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년 3모 가형 30번 알려주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062320

접선이 함수 위에 있으니까 변곡점 찾는 문제라고 생각하고 이계도함수=0의 근 찾아서 했는데 답이 달라여ㅠ 이 풀이가 맞는지 알려주세여 그리고 수2 문제집이라 이계도함수없이 푸는법도 알려주시면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출처:누항사-박인로
-
내취향~ㅎ
-
?
-
어케생각하심? 10월말까지만 할듯
-
더울 예정...
-
얼버잠 2일차 0
-
하나만 풀 거 같은데 골라줘..
-
26설맞이에서 미적분은 안만드나요? +) 수학 88~96 1등급이고 미적이 좀 약한데 n제 추천좀
-
학원에 내는 돈이 10
급식까지 한 70만원 정도..
-
옹 저거 0
우일신n제 또 나왓구나
-
내가 머리 싸매면서 문제화한 소재를 다른 n제나 모고에서 여러가지 형태로 만나면...
-
맞팔구 10
오랜만에구함
-
잇올 장학 받아야되.....넘모 비싸 지금.....
-
러닝화 머신으시나요
-
가끔 장원영 5
장원영 보고가라
-
내일도 고생하자 뺑이치자
-
후기입니다 0
여자쪽에 사람이 너무 많아서 준비 다 해두고 결국 못줬어요…. 항상 다른 사람이...
-
백분위로 85 96 1 100 96 인데 수능때 고대 경제 가능할까요? 가능충...
-
재종 모집요강을 보니 100% 장학금 대상일 때.
-
전담잃어버림 13
돈 없으니 돈 내놔
-
교과로 몇 장은 써야될 것 같은데 애매한 성적인 거 저도 알아요 중경외시 라인에서...
-
고2 수학 질문 0
수학 지금 방학동안 마더텅 수1 수2 각각 절반 정도 했고 끝내면 기출 2회독 건데...
-
....ㅠ
-
두원공대가고싶은데목표를쫌낮췄어요 ㅠㅠ
-
ㄹㅇ 급함
-
?????? 9
레어가 뺏겼어
-
며칠전에 일어나서 거울을 봤는데 이상한게 있더라고요 뭔 잣같이 생긴게 있어서...
-
고려대 경영 가능한가요? 화작 기하 영어 경제 지2 입니다
-
오늘 정석준쌤 대인라 첫수업 들어봤는데 준용쌤 듣다가 들어도 생각보다? 괴리감이...
-
수학 커리 0
김기현쌤 아이디어 거의 다 끝나가서 끝내고 기생집4점 할건데요 n제랑 병행하는게...
-
너무 좋다
-
굿
-
아니면 미안하오.... 일단 주변에서는 그렇다던듸,,,,
-
23렙 입갤 2
일년만더하면 나도 고닉!!!
-
이름이 어째
-
솔직히 오르비 북스에 한번 사보고 싶은 책이 있는데 0
도저히 orbi 가 적힌 책을 재종에 들고 갈 용기가 안남
-
요즘 특히 냉방병 조심하시구요 전 이만~~~~
-
635개인데 언제 다 지웠지
-
재미있네욥
-
고2때 스스로 수학 좀 치는것같아서 깝치면서 샀는데 수1 다풀고 런쳤음 어칼까요
-
하루에 영어 3문제 풀면서 1등급을 바라고 있는 사람을 6
뭐라고 부르나요?
-
다양하더라 오르비에서 롤드컵 중계 달리면서 오르비에 수백개 글 쓴 사람 의대...
-
으어어ㅓ 6
이제 집 간다...
-
다들 어디서 하시나요..? 리바이벌 제본하려고 하는데
-
"한국, 모든 것 가져와라"…총수들 워싱턴행 '최대 고비' (풀영상) 2
미국과의 관세 협상 시한이 이제 코앞으로 다가왔습니다. 구윤철 경제부총리를 비롯한...
-
자존감지키는법공유좀요 ..
-
롤체 시즌15 1
내일부터네 ㅋㅋㅋ 조옷됐다
-
수학 100이랑 탐구 5050은 마스터하면 실수만 안하면되고 국어만 뽀록좀터지면 만점이네
-
설맞이는 표지때문에라도 살거임..
직접그려보면 변곡점을 찾는 문제가 아니에여
1. 조건을 만족시키는 t의 양 끝값 p와 q는 각각 (0,0)과 (2,0)에서 함수 f(x)에 그은 접선일 수 밖에 없음(변곡점과는 무관해요! 직접 그려보시면 앎)
첫번째 풀이) 직선 m의 기울기는 m위의 두점인 (0,0)과 (p, p^2(p-2)^2)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고, 이는 p에서 f(x)의 접선의 기울기와 같다. 방정식을 풀어서 p를 구하자. q에서도 마찬가지인데, 이때 p와 마찬가지로 방정식을 세워서 풀어도 좋지만, f(x)가 x=1에 대해 대칭인 4차함수임을 생각하면 x좌표 p와 q는 1로부터 떨어져있는 거리가 같음을 알 수 있으므로 p가 3분의2임을 알면 자동으로 q가 3분의4임을 알 수 있다.
그냥 그려서 아는 법밖에 없는 건가요?
p와 q의 위치를 특정하는 방법은 직접 그리는 수밖엔 없어 보여요. 풀이가 다양해지는 건 그 이후 계산부터...
구간별 함수인거 이용해서 저 조건 만족시키는거 찾아야해요
해설을 봤는데 해설에선 (0,1)에서 접선을 긋다보면 이라고 해설을 하는데 이 말이 잘 이해가 안돼요 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