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사회/경제] 비교우위 문제 풀이 원칙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285416
원칙 1. 비교우위 관련해서 기회비용을 구할 때는 “한 나라 안”에서, 자원을 다른 데 올인했을 때와 비교한다.
다른 재화를 포기하는 비율이 핵심.
X재와 Y재를 동시 생산하는 경우는 기회비용을 기준으로 생각.
2019년 9월 경제 2번의 ㄹ선지를 변형한 예를 들면, 각각에 올인했을 때 갑국은 X재를 100개 Y재를 50개 생산할 수 있고, 을국은 X재를 50개 Y재를 100개 생산할 수 있다면 둘이 합쳐서 X재 110개와 Y재 80개를 생산할 수 있음. (갑이 X재를 100개 생산하고, 을이 Y재를 80개 + 20개 생산한다고 생각. 을국이 Y재 20개를 포기하면 X재 10개를 생산할 수 있음. 을국에게 100Y=50X로, 2Y=X이기 때문.)
★ 같은 단위를 생산하는 데 자원(노동자 수 or 노동시간)은 적게 들수록 이득.
★ 기회비용 계산은 “비교 대상 재화 기준”으로 통일할 것.
원칙 1-1. 생산요소는 크로스해서 계산한다.
| 1개 생산에 필요한 노동자 수 | |
갑국 | 을국 | |
X재 | 10명 | 8명 |
Y재 | 5명 | 2명 |
갑국에서는 5X = 10Y, 을국에서는 2X = 8Y 이런 식으로 크로스해서 기회 비용을 바로 계산해버리면 된다.
원칙 2. 교역은 상대적 가치를 따진다.
e.g. Y재에 특화된 갑국이 Y재 하나를 주고 X재를 3개 받아서 이득이 되는 지를 따져보려면, 교역 전 갑국에서 Y재 1개를 생산할 자원을 투자해서 생산할 수 있는 X재가 3개 미만인지를 따져보면 된다.
★ 교역조건 범위는 두 나라의 기회비용 사이에서 형성된다.
원칙 3. 비교 우위 있는 상품의 “소비의 기회비용”은 교역 후 커진다. 비교 열위 있는 상품의 “소비의 기회비용”은 교역 후 작아진다.
왜? 비교 열위 상품에서 이득 보려고 교역하는 거니까.
★ 교역 조건 = 교역 후 소비의 기회비용
왜? 교역하기 시작하면, X재와 Y재 둘 중 하나만 생산한다. (고등학교 과정에서는 불완전특화를 다루지 않음) 만약, X재만 생산한다면 Y재를 소비하기 위해 교역조건만큼 X재를 교역 상대국에 제공해야 하므로 교역조건과 소비조건이 일치한다고 이해할 수 있음.
원칙 4. 기울기를 보고 비교 우위를 파악한다.
- x축을 X재, y축을 Y재라고 한다면, 교역 상대국과 비교하여 기울기가 가파를수록(작을수록) Y재 생산에 비교 우위가 있다고 파악하기.
원칙 5. 비교우위를 가진 재화는 양국이 소비하는 것을 다 합쳐서 그 나라에서 생산한 것으로 생각한다.
갑국이 X재 우위라면, 을국이 소비하는 X재도 결국 갑국이 생산해서 을국에 제공한 것이므로.
원칙 6. 자국 내 기준으로 생산하기에 더 유리한 재화가 특화에서 밀린 경우 1:1 교역에 참여하지 않을 것.
*원칙 3을 경제학적 관점에서 엄밀히 말하면, 교역 후 균형점에서 소비가능경계의 기울기가 교역 조건과 일치하는 것.
원칙을 적용한 예제 풀이
#1 2023 수능 경제 12번
<분석>
① (x) 갑국은 Y재 30개 생산함. 갑국은 Y재를 30개, 을국은 X재를 20개 생산함. (원칙5)
② (x) 갑국은 X재를 5개 받고, 을국은 Y재를 10개 받음. 교환 비율은 1:2
③ (o) 갑국은 Y를 최대한 30개 생산할 수 있는데, 이를 1:2 비율로 교환하였다는 얘기는 X재 1개의 가치가 Y재 2개의 가치보다 크다는 얘기. 즉, Y재 30개와 X재 15개를 교환하는 게 자국에서는 이익 된다는 뜻. X재 최대 생산 가능량은 15개보다 작을 것.
④ (x) 을국은 X재 5개를 주고 Y재 10개를 받아옴. X재 1/2개보다 Y재 1개의 기회비용이 커야 가능한 교역.
⑤ (x) 교역 후 소비의 기회비용은 교역조건과 같음 (원칙3) 그렇다면, 교역 전 기회비용은 X=1/2Y였을 것. 을국은 X개를 최대 20개 생산하므로, 교역 전에는 Y를 10개까지 생산할 수 있었을 것
#2 2022 9월 경제 20번
<분석>
- 갑국에서 Y재 소비의 기회비용이 증가함 → Y재에 비교 우위, 특화. (원칙 3)
- Y재 소비의 기회 비용이 교역 전에는 X재 1개이므로 X=Y, 교역 전에는 X재를 30개, Y재를 20개 생산하므로 결국 X재와 Y재 각각에 올인한다면 50개, 50개 생산 가능한 상황. (원칙 1)
- 교역 후 X재 40개, Y재 30개로 소비점이 이동. (Y재 50개 중 20개를 주고 X재 40개를 받아온 상황)
① (x) 갑국은 Y재에 비교 우위
② (x) 갑국이 Y재 10개 + 40개를 소비한다라고 가정을 하면 Y재 10개는 X재 10개로 바뀜. (원칙 1 참고) 즉 Y재를 40개 생산한다면 X재는 10개까지 밖에 생산할 수 없음.
③ (x) 을국은 X재가 비교 우위이므로 소비의 기회비용이 증가할 것.
④ (o) X재 40개와 Y재 20개를 교환함.
⑤ (x) 현재 교환 비율이 2:1인데, 갑국 입장에선 원래보다 더 받아오는 꼴이므로 교역하지 않을 이유가 없음. (갑국이 Y재 1개 주고 X재 2개 받아오던 것을 3개 받아오는 거로 변동)
질문이 있으면 블로그 댓글에 남겨주세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내부 조교였나 검토진이었나한테 8월 퀄 박았으니 다른실모 사라는 말 들었다는 글을 올렸던거같은데
-
이거 무ㅗ라는거냐 ㅋㅋ
-
킬캠 1회: 96 킬캠 2회: 81 킬캠 3회: ? 이거 올리고 풀러갑니다
-
더프는 끝나면 게시물 와다다 올라오던디 조용하네
-
서프 생윤 사문 1
39 37인데 난이도 어렵지 않았나요??
-
기습 폭우 올까봐 밥 먹으러 나가질 못하겠네
-
국어 5등급나옵니다 올오카 문학커리만 공부했고 6모때 5등급 나왔는데 독서 4문제...
-
서프 수학 뭐지 0
2509의 악몽이떠올라서 ㄹㅇ 식은땀흘리면서 검토함
-
영어 최저 점수 받음.. 저만 어려웠나요ㅠ
-
둘이 무슨 차이점이 있는지 모르겠음.....
-
나주거
-
돌고돌아 햄버거인가 15
주변에 가벼우면서도 무난하게 밥을 떼울만한 식당이 없네
-
이 풀이에서 뭐가틀린거죠?
-
개털렸네
-
작수 27 미적 1
작수 미적 27번 풀다가 갑자기 뇌절와서 그런데 g(x)가 상승만 하고 x축에...
-
볼만한 자료 있나요? 이번 수완에 완족류 멸종시기를 물어보길래 정리해둬야겠다 싶어서..
-
Raining cats and dogs…
-
서프현장응시결과 2
언매 미적 영어 지1 물2 91 100 92 46 45
-
2만개가 넘을텐데
-
재충전 2
-
정답은 안 말하는게 도리
-
아 ㄲ발 국어형 0
국어 진짜 개 레전드로 안오르는데 걍 재능이 없는것 같은 어릴때 만화책만 보고 현재...
-
영어 엄마없네 1
89점 씹 ㅋㅋㅋㅋㅋㅋ 5모 7모 8섶 89의저주 폼 미쳤다
-
빨강날인데 다들 뭐함?????
-
내가잘못본거겠지...?
-
으아ㅏㅏㅏㅏ 2
실모 풀다가 졸아버렷어..
-
언매 공부할거 많나요ㅠ
-
글 읽어보니 왜 그렇게 나태해지는지 알게 되네. 점심시간 때 핸드폰을 하니...
-
아
-
화작 86 확통 88 영어 94 사문 50 정법 41인데 통통이컷 얼마나옴?
-
자극적인 글쓰기 8
넘어렵다
-
씻었다 0
운동 가야지..
-
응
-
네
-
밥알이 맷게고 11
이 밥알말이다 말!? 바지벗었다
-
이감7차 0
난이도 ㅇㄸ?
-
8월서프 2
언매 84 확통 93 영어 87 생윤 48 사문 41 어떤거같나요
-
적중예감 2026 1회차 수능에 내면 1컷 얼마 보심???? 궁금 엄청꼬앗던데
-
마더텅 4개년 기출 싹다 풀었고 최적 기선제압 빼고 다 풀었음 기선제압은 양이 좀...
-
아니 사람이 아니다 그냥 신. 갓.
-
하응,,,, 14
이,,,,하응,,,
-
오르비 어지럽네 1
어우..
-
(당연히 돈주고 샀습니다 수험생 아니라고 피뎊쓰지 않습니다) 푼김에 리뷰합니다...
-
2연떨인건가?
-
우르르몰려올때가된거같은데
-
저..사정..할게요
-
다른곳 문제좀 낀빠이 칠수도 있지 너무한거 아닙니까?
-
옵치할까... 9
롤할까 !
-
모범생ㅇㅈ 2
아니근데 형광펜친부분은 읽고 띠용했음ㅋㅋ
-
수특으로 개념뗄건데 사야되나 아님 기출책앞에도 약간 개념있긴하잖음 사문도 수특으로...
혹시 통사 컨텐츠팀이신가요?
아뇨 전혀 그런 건 아니고 학생 경제 과외하던 내용 한번 정리해서 올려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