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스퍼거들 와보셈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306065
엘니뇨로 서태평양에 생기는 고기압은 한랭고기압이다
(o/x)
답고르고 이유까지 같이 설명좀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묽은 죽을 먹는 것과 무엇이 다른가요..
-
이미 요리하고있기는함
-
이때까지 한거중에 제일 어려운데 그냥 키워드만 외워서 풀어도 됨??
-
2027 수능을 보게될 고2(08년생) 입니다 현재까지의 확통 출제 경향을 보면...
-
공통1틀 97점
-
혹시 한숟갈식 담가서 처먹는 반동분자가 현실에도 있음??
-
둘중 뭐 고르실
-
아 울고싶어 11
걍 울게
-
네
-
중학교 3학년이고 윤혜정의개념의나비효과 끝냈어요. 올해 고3 6월 모의고사 풀었을...
-
너무너무 무섭다 이것이 무엇인지 모른다면 우리는 그것이 무엇인지 모른다
-
문학 너무 어려워서 차마 답맞춰볼 용기가 안나는데
-
이게 수능에 나온 적이 있나요? 미적 쎈 푸는데 시발점에서 보지도 못한게 나와서..
-
시험에 국어하고 과학이 없었다면 공부가 더 재미있었을 듯..
-
약 사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수학잘하시는분 1
6모 확통 3등급떳는데요 공통은 기출3~4회독정도 했고 미친개념도 3회독 끝나가는데...
-
1권당(1주) 총 28지문으로 (1일당 독2 문2), 총 8권(8주) 평가원 사관...
-
저는 국어 1-3 진동 수학 96-84 진동 영어 다행히 1 안에서 진동
-
코드원 생윤 3
이번에 코드원 생윤 6회 분석집+모고가 나와서 고민중인데 시중 생윤 컨텐츠는 거의...
-
저는 일개 학생이라 잘 알지는 못하나 이리저리 이야기를 들었을때 입결상으로는 명문대...
-
ㅇㅇ
-
위쪽이 더 아프면 어떡하지
-
광복절 기?념 투표 11
-
30을 풀고 28찍어야겠지
-
저도 먹으러감
-
N제? 기출 모음?인지 잘 모르겠음요
-
허경영이 옳다 3
이게 맞다
-
공부라도 해보려 했는데 집중 1도 못하고 시방 ㅜㅜㅜㅜㅜ
-
이감이랑 강k 풀고있는데 하나 드랍할까요
-
프사 바꿨어용 3
아스카짱
-
흐으ㅁ… 8
21빼고 다푸럿는데에
-
믿음의 2번이 과연 유지될 것인가
-
떡밥뭔데 0
나도나도
-
3 1 24 25 4 196 484라
-
이감? 상상?
-
뭔가 잘못돼도 단단히 잘못되어간다
-
서프 기하 0
무슨 퀄리티가 만원짜리보다 떨어지는 거 같은데.. 좀 아깝네요
-
이따 사람 좀 빠지고 밥 먹으러 가야겟다..
-
나 학교가게 해줘서
-
이따가 와야지
-
내가쓴 답 서프 15
공통 454122134353231 14 18 8 158 4 24 585(찍음) 미적...
-
모범수로 출소해서 인간인척 하니까 역겹다
-
좆같네 틀딱이면 이정도는 아니었을텐데 개두창 씨발
-
풀고 오답하니까 2시간 19분 걸리는데 이거맞나 좀 배우는 느낌이 들긴 하는데 맞겠지
-
갑자기 생각나네 ㅋㅋㅋㅋㅋ
-
대한민국 전성기 될듯
-
이거 기본?버전이랑 pro랑 뭐가다른건가요..?? pro가 더 어렵나요..맞다면...
-
아..
-
점심뭐먹지 0
음
-
28수능은 4
과외하려는 애들 성적 ㅇㅈ 하기 위해서 응시하는 것빼고는 n수생들한테는 걍 의미가 사려졌네 ㅋㅋ
고기압이 한랭저기압일 수도 있나요??
아 오타에요 수정함,,
대기의 흐름이 바뀌는거라서 열적 고기압(한랭/온난)은 아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정답 알고계신가여?
원 질문이 엘니뇨때 200hPa 등압선 고도가 낮아지냐 였는데
한랭고기압은 아니긴한데 그 성질을 띄어서 평년보다 고도가 더 낮아진다고 하네요
전 수특에 고기압 부근이 주변보다 차가우면 한랭고기압이다 라고 되어있어서
한랭고기압으로 보긴했음
딱 정해진건 없을것 가타요 먼가
님 해석이 좀 더 맞는듯!!!
사실 저도 원 문제랑 답만 알지 해설은 정확히 기억 안나서
걍 한랭고기압으로 보고 넘기는게 최선일듯ㅋㅋㅋㅋㅋㅋㅋ
이런건 문제에서 자료가 주어져야 확실히 물어볼 수 있을 것 같아요
상대적으로 따뜻한 대기가 순환되는거여서 x?
저어는 엘니뇨 서태평양 평상시에 비해 표층이 차가워지니까 이로 인해 발생하는 한랭고기압이라고 생각해요.
이런! 아니구나
ㄴㄴ 대충 그거맞음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지피티 긁어옴
나:
그러면 엘니뇨때 서태평양의 200hPa 등압선 고도는 평년보다 상승한다 o/x
ChatGPT의 말:
8s 동안 생각함
정답: X (틀림)
이유:
엘니뇨 때 대규모 대류(강한 상승운동)가 중앙·동태평양 쪽으로 이동하고, 서태평양은 대류가 억제되어 하강(수축) 성분이 우세해집니다.
대류가 억제되면 그 열기(상승에 의한 열적 효과)가 사라져 대기 기둥 전체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내려가고(냉각), 그 결과로 **두께(thickness)**가 줄어듭니다.
압력면(예: 200 hPa)의 고도는 바로 그 기둥의 열적 두께에 의해 결정되므로 — 온도가 낮아지면 같은 압력면의 고도는 낮아진다(하강) — 즉 200 hPa 등압선 고도는 평년보다 하강합니다.
한줄 요약: 엘니뇨 동안 서태평양은 대류 억제로 상층이 상대적으로 냉각되므로 200 hPa 고도는 평년보다 낮아진다
나:
상대적으로 냉각되는거면 한랭 고기압 아닌가?
ChatGPT의 말:
6s 동안 생각함
짧고 확실히: 아니오 — 서태평양의 엘니뇨 관련 이상고기압을 ‘한랭고기압’이라 부르는 건 잘못된 표현입니다.
이유를 단계별로 정리할게요.
‘한랭고기압(冷高氣壓)’의 뜻
보통 한랭고기압은 *차가운 공기 덩어리(예: 대륙성 한기)*가 내려와서 표면이 차고 공기 밀도가 커져 형성된 고기압을 말해요. 즉 고기압의 주원인이 **저온(콜드 에어)**입니다. (예: 시베리아고기압)
엘니뇨 시 서태평양의 이상고기압(안티사이클론)의 형성 메커니즘
엘니뇨 때는 중앙·동태평양으로 강한 대류·잠열 공급이 이동해서 서태평양에서는 **대류가 억제(=잠열 공급 감소)**됩니다. 이로 인해 그 지역 상층에서는 하강(수축) 운동이 우세해지고, 그 결과로 역학적·대기역학적 안티사이클론(이상고기압)이 만들어집니다. 핵심은 **‘대류의 변화 → 대기역학적 재배열’**이지, 차가운 공기 덩어리가 흘러 들어온 게 아니라는 점입니다.
냉각(혹은 하강에 따른 가열)의 혼동
대류 억제로 인해 기둥 전체의 열적(열수지) 상태가 변화해 200 hPa 고도가 낮아지는(두께가 줄어드는) 현상이 관측될 수 있어요 — 즉 평년보다 등압면 고도가 하강하는 쪽으로 바뀝니다.
하지만 하강 자체는(아디아바틱 수축 때문에) 국소적으로 공기를 가열합니다. 따라서 “상층이 무조건 더 차가워진다 → 그러니 한랭고기압”처럼 단순화하면 안 됩니다.
요컨대, *기둥 전체의 열수지(대류 감소로 인한 열공급 감소)*와 하강으로 인한 국소적 아디아바틱 가열이 동시에 작용해서 복합적인 온도·높이 변화가 생기는 거예요.
결론 — 왜 ‘한랭고기압’이 아닌가
한랭고기압은 차가운 공기 덩어리의 직접적인 유입이 원인입니다. 반면 엘니뇨 관련 서태평양의 이상고기압은 대규모 대류 재배치와 그로 인한 수직운동(하강) 때문에 생깁니다.
즉 원인이 다르므로 분류도 달라야 합니다. 관측상으로도 서태평양은 건조·하강·대류억제 등의 특성을 보이지만, 표면이 차갑고 강한 한랭(continental cold) 특성을 보인다고 말하긴 어렵습니다.
한 줄 요약: 엘니뇨 때 생기는 서태평양의 고기압은 ‘대류가 약해져서 생긴 이상(역학적) 고기압’이지, 차가운 공기 덩어리가 만든 전형적 한랭고기압은 아니다.
메커니즘은 비슷한데 한랭고기압이 아니긴 하다 하고 넘기면 될듯
어떤 시험지가 저렇게 물어보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