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ola 생윤/윤사] 불교는 무아여서 자아는 없지만 나는 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975919
유투버 Zola임당^^
[참고] 서울대 사회교육과 수석졸 강사의 보물창고
실모의 계절이 시작된 모양이네요. 질문들이....ㅋㅋ.....생윤인지 윤사인지...
생윤은 윤사와 분명 다르지만 그 경계가 애매하긴 합니다.
불교와 관련된 사설 문제들 선지를 보면
자아는 있다. XXX
나는 있다. OOO
이런게 있을 거에요.
그런데 이건 너무 터프하게 표현한 것이고
평가원이면 수식어를 확실하게 활용하니까 걱정마세요!!!
여튼 이게 다 번역에 대한 관련 지식이 부족해서 그래요.
일단 불교에 '무아'라고 있습니다.
무아 無我
직역하면 '나'는 '없다'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질문입니다.
'나'가 없으면 누가 깨닫고 누가 부처가 되나요?
'내'가 깨달아야 하고 '내'가 부처가 되는 것 아닌가요??
무아를 '나는 없다'라고 번역하면 이건 사상에 대한 지식이 전혀 반영이 안 된 것이죠.
특히 한자는 뜻글자에요. 글자 하나 하나에 엄청난 내용을 담고 있는 경우들이 많아요.
무아할 때의 '아' 즉 '나'는 '독립적/고정적/불변의' 나를 의미합니다.
그래서 학자들이 고민합니다.
그냥 내가 아니라 '독립적/불변의 나'를 어떻게 표현해야 하나?
여기서 나오는 것이 '자아'에요.
자아 自我(스스로 자, 나 아)
자아는 스스로의 나입니다. 즉 독립적인 나라고 볼 수 있겠죠.
(하지만 이것도 보통은 '불변하는 자아'식으로 표현해 줍니다.)
불교에서는 연기법에 의해서 독립적인 것을 부정하거든요.
그래서 무아에서의 '아'는 단순한 '나'가 아니라 '독립적인/불변의 나' 즉 '자아'는 없구요,
그것을 깨닫는 것이 '참된 나' 즉 '연기적인 나'인 거죠.
어찌되었건 사설은 이런 식으로 터프하게 변별을 하는데
평가원은 이러지는 않습니다.
예를 들어
25 수능, 윤사: 영원불변의 나를 상정한다.
자 그러면 위에서 나는 있다고 해서 이 선지를 O라고 판단하실 건가요?
아니면 영원불변을 보고 X라고 판단하실 건가요?
답은 X겠죠.
나는 '영원불변'하지 않습니다라고 판단하면 되겠죠.
결론: 기출은 막 그렇게 무지막지하진 않아요^^
열공+즐공=대박!!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좋아요 0 답글 달기 신고
-
좋아요 0 답글 달기 신고
-
좋아요 0 답글 달기 신고
-
ㅇㅂㄱ 3
얼부기부기
-
오르비지워야하는데 12
수능이다가옥고있는데
-
난 술집안갈것같은데 24
사람많은거 존!!!!나!!!!싫!!!어!!!! 새해에만 마시고 다음날부턴 집에서 애니정주행할거임
-
야식메뉴추천받습니다
-
내갤러리 16
그렇대
-
여행가서 1
사관신청 안했음뇨!!
-
복테 타이핑 퀄 7
타이핑 원본 ㅁㅌㅊ
-
대신 꽤심죄로 안 줄 수 있음 ex) 원하는게 多, 가진게 多
-
사람이 저지경이 되게 돌림?
-
궁금해
-
피부 계속 벗겨지네... 핸드크림이라도 발라야하나
-
비틀거릴 내가 안길 곳은 어디에
-
빨리 주간지 다 풀고버려야지
-
아 나가기 싫어 1
아아
-
도파민 대기 중인데 하
-
싫은데요
-
어떻게 하나요? 스키마 같은 거 만드나
-
4시에는 자야겟슨 10
새르비를 못참고 왓슨... 내일부턴 갓생 살겟슨...