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헤드어택 [603347] · MS 2015 · 쪽지

2016-01-04 00:59:12
조회수 1,014

수시 얘기나와서 말인데 농어촌전형 말이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04012

공손하게 물어봅니다.(오해 하시지 마세요)
수시나 정시에 농어촌 전형은 왜 있는 거죠?? 국가 차원에서 만든 건가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대학가자! · 576248 · 16/01/04 01:00 · MS 2015

    교육결과의평등? 빡치는게 사실이죠 ㅠㅠ

  • Geno · 523060 · 16/01/04 01:00 · MS 2018

    기회의 균등때문이겠죠? 아까어떤글에도있듯이 농어촌 해당되려면 진짜 깡 깡 깡촌이어야되거든요

  • 대학가자! · 576248 · 16/01/04 01:02 · MS 2015

    그렇게 깡 깡 깡촌 아니라도 농특되는 학교 많을텐데요..

  • Geno · 523060 · 16/01/04 01:04 · MS 2018

    기준을 어떻게두냐에따라 다르겠지만... 저도 서울에서보면 죄다 논농사밭농사짓는동네(실제로 말타고다니냐고물어봄 ㅎ 개객기들) 사는데 농어촌안되더라구여 외각까지 전부

  • 대학가자! · 576248 · 16/01/04 01:05 · MS 2015

    그냥 학교소재지랑 자기랑 부모님 주소가 읍면이면 되는거라..

  • Geno · 523060 · 16/01/04 01:07 · MS 2018

    그거 최하몇년 그동네에서 학교다니고 그런규정도있고 부모님 직장주소 이런것도 있다고 들음요 개인적으로는 그 수고 할 돈과 시간으로 일반전형가는게 낫다고보지만..

  • 대학가자! · 576248 · 16/01/04 01:12 · MS 2015

    사실 제가 농특이 됩니다..일반전형으로 대학가기는 하지만
    저같은 경우에는 그냥 인강듣고 자습하는 식으로 공부했어요.(결과는 그닥 ㅠㅠ)
    사실 서울쪽의 입시학원 안다녀봐서 잘 모르겠지만 촌에 살아서 정보도 존나 없고 배울거도 없네 이런생각은 거의 안했어요. 인강이 있으니까요.
    그저 농특으로 꿀이나 빨아야지 (빨진 못했지만..)이 생각만 했죠.
    제 주위도 마찬가지에요. 제 친구들도 물론 서울에서 입시를 경험해보지는 않았지만(그래서 불합리함이 얼마나 큰지도 모르지만) 거기에 대해 불평은 안했어요. 그저 꿀빨아야지..
    그냥 제가보기에는 꿀빠는전형 같아요

  • Geno · 523060 · 16/01/04 01:15 · MS 2018

    농어촌되기만한다면 당사자들할텐 꿀빠는 전형 맞죠 ㅠ 아무리정보가없어도 인터넷 다되는시대에 어느정도는 다 알테고.. 님보다 더 못한환경에 사는 농어촌학생들도 있을테고 걔네들 한명한명 다 찾을수없으니 제도로 만들어놨다 생각해요 ㅋㅋ 근데왜 농특안내셨어여 아깝네요ㅠ

  • 대학가자! · 576248 · 16/01/04 01:18 · MS 2015

    사립대는 집안사정상....ㅠㅠㅠㅠ

  • 鶴首高大 · 555999 · 16/01/04 01:02 · MS 2015

    생각하기 나름이긴한데 잠실에서 버스타고 20~30분 거리인 남양주시 ㅁㅁ읍 이런데도 됩니다

  • Geno · 523060 · 16/01/04 01:05 · MS 2018

    그런데는 좀 악이용하는분들 있을수도있겠네요 경기도라.. 근데 지방 깡촌들은 확실히 농어촌전형같은게 유의미하다고 생각하긴 해요

  • 鶴首高大 · 555999 · 16/01/04 01:10 · MS 2015

    저도 그렇게 생각해요.

  • 노래하는치타 · 465513 · 16/01/04 01:02 · MS 2013

    ㅁ...마자요...서울애들 입장에선 그래 보일 수도 있지만ㅠㅠ -작년 농특 입시러..

  • Geno · 523060 · 16/01/04 01:06 · MS 2018

    비하발언이나 그런건아니었어요 저도 촌사람이라 ㅋㅋ 예전보다 농어촌 기준이 많이빡세졌더라구요 저희동네도 강건너는 해당됐었는데 몇년전부터 외각지역까지 전부 안되더라구요

  • ❤️ · 414560 · 16/01/04 01:06

    거창고같은 자율고 자사고는 뺐으면 좋겠음 근데 진짜 촌에는 되게 불쌍한 애들많아요..

  • Geno · 523060 · 16/01/04 01:10 · MS 2018

    네 기준을 확실히 잡았으면 좋겠어요 촌에가보면 할머니랑 같이 사는 어린애들 거의 거기서 초중고 다 다니는데 똑똑한애들도 있는데 환경이 정말 안따라주는 경우 많더라구요

  • eQGNDnjCmguVAs · 630457 · 16/01/04 21:32 · MS 2015

    그렇게 깡촌아니라도 되는갓같더라구요 부산은 장안고?? 농어촌되는 걸로 알고있어요

  • Geno · 523060 · 16/01/04 21:59 · MS 2018

    아직도 해당되나요? 이게 처음에 학교가 정원미달이고 그럴땐 농어촌이다가 학교가 크면 없어지기도 해요 안동 풍산고(자사고)도 같은케이스 근데 뭐 예외는있는거니까 딱히 할말은없음 ㅠㅋㅋ

  • waiting for love · 582924 · 16/01/04 01:00 · MS 2015

    차별을 줄이자고 만든건데 역차별 전형이 되어버림.

  • 좌회전혹은우회전 · 598599 · 16/01/04 01:03 · MS 2015

    기회의 평등을 실현하려면 농어촌지역 학교 교육을 지원하는게 나을텐데 말이죠

  • 빠곰쓰 · 633473 · 16/01/04 01:05 · MS 2015

    농어촌이 대부분 교육환경이 열악한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저는 농어촌 해당이 안되지만 고등학교를 시골로 다녀본 결과 정말 필요하다고 느꼈습니다. 학교 애들 말 들어보면 아직도 가스통 굴려가며 난방하는 애들도 있고ㅋㅋ (응팔보며 공감하고 있음) 주위에 진심 논밭뿐ㅋㅋㅋ 학원 나가려면 최소 1시간인데 그 학원도 질이 매우 좋지않은ㅋㅋㅋ 과외는 더 없구요 정보력 같은 것도 확실히 떨어집니다. 사촌오빠가 유xx 직원인데 진심 아무것도 모름... 배치표로 학교 정해요... 시골이다 보니 가난한 경우도 더 많고요.
    물론 도시에서도 열악한 지역 있고 농어촌인데도 나름 괜찮은 경우도 있지만 보편적으로 정말 다릅니다

  • 비트 · 626580 · 16/01/04 01:08 · MS 2015

    대학이 순수한 학문의 전당보다는 사회에 나가기 위한 사다리 정도로 여겨지는 시대이니 당연히 최소 수혜자에 대한 어느정도 배려는 필요합니다, 오히려 지금 너무 보여주기 식으로 소수만 뽑는것 같아서 좀 더 늘려도 무방하다고 생각합니다.

  • 979797 · 500509 · 16/01/04 01:08 · MS 2014

    목동 살다 시골가봣는데.. 정말필요한듯

  • you are the one · 635840 · 16/01/04 01:21

    얼마전까지 어차피 인강으로다공부하는마당에 깡촌도 와파잡히는데 무슨 기회균등으로 농어촌전형을주냐 그랬는데 후회되네요 도시사는학생들이 초등학교 중학교 다니면서 도시의 교육인프라로 쌓아온 베이스를 망각했네요 베이스가다르면 같은인강들어도 이해도도 다를텐데싶네요 다만 농어촌전형이 진정한기회균등으로 자리잡으려면 절차를 엄격하게해야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