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028864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식곤증 어케 해결함 16
진짜 눈이 저절로 감기고 감았다 뜨면 2분 3분씩 훅훅 지나있음..
-
등이 다 보임 어캄;;;;;;;;;
-
체감은 잘 안된다는데 결국 하기는 해야되는 컨텐츠죠?
-
휴식~~~ 13
오늘부터 그릿을 풀어볼거시다 머리 식힐겸 학습법 정독해보겠습니다 그리고 님들 저...
-
공통은 2문제 빼고완성 10
속도좀 내보자
-
시바새끼 라멘 맛있네 10
인터넷에 저렴하게 팔길래 24봉지 삿음 반숙 올리고 숙주 곁들여 먹으면 마싯을듯
-
힘들구나 15
27분 꽉 채움… ㅠ 15번진짜 하… 더프에서도 15번 때문에 시간 개날렸는데
-
생윤황분들께질문 8
수시 이과 최저러인데 3학년 내신때 생윤 선택해서 좀 열심히 했는데 잘 맞는 것...
-
8월인데 시작할까...
-
가 전부였는데 이젠 그것도 없어지네 시발
-
신기하네
-
결제는 다 끝냈는데 이거 판도라의 상자삘이 난다 대국적 교양강의이자 국소적 논리학...
-
잘자셈 8
순수한 오르비언 자러감
-
미적1등급 정시 중앙대생vs수학 3등급 연대생 하면 과외는 후자가 세배는 잘구해짐
-
수학 질문 7
빨간색 부분이 이해가 안되요ㅠㅠ g(x)랑 x랑 왜 같은건가요?
-
허~접 7
겨우 운동 1시간 했다고 지쳐 허~~~접
-
2027년 1월 전역이라니 ㄷㄷ
부모 포함 환경이 곧 재능아닌가
정확히는 부모가 애 성향을 보고 적절히 교육시키는게 상상이상으로 중요하다 생각함 어릴때 과학고 떨어졌는데 솔직히 대한민국에선 애가 슈퍼천재여도 지혼자 특목고 입시 절대 못한다 생각함 경제적인 문제도 꽤 크고
진짜 슈퍼천재 봤으면 그런말 못할거 같은데
슈퍼천재 기준이 뭔지 모르겠는데 어릴때 특목고입시반이랑 수능준비할때 과고영재고 애들 많이 만났는데 그런 느낌 든 애들 1도 없음
환경은 따위로 만드는 낭중지추를 여럿 봤어서
솔직히 전 개인적으로 고등학교 공부 잘하는거 진짜 재능이랑 거의 상관 없다 생각함
이것도 재능있는 사람을 얼마나 살면서 보냐에 따라 의견이 갈리겠네요
그 님글에 초5 올림피아드 그런거 보면 생각나는게 애초에 애가 아무리 슈퍼천재여도 지혼자 올림피아드 나가거나 준비할 순 없음 그런것도 다 부모가 얘 성향 고려해서 마련해주는거지 저도 초딩때 과학 좋아해서 더 심화된 과학 공부하고 학원가고 싶다 했는데 부모가 개인적으로 그런거 싫어해서 공부 안시킴
그거말고도 여러케이스가 있어서
압도적인 재능은 환경 마저 눌러버립니다
예를들면 뭐요 진짜 궁금해서 물어봄
제 주변 케이스는 그냥 집에 있는 책 보더니 어린나이에 게티스버그 연설을 줄줄 외우고 초등학교때 독학으로 한자 사범을 딴 케이스가 있습니다 그 이후에 메이저의대 차석으로 입학했네요 남들 고등학교 다닐때 첫해에 수능봐서 치대 수석으로 합격한거 걷어찬것도 있고
본인이 못봤다고 세상에 그런게 없는거 아닙니다
(fami님은 그 공부에 필요한 인강, 책들을 부모가 용인하고 격려하며 사주는 것까지 환경으로 보는 것 같습니다
세상엔 의외로 자식 공부를 가로막는 부모가 매우 많습니다
의도했든 안했든 상관없이요.)
애초에 고등학교 다닐때>>수능 봄 본인은 이게 평범한 환경이라 생각함? 울나라 미성년자는 자퇴할때도 다 부모 동의 필요한거고 부모가 애 자퇴한거 어떻게 받아들이냐 이런것도 애 자질만큼 ㅈㄴ중요한거임
(한자 사범 시험응시료를 자기가 벌어서 지불했을까요? 그렇지 않았을 겁니다.)
고등학교다닐때 수능을 안봤다 해도 그 자질은 가려지지 않으니 시기의 차이일뿐 두각을 드러냈겠죠
저정도 사람이 고등학교 다녔다고 퍼포먼스의 차이가 있었을까 생각하면 자명하죠
그냥 본인은 수능수학 문제 30문제 맞혀서 요즘 수능수학 크게 어려운것도 아닌데 그거 30개 맞혀서 지가 ㅈㄴ 재능있다고 생각하는게 좀 웃기긴함 수리논술도 마찬가지
(fami님도 압도적 천재를 만나봐야 할지 모르겠지만 매포메님도 압도적으로 자식 망치는 부모를 만나보셔야 하지 않을까요? 본인 눈에 안 보인다고 세상에 없는 거 아닙니다.
모든 부모가 자식이 공부하는걸 기특하게 여긴다고 생각하면 환상입니다.)
걍 그리고 사람마다 발달속도차이가 있는거라서 지가 초중딩 때 못했다고 or 잘했다고 재능 있다없다라 말하는것도 웃김
재능 70 환경 20 노력 10
개인적으로 수능 재능 크게 필요없다 생각함 한두과목 보는것도 아니고
재능이 제일 높은 것 같음
돈 없어서 학원 못다니고 저랑 당구장만 다녔는데도 24수능 국어 98점받고 인서울한 친구가 있고
비싼 기숙학원에서 삼수하면서 국어만 하루 5시간씩 해도 국어가 안되서 사수하러 간 친구도 있음
안되서가 아니라 안돼서임
뭐 때문에 화나신 거임
딱히 화난건 없는뎅
여기애들은 자기 환경이 좋은걸 자각하지도 못하는 애들인데 이런얘기하면 돌맞음 ㅋㅋ
저는 재능 95 노력 5인거 같아요 치열하게 해도 주요대학 못가고 대충 겜하고 놀면서 해도 의대가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아요
환경(가정환경, 재력, 건강)이 압도적 1순위 같고 2순위가 본인의 재능 같은 느낌...
환경 재능 모르겠고 운100
좋은 환경 가진 부모밑에 태어나는것도 운
똑똑한 부모밑에 태어나는것도 운
시험이 나한테 잘 나오는것도 운
이게맞음 재능 환경 논쟁할 필요가 없음 ㅋㅋ
맞음 환경이 5할 이상은 되는 듯
고점은 재능 비중이 높겠지만
운(성향, 성격, 부모 다 포함하는 의미), 환경이 70 나머지 30은 재능 노력 반반인듯
환경이 뭐 물도 못사는 그런 경우 아니고서야 대부분이 중산층일텐데... 크게 차이가 나려나
그런건 어차피 설대애들 다 공부 잘하는데 성격도 비슷하지 않겠어? 이런거랑 비슷함
재능 크긴 함
대치동 학원 어릴적부터 쭉 다니는애들 평균은 국숭세단이여서
물론 그만큼의 위치라는게 분명 부모덕도 있지만 근데 부모덕만으로는 자신이 안하고서는 그 이상으로 못간다고 생각해
본인이 말하는 환경이란게 단순히 학원 뺑뺑이는 절대 아님
환경 60
재능 30
노력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