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무지 이거 존나 성공한 순화어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106445
단무지
‘단무지’는 원래 ‘다꾸앙’, ‘다꽝’으로 불렸는데 이는 일본어 타쿠앙즈케(沢庵漬け)에서 온 말임. 광복 후는 왜색이 미친 듯이 예민한 주제였으므로 일본어 단어를 최대한 많이 바꾸려는 움직임이 있었음. 그리고 일제 잔제를 청산코자 1950년대 중반 당시 내무부의 어느 기관에서 일본 음식 이름을 우리말로 바꾸기 위해 모 학회에 질문했는데 나온 말이 ‘단무지’였다고 함.
이렇게 새로 만들어진 말을 널리 퍼뜨리려 하였고 계속 쓰이다 보니 《국어대사전》(1961)에 처음 ‘단무지’가 등재되었음. 옛날 사전에는 '단무지'는 없고 '다꾸앙'만 있었음
수정증보조선어사전(1940)
- 큰사전(1947-1957)
그렇지만 ‘다꾸앙’의 부표제어로 되어 있으니 이때까지도 ‘다꾸앙’이 우세했음을 알 수 있음. 조항범 교수는 자신의 기억상 1970년대에도 '다꾸앙'이라고 부르는 사람들이 '단무지'보다 훨 많았다고 얘기함.
그러다가 1980년대 이후에 '단무지'가 득세한 것으로 보이는데 1990년대에는 기사에 '다꾸앙'이 가끔 등장하긴 하지만 사전에서는 배제되기 시작함.
- 단무지는 일종의 무절이임. 순화어는 고유어를 이용하는 것이 우선시되므로 ‘지(<디히)’라는 고유어를 이용한 것이고, 형태소를 분석하면 '달-+-ㄴ+무+지(짠지의 그것)'로 볼 수 있음. '무지'는 어느 사전에도 보이지 않으몰 이때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거임.
정말 잘 만든 순화어인 듯
이때 함께 순화된 말로 초밥(스시), 생선회(사시미), 유부초밥(이나리스시) 등이 있다고 함. 즉 이들 모두 순화어인 것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예예
-
문법 칼럼 쓰기엔 학교문법이랑 너무 멀어져서 잘 모르겠고 5
가끔씩 문법 질문 글 올라오면 답변하는 식으로만 하는 듯 요즘 대가리가 잘 안 돌아감
-
티 안나서 모르려나
-
ㄱㅊ가 왼쪽으로 뿌리부터 휘었는데 수술 하는게 나을까요? 한다면 포경이랑 같이...
-
롤할 사람 16
같이하쟈
-
늙다 4
낡다
-
24국어 화작 95점 ㄷㄷ
-
Abps 이런거 순삽에서는 적용도 잘 안되눈 것 같고 풀이도 잘 와닿지 않아요....
-
너무 틀인가,,
-
서럽구나 1
내 선택으로 내가 혼자가 됐는데 고독한 아이러니 밤새도록 자고 낮에도 내내 자고...
-
스카 요금이 우리 동네 두 배는 그냥 넘네
-
모두까기인형이 될게요
-
물론 근무의 대부분을 의학 공부하는데 씀
-
[미적분] 이문제 개발상적이네 ㅋㅋ 그걸 어케 생각해 15
일단 해설지 풀이는 겁나 발상적임
-
그러하다
-
아 진짜 좃댔네 2
인생회생법 ㄱㄱ
-
4페이지 다맞고 43점... 3페이지 산염기는 애초에 패스해서 그러려니 하지만..
단무지하게
역시자네야
뭔 뜻임
칼-국수
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