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수학실모란 무엇인가(설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993212
나는 어떤 수학실모를 풀고 싶고 사고 싶은가?
반대로 어떤 수학실모는 피하게 되는가?
추상적인 질문이지만 그만큼 다양한 답변을 듣고 싶습니다.
0 XDK (+5,000)
-
5,000
-
지금까지 강민웅쌤 풀커리타왔는데 지금이라도 현정훈쌤 듣는거 괜찮을까요? 6모는...
-
사관 수학 후기 2
따로 뽑아서 풀었음 전체적으로 무난한듯 미적 92점 13,30틀 30번 가장 먼저...
-
방금 80분재고 풀어봤는데 풀면서 이게 쉽다고? 계산 더럽고 어려운데? 다들 또...
-
우리는 이곳 이 자리에서 승리를 외친다
-
강대 강사후기: https://orbi.kr/00070509690 생1 컨텐츠...
-
..?
-
빠진다고 카운터에 전화했는데 보강 영상은 언제 주나요??
-
배불러 4
크악
-
시대 라이브 들으려는 통통인데 지금 모의반밖에 안남은 것 같아가주구... 그 전...
-
하원 4
오늘 학원에 사람이 별로 없던 이유가 사관 때문이였나보네요 수고 많으셨습니다
-
왜이러는건지 참 답답하네..
-
경찰대는 순환식 체력 검정 하는데 사관은 남자 기준 만점이 악력 71 이상/윗몸...
-
본3 본4때 어떤일이 일어나는지 실화만 얘기해도 거짓말마라는 이야기가 들려오는데...
-
ㅈㄱㄴ
-
지리 덕후들이라는 사람들은 모레인, 사구, 애추, 구조토 이딴거도 알고...
-
오케이 경찰대 라스트 추추추추합선 알잘딱 정리한다. 10
255점이 제일 라스트 인듯 이번에 뭔가 최초랑 추추추합 컷이 크게 차이날듯 최초컷은 270인듯
-
교회 안다니게됨 특히 국어 옛날엔 아무생각없이 다녔었는데 요즘 공부하다보니 이성적인...
-
국어는 망하긴했는데 영어 첫1이어서 기분이조았음
-
뭐냐 4
고3 되면 히든카이스 사고싶어여
킬러만큼은 새로운 느낌이 나는 모의고사를 풀고 싶어요
전형적인 문제가 많을수록 피하게 되는 것 같아요
준킬러는 새롭게, 킬러에선 보통과 비슷하지만 조금 다르게?
1. 문항을 풀었을 때 기출에서 느꼈던 풀이의 교훈을 참신한 표현으로 탄생시킨 문항
2. 100분이라는 시간 내에 조금 쉽다고 느껴지는 회차와 빠듯하다고 느껴지는 회차가 있는 모의고사
3. 기출에서 느낀 교훈과는 다른 결의 느낌의 문항이 있으며, 그것을 해설에 잘 녹여낸 모의고사
4. 위 1~3을 모두 만족하는 모의고사 = 히든 카이스 모의고사.
새로운 느낌의 어느정도 난이도 있는 킬러
(여기서 말하는 새로운 느낌은, 갑자기 22번에 위치 속도 유형이 박혀있거나 그런 게 아니라 260628 처럼 미분과 적분 단원인데, 새로운 논리를 적용한)
1. 기출분석이 충분히 됐으면 술술 풀어나갈수있는 준킬러
2. 기출분석만으로는 접근이 용이하나 논리로 해결해야하는 킬러
이렇게 조합된게 가장 실전적이라 생각하고 실전적이지 못할거면 n제 푸는게 낫다 생각합니다
배울점이많은거
실모는 개별 문제보다 시험지 전체에 초점을 둬서
시험지에 밀당이 잘 분포된 모의고사
확실하게 줄 문제는 주고, 까다로운 문제는 확실히 까다롭게. 이 두 개 비율은 너무 극단적이지 않으면 둘 중 뭐가 더 많은 지는 상관 없고요
그래서 너무 쉽거나 너무 압도하는 실모는 별로라 생각합니다
문제 난이도가 보통의 실모는 easy normal hard ex이런느낌이면 평가원은 easy, normal, hard ,what is this? 인거같음. 작수도 15,22가 hard정도고 (솔직히 hard도 아닌거같긴하지만..) 20,21이나 작년9모21번같은게what is this?난이도임 어렵진 않은데 딱봤을때 이게 뭐이고? 할거같은 문제박아놔서 당혹감 조성하는게 포인트인듯
what is this 개웃기네ㅋㅋㅋㅋㅋㅋㅋ
새로움을주는문제
실모 만들어서 무료로뿌리고있지만 이거는 아직도 너무어려움...
1. 푸는 데 불편함이 없게끔
편집 개판이라거나, 검토한게맞나 싶은 오류가 있다거나, 발문이 애매하다거나...
2. 실전성이 어느 정도 있는게 좋은거같음
1컷 60이라거나 100이라거나 이런거는 좀
3. 피드백으로 배울 만한 점이 있는거
4. 평가원에서 한두발짝 앞서나감
새로운거 보여주겠답시고 10번부터 신유형 도배해서 100미터 앞에 있는것도 좀
5. 교과외 쓰라고 만든 문제 ×
할선정리라든가 사차방정식 근계수관계라든가
"쓸 수 있고 쓰면 좀 더 간단해지는" 거랑 "쓰라고" 만든거는 다름
일단 생각나는거는 이정도?
1. 조잡한 문제가 적은가?(끼워맟추는 문제,대놓고 잡기술 쓰라고 의도한 문제 등)
2.다양한 형태의 시험을 연습할 수 있는가?
3.난이도가 과하지 않은가?
4.확통이 있는가?
이 모든것을 만족시키는 대 히 카(특히 2번)
기출에 출제되지 않은 소재의 다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