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대명사 뒤에 불완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131367
보통 이렇게 외우잖아요
근데 whose 뒤에는 완전한 문장이 와야하는거 아닌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으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ㅏ 와퍼주니어 세일하네 아 뭐먹지
-
첫글 아마 6
더프 출제자 부모 묻는 글이였던거같음
-
뉴비들 4
질문글 올릴때 실시간 인기 검색어 도배하는거 보면 너무 귀여움..
-
님들도 그럼? 고개 숙이거나 돌릴때마다 아픔 정형외과가는게 좋을까?
-
병신정공저격 9
절대 확통사탐이라 긁혀서 그런 거 아닙니다.
-
흐물거린달까..? 아무튼 듣기좋은 정갈한 발음은 아니야 영어 일어 한국어랑 다름
-
기하 팁 6
본인이 기하 실력이 높지 않은 편이라 벡터 킬러 풀이에 어려움이 있다면 28 29...
-
작년에 6모 보고나서 미적에서 확통런하고 수능 96점 올해 다시 미적으로 반수 7모...
-
진짜잘만들엇네
-
이게 가능하다고 5
나 암기 못하는데 이걸 어떻게 다 외움
네
그럼 관계+불완전으로 외우는게 잘못된거였음?
안녕하세요.
질문하신 부분은 학문적으로 바라보는 관점과, 일반적인 학교 문법에서 바라보는 관점이 다릅니다.
학문적인 관점에서는 있어야 할 소유격(=명사를 꾸며주던 소유격)이 없어졌으므로 이 또한 불완전한 상태, 즉 불완전한 절이라고 봅니다.
하지만 학교 문법에서는 이 부분에 대해 명확한 언급을 피합니다. 소유격이 소유격 관계대명사로 바뀌어도 겉보기에는 명사가 여전히 남아있기 때문에, 그냥 보면 완전한 절처럼 보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학교 문법에서는 이러한 문장에 대해
굳이 표현을 한다면, '완전해보이는 절(=문장)'이라고 표현하죠.
절이 완전해'보인다'고 했지, 이는 '절이 완전하다'는 뜻이 아닙니다.
따라서 소유격 관계대명사가 사용되면 겉으로는 완전한 절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완전한 절이 아니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