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력은 정확히 무엇인가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028503
수능은 사고력을 측정한다는데..
생각하는것도 머리에서 나오니깐 결국 암기하고 익숙해지면
그 사고의 틀이 시험장에서 발동하는거 아닌가요
사고력=암기?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다들 이러나 2
부모님이 올해 초엔 ㅈㄴ 갈구다가 6,7월쯤 되니까 엄청 잘해주심. 뭐지?
-
좆같게
-
바로 나..
-
국어황분들 ㅜㅜ 5
수능때 국어2나3정도만 맞아도 되는데 지금은 3~4정도 나옵니다 항상 시간없어서...
-
회는 초장임 2
-
뱃고동 부산항구~
-
용돈이 많아지면 2
뭐하노.. 쓸 시간이 없는데..
-
하원 8
오늘도 수고하셧습니다 화2 시작할때 암산테스트 잘해서 근거없는 자신감이 있었는데...
-
207 숫자님 맞죠? 혹시 밥풀화2?..
-
근데 나는 진짜 2
진순이는 역대 라면 GOAT라고 생각해
-
귀엽지?
-
오공완 5
어제 너무 놀아서 아침에만 좀 달림.. 생1만 좀 더 풀다 잘게요
-
애옹 11
퇴근
-
그래서 이거보고 방심하면 바로 수능나락가는거고..
-
힘드러어 7
그래도 열심히 할 수밖에 업서어.. 죽을수업서
-
5천덕 받아감 5
ㅅㄱ
-
잘자!! 4
-
소신발언하자면 나는 25살 누나여도 예쁘면 ㅆㄱㄴ인데 9
진지하게 나이차이 그 위로 7살정도까지는 괜찮은데 나는
암기로는 극상위권은 힘들고 중상위권정도까지 인듯
1. 문장을 읽을 때 중요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을 선별하는 능력 (인과와 그냥 배경설명하는 부분을 구분하는 능력) 2. 문제에서 요구하는 부분을 정확히 읽어내는 능력 (문제의 유형에 따라 집중해야 하는 곳이 다름. ) 3. 각 소재( 각 글이 다루는 학과 : 심리, 과학, 수학, 이과, 문과, 선천, 후천, 진화, 생물, 사회학, 역사, 고고학, 건축, 예술, 종교, 정체성, 언어, 인공지능, 양자역학, 경제학 등등)에 따라 글의 방향이 어디로 향하는지를 추측하고 그것의 단서들을 잡아내는 능력 4. 독해가 어렵거나 낯선 내용인 경우 그것이 자신이 경험 또는 인식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자신만의 언어로 변화시키는 능력 5. 본문에서 정답에 해당하는 부분을 찾아서 정답지에서 가장 유사한 정답을 선택하는 능력. 이 다섯가지를 영어 수능시험에서 요구하는 사고력이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