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자용 벡터 접근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110945
벡터는 이질적인 파트이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처음에 어려움을 겪는다.
다음과 같은 두 벡터가 있다고 해보자.
이럴 때 두 벡터를 더하고 빼는 것은 어렵지 않다.
그러나 문제를 보게 되면 전혀 딴판인 상황이 펼쳐진다.
막상 등장하는 문제는 이러하다.
그러면 접근을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일단 벡터는 "시점이 자유롭다" 라는 사실을 기억하고 있자.
기본적으로는 평행이동이다.
이러한 삼각형 법이 많이 등장하였을 것이다.
따라서 삼각형 혹은 평행사변형을 만들어 보는 것을 1순위로 잡자.
당연하게도 이것만으로는 문제가 안풀린다.
그래서 벡터를 변형, 즉 분해를 해야한다.
벡터를 분해할 때 생각해야 될 지점은 원의 중심, 선분의 중점, 공통된 시점, 좌표평면상의 원점이다.
저 지점을 기준으로 벡터 분해를 해야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유는 어떠한 하나의 값을 고정되게 만들기 위해서 이다.
가령 원이라면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고정되어 있다.
길이와 각이 모두 변하는 상황보다는 둘 중 하나라도 고정시키는 편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분해가 안 보인다면?
내분, 외분점을 사용하도록 하자.
주로 등장하는 것은 내분점이다.
두 벡터의 계수의 합으로 나누어 주어 내분점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하도록 하자.
주로 나오는 중점을 잡는 것도 계수가 1:1의 비를 갖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이 방법마저 안 통한다면 성분화를 시키는 것이다.
시점을 원점으로 갖고 어떠한 특정한 좌표를 갖는다는 느낌으로 접근해 주면 된다.
동점이라면? x,y라는 미지수로 세팅 또한 가능하다.
성분화가 유리할 때는 수직이 명확할 때 이다.
직각삼각형, 직사각형 등의 도형이나 좌표가 명시적으로 주어졌을 때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외에도 다르게 볼 수 있는 방법 또한 존재한다.
그러나 현재 기조에서는 대부분은 다음과 같은 방법들로 풀리기 때문에 이 방법들을 연습하도록 하자.
초창기에 연습해야 될 부분은 "저 방법들 중 어느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문제 풀 때 적합한 가"를 고민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기출 문제를 풀면서 이런 유형에서는 이러한 방법이 유리하구나를 인지할 수 있도록 공부하도록 하자.
그 다음에는 N제나 실모를 풀면서 이 생각하는 과정을 줄이는 것이다.
시험은 시간제한이 있으므로 문제에서 요구하는 풀이 방법이 바로 떠올릴 수 있도록 연습하자.
0 XDK (+12,510)
-
10,000
-
1,000
-
10
-
500
-
1,000
-
확통 수능까지 0
7월에 확통런해서 쎈발점 거의 다 끝난 학생인데 9모전까지 기출 한바퀴 돌리고...
-
별로 안풀어도 되나요
-
어머니는어떤싸움을하고계시는걸까
-
수능 경제 만점자와 최고난도 킬러 유형-환율/수익률 융합형 계산 문제를 araboza 54
안녕하세요. 사좆경정입니다. 수능 경제의 대표적 킬러 주제인 환율/수익률 융합형...
-
서강대 기출인가 보니까 함수찣기를 그럴듯하게 꾸며서 모범답안이라 올라와이써네
-
솔직히 발상적이다 뭐다 다 필요 없고 내가 사는 수학 실모 기준 1
1. 1컷 84~80점 정도 난이도 2. 약점체크 효과가 명확해야(모든 문제는...
-
한 몇년동안 쉬다가 다시 과외시작한건데 새삼 수학 시험범위가 진짜 적네요 ......
-
마지막 장 몇 분 안에 들어와야할까요? 뒤에 하나 버린다고 하면 몇 분 안에...
-
베라 시키면 민초파 애 꼭 껴있어서 어쩔수 없이 먹게되면 맛잇음...
-
편의점 0
.
-
D-103 0
수학 -지로함수 기출 영어 -키스타트 day 13 2강 -영단어 국어 -문학 기출...
-
수학 사탐사탐에 올인했다고 제발
-
누가 10만덕좀 0
주떼여
-
설정외 글 보고 깨달음 적당한 구라가 필요하다는걸
-
님들 비계 좋아함?? 15
그냥 느끼하고 기름맛 밖에 안나서 싫은데..
찾았다 내 야동
감사합니다 선생님 좋아요 꾸욱
개인적으로 성분화는 n제나 기출풀땐 최대한 안써보는게 좋을 것 같음
일단 다른방법으로 풀어보고 성분풀이 한번 해보는건 좋은듯
성분풀이가 보통 비효율적이라고 생각되는 부분이 많은 반면
현장에서 믿고 쓸 수 있는 최후의 방법들중 하나기도 하니까
+좌표화

맞습니다그냥 벡터자체가 심각하게 어려운거같아요 ㅠㅜ
누가 벡터 물어보면 대답은 하겠는데 내가 이해를 한 느낌이 아님 ㅠㅠ 넘 어려우이

기하 관련 글은 언제나 좋아요 꾸욱~
벡터는 식변환 + 수식 이해가 가장 1순위로 중요한 듯요꿀팁 감사링
기하추

감사합니다무책임한 말이지만 벡터는 짬에서 오는 바이브가 진짜 있는 거 같음 감만 잡으면 스스수수수욱임

벡터는 하면 할수록 재밌어지는 파트 인 거 같아요잘읽었어요

아 기하할까 진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