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탐하는 한의대생 [848224] · MS 2018 · 쪽지

2025-08-13 16:58:36
조회수 417

[통합사회/경제] 비교우위 문제 풀이 원칙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285416

원칙 1. 비교우위 관련해서 기회비용을 구할 때는 “한 나라 안”에서, 자원을 다른 데 올인했을 때와 비교한다.

다른 재화를 포기하는 비율이 핵심.


X재와 Y재를 동시 생산하는 경우는 기회비용을 기준으로 생각. 


2019년 9월 경제 2번의 ㄹ선지를 변형한 예를 들면, 각각에 올인했을 때 갑국은 X재를 100개 Y재를 50개 생산할 수 있고, 을국은 X재를 50개 Y재를 100개 생산할 수 있다면 둘이 합쳐서 X재 110개와 Y재 80개를 생산할 수 있음. (갑이 X재를 100개 생산하고, 을이 Y재를 80개 + 20개 생산한다고 생각. 을국이 Y재 20개를 포기하면 X재 10개를 생산할 수 있음. 을국에게 100Y=50X로, 2Y=X이기 때문.)


★ 같은 단위를 생산하는 데 자원(노동자 수 or 노동시간)은 적게 들수록 이득.

★ 기회비용 계산은 “비교 대상 재화 기준”으로 통일할 것. 


원칙 1-1. 생산요소는 크로스해서 계산한다.

 

1개 생산에 필요한 노동자 수

갑국

을국

X재

10명

8명

Y재

5명

2명

갑국에서는 5X = 10Y, 을국에서는 2X = 8Y 이런 식으로 크로스해서 기회 비용을 바로 계산해버리면 된다.


원칙 2. 교역은 상대적 가치를 따진다.

e.g. Y재에 특화된 갑국이 Y재 하나를 주고 X재를 3개 받아서 이득이 되는 지를 따져보려면, 교역 전 갑국에서 Y재 1개를 생산할 자원을 투자해서 생산할 수 있는 X재가 3개 미만인지를 따져보면 된다.

★ 교역조건 범위는 두 나라의 기회비용 사이에서 형성된다.

 

원칙 3. 비교 우위 있는 상품의 “소비의 기회비용”은 교역 후 커진다. 비교 열위 있는 상품의 “소비의 기회비용”은 교역 후 작아진다.

 왜? 비교 열위 상품에서 이득 보려고 교역하는 거니까.


★ 교역 조건 = 교역 후 소비의 기회비용

왜? 교역하기 시작하면, X재와 Y재 둘 중 하나만 생산한다. (고등학교 과정에서는 불완전특화를 다루지 않음) 만약, X재만 생산한다면 Y재를 소비하기 위해 교역조건만큼 X재를 교역 상대국에 제공해야 하므로 교역조건과 소비조건이 일치한다고 이해할 수 있음.

 

원칙 4. 기울기를 보고 비교 우위를 파악한다. 

- x축을 X재, y축을 Y재라고 한다면, 교역 상대국과 비교하여 기울기가 가파를수록(작을수록) Y재 생산에 비교 우위가 있다고 파악하기.

 

원칙 5. 비교우위를 가진 재화는 양국이 소비하는 것을 다 합쳐서 그 나라에서 생산한 것으로 생각한다.

갑국이 X재 우위라면, 을국이 소비하는 X재도 결국 갑국이 생산해서 을국에 제공한 것이므로.


원칙 6. 자국 내 기준으로 생산하기에 더 유리한 재화가 특화에서 밀린 경우 1:1 교역에 참여하지 않을 것.

 

*원칙 3을 경제학적 관점에서 엄밀히 말하면, 교역 후 균형점에서 소비가능경계의 기울기가 교역 조건과 일치하는 것.




원칙을 적용한 예제 풀이


#1 2023 수능 경제 12번


<분석>

① (x) 갑국은 Y재 30개 생산함. 갑국은 Y재를 30개, 을국은 X재를 20개 생산함. (원칙5)

② (x) 갑국은 X재를 5개 받고, 을국은 Y재를 10개 받음. 교환 비율은 1:2

③ (o) 갑국은 Y를 최대한 30개 생산할 수 있는데, 이를 1:2 비율로 교환하였다는 얘기는 X재 1개의 가치가 Y재 2개의 가치보다 크다는 얘기. 즉, Y재 30개와 X재 15개를 교환하는 게 자국에서는 이익 된다는 뜻. X재 최대 생산 가능량은 15개보다 작을 것. 

④ (x) 을국은 X재 5개를 주고 Y재 10개를 받아옴. X재 1/2개보다 Y재 1개의 기회비용이 커야 가능한 교역. 

⑤ (x) 교역 후 소비의 기회비용은 교역조건과 같음 (원칙3) 그렇다면, 교역 전 기회비용은 X=1/2Y였을 것. 을국은 X개를 최대 20개 생산하므로, 교역 전에는 Y를 10개까지 생산할 수 있었을 것


#2 2022 9월 경제 20번

<분석>

- 갑국에서 Y재 소비의 기회비용이 증가함 → Y재에 비교 우위, 특화. (원칙 3)

- Y재 소비의 기회 비용이 교역 전에는 X재 1개이므로 X=Y, 교역 전에는 X재를 30개, Y재를 20개 생산하므로 결국 X재와 Y재 각각에 올인한다면 50개, 50개 생산 가능한 상황. (원칙 1)

- 교역 후 X재 40개, Y재 30개로 소비점이 이동. (Y재 50개 중 20개를 주고 X재 40개를 받아온 상황)

① (x) 갑국은 Y재에 비교 우위 

② (x) 갑국이 Y재 10개 + 40개를 소비한다라고 가정을 하면 Y재 10개는 X재 10개로 바뀜. (원칙 1 참고) 즉 Y재를 40개 생산한다면 X재는 10개까지 밖에 생산할 수 없음.

③ (x) 을국은 X재가 비교 우위이므로 소비의 기회비용이 증가할 것.

④ (o) X재 40개와 Y재 20개를 교환함.

⑤ (x) 현재 교환 비율이 2:1인데, 갑국 입장에선 원래보다 더 받아오는 꼴이므로 교역하지 않을 이유가 없음. (갑국이 Y재 1개 주고 X재 2개 받아오던 것을 3개 받아오는 거로 변동)


질문이 있으면 블로그 댓글에 남겨주세요!

https://blog.naver.com/kimfelix2002/223969345546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