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 난이도가 일정 수준을 넘어가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035522
시험장에서 논리적으로 무결한 풀이가 불가능해지는거 같아서 응시전략이 약간 바뀌어야 하는 것 같습니다.
수학은 그나마 차이가 덜한 것 같은데,
국어는 확실히 24수능급으로 나오면 풀이과정에서 논리적 무결성을 약간 포기해야 되는 것 같습니다.
저도 리트 풀때랑 수능 풀 때 풀이모드가 다릅니다.
수능(을 포함한 모의고사와 사설)에서는 논리적 무결성을 추구하면서 반복리딩을 많이 합니다. 반면 리트에서는 어차피 시간이 극도로 없으니 초독을 할 때부터 문장을 읽을 때 '완전하게' 읽는 것을 포기하고, 문장성분을 약간 뭉개면서 가더라도 빠르게 치고나가고, 문제 풀 때 선지플레이로 처리하자는 마인드로 갑니다.
당연히 문장성분을 '약간 뭉개'더라도 모든 문장성분을 눈으로 읽기는 합니다만, 그 처리의 정교함을 약간 포기한달까요?
개인적으로 24수능은 22수능 따위와는 난이도 비교가 불가능하다고 생각하고(24수능이 훨씬 어려움), 2년 사이에 고임의 정도가 훨씬 심해졌다고 봅니다.
국어는 난이도가 일정 임계점을 넘어가면 "스트레스 테스트"의 성격이 강해져서, 논리적으로 완벽한 처리가 불가능해집니다.
50만 수험생 중 누구도 논리적으로 완결성 있게 처리하지 못하는 정도의 난이도가 실제로 출제된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준비해야 하는 것 같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초장도 가끔 먹어줘야함
-
회 고유의 단맛, 식감, 기름짐 등등 맛의 요소가 있음에도 이를 인정하지 않고...
-
간장은 그 초장 특유의 자극적인 맛을 못따라옴
-
다들 이러나 2
부모님이 올해 초엔 ㅈㄴ 갈구다가 6,7월쯤 되니까 엄청 잘해주심. 뭐지?
-
솔직고백) 7
가끔 한번씩 초장 찍어먹긴 함
-
솔직히 인정하잖아
-
불안하네요,, 6
지금까지는 운이 좋았지만 이제는 본인의 실력으로 헤쳐 나가야 해요,, 제가 단순히...
-
진짜모름
-
좆같게
-
바로 나..
-
회는 초장임 2
-
용돈이 많아지면 2
뭐하노.. 쓸 시간이 없는데..
-
근데 나는 진짜 2
진순이는 역대 라면 GOAT라고 생각해
-
그거 앎? 5
오징어회 국수먹듯이 입에 호로록 넣고 오독오독 먹기
-
제주도 토박이로서 말한다 회는 간장(+와사비)만 인정한다 물회 같은 특이케이스만 초장
-
다른 항원에 대해 활성화될 수 있음? 예를 들면 항원A에 대한 보조T림프구가...
-
이게 뭔 메타여 9
난 번갈아 찍어먹는데?
-
사람을 싫어해본적이없는데 저새끼는 진짜 댓글 보자마자 바로차단했음
-
둘다 맛있는데 0
전어같은건 초장 광어같은건 간장
-
쌈채소 + 전어 여러점 + 막장 + 마늘
-
나가라
-
고래고기 한번 먹어봐 야들야들하고 맛있음 죽도시장 좌판상 있는데서 왼쪽 골목으로...
-
살면서 입에 댄적이 없음..
-
난 사회성 박살나서 절대 못함..
-
인증메타가 한창이군 14
나가야지
-
ㅜㅜㅜㅜㅜ
-
그래서 그냥 씀
-
일반 생선회를 초장에 찍어 먹는 건 개 씹 맛알못 모먼트임
-
6등 표본이 난데 올해 10명 모집에 보통 경쟁률 30:1찍히고 지금 모의지원...
-
곤약을 드세요
난이도에 따라서 문제풀이 방식을 다르게 연습해야하나요?
저는 그렇게 하는편입니다.
파본검사 할 때 눈으로 글자수를 대략 가능해 보고, 문학부터 풀면 난이도가 대략 가늠이 됩니다.
독서보다 문학이 시간 변동성이 더 커서, 문학부터 푸는 게 유리한 것 같아요
결국 마지막의 마지막까지 가면 누가 '단위시간당 더 문장성분을 더 많이 정확하게 처리하나'로 승패가 갈리는 것 같아요. 완전 피지컬 싸움이죠
24수능을 더 어렵다 생각하시는구나
216!!
전 22가 체감난도가 24보다 배는 높았는데 고수입장에선 다르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