  • 여긴누구나는어디 · 1169714 · 10시간 전 · MS 2022

    저어는 엘니뇨 서태평양 평상시에 비해 표층이 차가워지니까 이로 인해 발생하는 한랭고기압이라고 생각해요.

  • 여긴누구나는어디 · 1169714 · 10시간 전 · MS 2022

    이런! 아니구나

  • jh._.0327 · 1213792 · 10시간 전 · MS 2023

    ㄴㄴ 대충 그거맞음

  • 여긴누구나는어디 · 1169714 · 10시간 전 · MS 2022

  • jh._.0327 · 1213792 · 10시간 전 · MS 2023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지피티 긁어옴

    나:
    그러면 엘니뇨때 서태평양의 200hPa 등압선 고도는 평년보다 상승한다 o/x
    ChatGPT의 말:
    8s 동안 생각함

    정답: X (틀림)

    이유:

    엘니뇨 때 대규모 대류(강한 상승운동)가 중앙·동태평양 쪽으로 이동하고, 서태평양은 대류가 억제되어 하강(수축) 성분이 우세해집니다.

    대류가 억제되면 그 열기(상승에 의한 열적 효과)가 사라져 대기 기둥 전체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내려가고(냉각), 그 결과로 **두께(thickness)**가 줄어듭니다.

    압력면(예: 200 hPa)의 고도는 바로 그 기둥의 열적 두께에 의해 결정되므로 — 온도가 낮아지면 같은 압력면의 고도는 낮아진다(하강) — 즉 200 hPa 등압선 고도는 평년보다 하강합니다.

    한줄 요약: 엘니뇨 동안 서태평양은 대류 억제로 상층이 상대적으로 냉각되므로 200 hPa 고도는 평년보다 낮아진다

  • jh._.0327 · 1213792 · 10시간 전 · MS 2023

    나:
    상대적으로 냉각되는거면 한랭 고기압 아닌가?
    ChatGPT의 말:
    6s 동안 생각함

    짧고 확실히: 아니오 — 서태평양의 엘니뇨 관련 이상고기압을 ‘한랭고기압’이라 부르는 건 잘못된 표현입니다.

    이유를 단계별로 정리할게요.

    ‘한랭고기압(冷高氣壓)’의 뜻
    보통 한랭고기압은 *차가운 공기 덩어리(예: 대륙성 한기)*가 내려와서 표면이 차고 공기 밀도가 커져 형성된 고기압을 말해요. 즉 고기압의 주원인이 **저온(콜드 에어)**입니다. (예: 시베리아고기압)

    엘니뇨 시 서태평양의 이상고기압(안티사이클론)의 형성 메커니즘
    엘니뇨 때는 중앙·동태평양으로 강한 대류·잠열 공급이 이동해서 서태평양에서는 **대류가 억제(=잠열 공급 감소)**됩니다. 이로 인해 그 지역 상층에서는 하강(수축) 운동이 우세해지고, 그 결과로 역학적·대기역학적 안티사이클론(이상고기압)이 만들어집니다. 핵심은 **‘대류의 변화 → 대기역학적 재배열’**이지, 차가운 공기 덩어리가 흘러 들어온 게 아니라는 점입니다.

    냉각(혹은 하강에 따른 가열)의 혼동

    대류 억제로 인해 기둥 전체의 열적(열수지) 상태가 변화해 200 hPa 고도가 낮아지는(두께가 줄어드는) 현상이 관측될 수 있어요 — 즉 평년보다 등압면 고도가 하강하는 쪽으로 바뀝니다.

    하지만 하강 자체는(아디아바틱 수축 때문에) 국소적으로 공기를 가열합니다. 따라서 “상층이 무조건 더 차가워진다 → 그러니 한랭고기압”처럼 단순화하면 안 됩니다.

    요컨대, *기둥 전체의 열수지(대류 감소로 인한 열공급 감소)*와 하강으로 인한 국소적 아디아바틱 가열이 동시에 작용해서 복합적인 온도·높이 변화가 생기는 거예요.

    결론 — 왜 ‘한랭고기압’이 아닌가

    한랭고기압은 차가운 공기 덩어리의 직접적인 유입이 원인입니다. 반면 엘니뇨 관련 서태평양의 이상고기압은 대규모 대류 재배치와 그로 인한 수직운동(하강) 때문에 생깁니다.

    즉 원인이 다르므로 분류도 달라야 합니다. 관측상으로도 서태평양은 건조·하강·대류억제 등의 특성을 보이지만, 표면이 차갑고 강한 한랭(continental cold) 특성을 보인다고 말하긴 어렵습니다.

    한 줄 요약: 엘니뇨 때 생기는 서태평양의 고기압은 ‘대류가 약해져서 생긴 이상(역학적) 고기압’이지, 차가운 공기 덩어리가 만든 전형적 한랭고기압은 아니다.

  • jh._.0327 · 1213792 · 10시간 전 · MS 2023

    메커니즘은 비슷한데 한랭고기압이 아니긴 하다 하고 넘기면 될듯

  • broroot · 784602 · 10시간 전 · MS 2017

    어떤 시험지가 저렇게 물어보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