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른은 되기 싫어
-
이건 어때 6
우웅
-
흐으음..
-
시작의아이 7
노래좋다
-
지금 이 시간에 7
김치볶음밥 해먹으면 돼지겠죠.?
-
프사바꿈 5
대 민 철 참고로 국어 인강 안들음
-
사실 사람을 죽인 건 아니고요. 그냥 어제의 게으른 저를 죽였습니다. 죽였다고 하니...
-
공부시작하자 1
착석완료
-
제일 좋음
-
그림을 그려볼까 뭘 해볼까
-
으악 사실은 가짜^^
-
근데 커뮤는 2
친구없다는 사람치고 친구없는 사람 못봄 나같이 진짜 친구가 없으면 친구없다 ㅠㅠ...
-
짜계치는 반숙이 GOAT죠 반박은 짜계치로 받음
-
그냥 평소에 학문적인 질문밖에 안했는데 엠비티아이도 정확하게 맞춤 미친놈이야 걍
-
학교 내신에서 4
invaluable -> 가치 없는 이라고 해석해서 2등급 떴음 ㄹㅈㄷ허수
-
개소리하나 함 2
나 사실 친구 많아
-
날먹하고싶다 2
그러다가수능ㅈ망하니열심히해야되는데
-
씻고다닐게 미안..
-
본인은 국어 풀어서 5등급이하 수학 학력평가 기준 4등급 이하 영어 => 나보다...
소비자 a가 최대지불용의 200원이면 생산량 1개일때 가격도 200원 아닌가요?
유일한 공급자 = 독점자라서 가격을 지한테 유리하게 설정할 수 있음...
최대지불용의에서 가격을 받아낼거라 지금나타난 수요가 곧 수요곡선이고 수요곡선이 곧 최대지불용의임
오.. 이해했습니다.
소비자 A (최대 지불 용의 금액 140원)
소비자 B (최대 지불 용의 금액 120원)
소비자 C (최대 지불 용의 금액 100원)
소비자 D (최대 지불 용의 금액 80원)
소비자 E (최대 지불 용의 금액 60원)
소비자 F (최대 지불 용의 금액 40원)
이고
이윤 극대화를 하려면 최대한 소비자의 최대 지불 용의 금액만큼 가져와야 하니까 그렇겠네요..
네 맞아요
어려운 내용인데 금방 이해 잘하시네요
공부 파이팅해요
근데 이윤극대화는 생산량의 결정 과정에서 이용되는거라 그거랑은 관련없고,
독점자가 시장에 1명뿐인 공급자이니 가격설정력을 가져서 그런거예요
독점이니까
지멋대로 가격 결정해도 되니까 그렇다고 함의하긴 했습니다ㅎㅎ
이 문제랑 논리가 똑같겠네요.
쉽게 말하자면 우리가 아는 평범한 경쟁적 시장에선
공급자가 많으니까 남들보다 비싸게 팔수 없고, 그래서 수요와 공급이 만나는 점에서 균형이 결정되지만,
독점시장에선 공급자가 혼자서 생산량, 가격을 결정할 수 있으니까 공급곡선이랑 상관없이 비싸게 받길 선택하는 거예요 각 생산량에서 가장 비싼 점이 수요곡선 상의 점이구요. 그리고 각 생산량 중 이윤이 제일 높은 점을 선택하는 게 이윤극대화구요
말을 완전히 잘못했었네요..
이해된 거 같습니다.
독점 시장이니까 가격 맘대로 결정해도 되니까..
원래 가격설정력 개념이 처음 볼 때 정말 헷갈려요
파이팅~

감사합니다ㅎㅎ수능 경제 응시하셨었나요?
네 수능경제도 봤고 지금은 경제학부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