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H28 [1402694] · MS 2025 (수정됨) · 쪽지

2025-08-05 00:06:12
조회수 67

실전적 찍기특강(현실성,실전성을 다 잡은 고급 찍기스킬의 연구 공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156893

여러분들은 선지를 찍으실 때 특별히 사용하시는 자신만의 스킬이 있으신가요?

있으면 이 글에 댓글로 달아주세요.


오르비에 가입한지 얼마 안된 수험생인데요.

비록 가입한지는 얼마 되지 않았지만

제 계정이 앞으로의 활동을 늘려나가

오르비에서 더욱 성장을 거듭한다면 조만간 

제가 단독으로 연구한 꽤 합리적이고

설득력 있는 확률공학적 찍기 스킬을

차차 알려드리고자 합니다.(물론 아래에도 일부를 몇가지 제시해 드렸습니다)


물론, 여러분들처럼 독학하시거나 재학,재수하시는 분들 중에서

찍으실 때 다들 어떤 기술을 주로 사용하시는지가 꽤 궁금해지네요.


극히 일부만 언급드리자면,

수능 영어영역 듣기때 주로 푸는 도표 한 문제,안내문 일치/불일치 두 문제같은 문제는

애당초 시간을 끄는데에 초점이 맞춰진 유형이기 때문에 ④,⑤처럼 뒷번호에 분포해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제가 최근 연구하고 있는 발상 중에서 수능 국어영역때 마킹을 꼭 마지막에 하지말고, 중반,중후반 쯤에 지금까지 푼 문제들의

1차 마킹을 끝내고 눈을 굴려 마킹지에 특히 적게 분포되어 있는 번호가 있는지 확인한 뒤, 그걸 참고해서 나머지 문제 중에서 가장 적었던 선지부터 보는겁니다


예를 들어, 문학 다 풀고 중간에 1차 마킹을 했더니 유독 ③번이 적게 분포됐다면, 비문학을 풀때 ①번부터 쓱 내려가기

보다는, 통계적으로 가장 적게 분포했었던 ③번부터 선지를 체크해서 손가락걸기로 시간을 아끼던지 오답을 빨리 찾아서

시간을 아낄 확률을 높이는 기법입니다.

(물론, 앞서 풀었던 문제들이 정답률이 거의 정확하다는 전제하에 진행하셔야 효과를 제대로 보실 수 있습니다.

앞서 풀어서 통계를 냈던 선지들 중 정답률이 개판인 표본은 당연히 신뢰하기가 어려운 정보이겠죠?)


당연히 찍는 것 자체보단 여러분들의 성적 자체를 높이시는게 가장 효과적이고 확실한 방법이겠지만..

그치만 아시다시피, 시험종료가 5분남은 극도의 공포스러운 상황에 처했을 땐 찍는 것만큼 간절하고 또 은근(?) 기대하고

있는 마지막 발버둥이자 몸부림이잖아요?


제 글이 여러분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